해오름

해오름 단행본

배워서 남주자

나눔터

배남 네이버 카페

배워서 남주자 2022년 6월호

통권 306호


<법과 정의 이야기> 두 번째. 민주주의 영화의 고전이라 불리는 <12인의 성난 사람들> 수업 제안을 시작으로, 초등 모의재판과 조예만들기 참여 수업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가득합니다. 특히 이번호에는 오레스테스의 재판이라는 그리스 비극을 깊게 다루었습니다.  몇권 남지 않은 5월호와 함께 세트로 꼭 소장하세요 ^^


주제수업: 법과 정의 이야기 II


영화 〈12명의 성난 사람들〉
나는 무엇에 분노하는가


이명랑, 《재판을 신청합니다》
열려라, 모의 재판!


아이스퀼로스, 《오레스테이아》 1
그리스 비극 속에 나타난 ‘법정’의 창설


아이스퀼로스, 《오레스테이아》 2
‘복수’라는 정의에서 문명적 정의로


《그림자 아이들》과 조례 제정 참여 운동
우리 사회에도 그림자 아이들이 있을까




한가득 책꾸러미_ 초등
- 《롱과 퐁은 지구인이 될까요》 외


한가득 책꾸러미_ 중등
- 《나의 일본미술 순례》 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5년 5월호 [1]

화려하고 새로운 미식 경험을 위해 기꺼이 큰 돈을 지불하는 현대인들. 그러나 그리 멀지 않은 이웃 나라에선 음식 쓰레기를 수집해 다시 조리해 먹는 인구가 60만 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맛있고 값싼 식품 제조 유통 과정에서...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5년 4월호 [1]

4월호 특집은 <맛있는 수업 I>입니다. 음식을 소재로 한 책들이 정말 많고 이중에는 수업에서 다루면 정말 좋을 책들과 주제들도 많습니다. 4월은 주로 가족, 관계, 계절살이에 관해서 그리고 5월은 음식과 역사 중심으로 풀어볼...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5년 3월호 [1]

3월호 특집은 <광장에서 만나는 민주주의>입니다. 겨울 내내 우리를 정신없게 만들었던 계엄과 탄핵정국, 납득할만한 설명을 요구하는 아이들에게 어떤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것을 어떤 주제와 책으로 확장해볼 수 있을...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5년 2월호

2월호 특집 <학년별 주제별 수업계획> 두 번째 이야기. 초중등 종합편으로, 1-2월호 두권을 갖고 계시면 한해가 아주 든든할 거예요 ^^ 신간도서와 스테디셀러가 잔뜩 수록되어 있어, 수업안을 짜시는 선생님들에게 많은 도움이 ...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5년 1월호 [1]

이번호 주제는 주제별 학년별 수업계획입니다. 초중등 종합편으로, 2월호까지 이어집니다. 한해 수업안을 짜시는 선생님들에게 많은 참고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조기품절이 예상되니 일찍 주문해주시고, 1-2월호를 꼭 세트로 구비하시...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12월호 [1]

짧게는 2주에서 길게는 몇 개월까지 한권의 책을 공들여 읽어내는 것이 요즘 시대에 더더욱 흔치 않고 의미있는 일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12월 특집은 <벽돌책 읽는 즐거움> 두 번째입니다. 꼭 아이들과 두꺼운 책을 함께 다...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11월호 [1]

잘 읽은 장편 하나 열 단편 안부럽다~ 공감하시죠? 하지만 두꺼운 책은커녕 중편 단편도 읽기 힘들다는 아이들에게 몇주 몇달에 걸친 장편읽기 활동이 과연 가능할까요? 11월호 특집은 <벽돌책 읽는 즐거움> 첫 번째입니다. ^^...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10월호 [1]

10월호 특집은 <새책으로 수업 업데이트하기>입니다. 올해 나온 새책들 중에서, 놓치지 말고 수업에 활용하면 좋을 책들, 그리고 그 책으로 실제로 진행한 수업사례들을 모았어요. 올해 새책 중에서 꼭 수업에 쓰고 싶은 책들이 ...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9월호 [1]

믿음, 사랑, 공감, 연대… 이 같은 가치들은 지식과 달라, 가르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인생의 가치관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에, 타인의 감정을 헤아려 보는 경험, 함께라는 경험을 할 기회를 갖는 것은 그래서 꼭 필요합니다...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8월호 [1]

무관심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서로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우리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돌아봅니다. 그리고 그 고민이 개인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보편적 돌봄으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7월호

시를 좋아하는 아이를 별로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구절들, 어려운 시험 앞에서 ‘시’는 머리를 지끈거리게 하는 어려운 문제로만 여겨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편견을 거두고 바라보면 시는 놀라움과 경탄과 위안을...

월간 <배워서 남주자> 2024년 6월호 [1]

'사랑한다'는 것은 강렬한 감정만이 아니라 결단이고 판단이고 약속이라고 합니다. 오늘 우리, 제대로 사랑하고 있을까요? 6월호 주제수업은 <두근두근, 사랑을 말하다>입니다. 알다가도 모를 첫사랑의 열병부터 서툰 사랑으로 상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