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e   박봉화  첨부파일

Subject  답변:글쓰기 17기 - 9차시 없음


--------------------------------------------------------------------------------
바쁘게 사느라 돌아볼 여유가 없었네요. 처음 해오름에 등록할 때 한번 들어온 후 이제서야 구경 왔습니다.
바지런한 혜정 씨가 그동안 수고를 많이 하셨군요. 그토록 열심히 출석해서 귀 쫑끗 세우고 수업 듣더니만 알찬 내용이 가득합니다.
미안해서라도 다음에 제가 후기를 한번 올려야겠습니다. ^*^


>(혹시나 수업 후기를 미뤄 두면, 누군가 대신해 주시지 않을까
>기대를 했는데, 역시 저의 몫이지요? ^^;)
>
>지난 주까지 6시간 동안 갈래별 글쓰기를 공부했습니다.
>사생글, 서사문, 일기, 감상글, 시, 설명글, 주장글...
>매 시간 공부할 때는 "맞아,맞아, 그렇게 쓰면 되는 거야~" 공감을 하지만
>숙제를 하면서 다시 한번 느낍니다.
>갈래를 확연히 구분해서 쓴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그리고 갈래를 나누는 데 몰두해서
>맛깔나는 글을 쓸 수 없다면 차라리 갈래를 무 자르듯 나눌 필요가 있겠는가 하는 생각...
>역시나 저, 아직도 갈 길이 먼 것 같죠?
>
>이번 주 9차시 수업은 "주제 수업"에 대한 공부였습니다.
>갈래별 글쓰기 공부가 아이들과 하는 수업의 세부적인 사항이라면
>오늘 공부는 수업 전반에 대한 교사 자신의 "개념"에 대한 이야기라서 귀를 쫑긋 세우고 공부를 했습니다.
>
>책을 가지고 하는 수업이든, 글에 집중하는 수업이든,
>결국 아이가 잘 자라기 위한, 모두 같은 이야기가 되는 1년.
>이것 말고 좀더 지식을 쌓아줘야 하지 않을까 1년.
>아니지, 큰 줄기 잡아야 돼, 역사/과학/인물 1년.
>이러다 보면, 흐름이 잘 잡히지 않게 된다는 말씀, 정말 공감이 가더라구요.
>선생님께서는 어떤 주제든지 "큰 흐름에 일관되는" 수업이
>되어야 흔들리지 않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건 교사 스스로가 답을 찾아야 할 거구요.
>(선생님께선 그런 큰 흐름을 무엇으로 잡고 계시냐고 여쭈었더니,
>"사람이 사는 데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잡는다고 하셨습니다.
>선생님다운(?) 대답이셨어요. ^^)
>
>교사인 내가 잘 할 수 있는 수업, 나만의 특기를 살린 수업을 찾아서
>그것을 쭈욱 밀고 나가야 힘들지 않는, 즐거운 수업이 될 거라고 하셨습니다.
>그 말씀 또한 어찌나 반갑던지요.
>미술에 무던히 약한 제가, 결과물을 척척 멋지게 만들어 내는 다른 선생님들이
>얼마나 부럽던지, 독서 수업은 결국 미술로 마무리 되는 건 아닌지 싶어서
>한동안 적잖게 고민되었거든요.
>
>9차시 수업은 한 마디로 저의 고민이 모두(?) 풀리는 시간이었습니다.
>책읽기만 시키면 될 것인지, 글쓰기는 어느 정도 가미해 주어야 할 것인지,
>매달 주어지는 주제는 얼마나 다루어 주어야 하는지, 고학년에게 독해공부를
>시킬 것인지 말것인지 등등
>
>해오름 글쓰기 과정을 들을까 말까 고민하는 분이 계시다면
>꼭 한번 들어보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
>남은 세 번의 수업, 아쉽고, 기대되고, 섭섭하고, 시원하고,
>지금 기분이 그렇습니다.
>
>
>@ 이번 주 숙제는 대상 맞추고, 주제 선택해서 어떻게 펼칠 것인지 해 오는 것입니다.
>(마인드 맵이든 아님 다른 어떤 방법이든 마음대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