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오름 고등부 18기.JPG


00. 다음시간 발제순서


(1) 의식주 경제학

의식주 경제학 순서.JPG

(2) 사람 장소 환대


<06장> 절대적 환대 [이**]

신원을 묻지 않는 환대 [이**]

보답을 요구하지 않는 환대 [전**]

복수하지 않는 환대 [전영*]


<07장> 신성한 것 [정**]

죽은 자의 자리 [정**]

서바이벌 로터리 [신**]


부록 장소에 대한 두 개의 메모 

장소/자리의 의미 [신**]  

여성과 장소/자리 [조**]


01. 앞으로 20년 후를 위해,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우리가 맞이하는 4차 혁명 [인공지능 + 사물인터넷 + 3D 프린팅 + 맞춤 의료 + 자율주행 자동차 및 드론 = 초지능]은 사실 기술적 진보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융합적인 기술적 발전을 만들어낸,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내부 알고리즘의 혁명이다. 딥러닝이 가능하도록 만든 알고리즘으로, 이제는 반복적이고, 예측할 수 있고, 창의성이 필요 없는 직업들은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2017년 수능 영어영역에서 무엇을 공부할 지 간접적으로 답을 주었다. 


(1) 수능 영어 34번


 Over the past 60 years, as mechanical processes have replicated behaviors and talents we thought were unique to humans, we’ve had to change our minds about what sets us apart. As we invent more species of AI, we will be forced to surrender more of what is supposedly unique about humans. Each step of surrender ─ we are not the only mind that can play chess, fly a plane, make music, or invent a mathematical law ─ will be painful and sad. We’ll spend the next three decades ─ indeed, perhaps the next century ─ in a permanent identity crisis, continually asking ourselves what humans are good for. If we aren’t unique toolmakers, or artists, or moral ethicists, then what, if anything, makes us special? In the grandest irony of all, the greatest benefit of an everyday, utilitarian AI will not be increased productivity or an economics of abundance or a new way of doing science ─ although all those will happen. The greatest benefit of the arriv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at AIs will help define humanity.


- 인공지능의 도래로 우리 인류는 우리 자신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새롭게 정의된 인간의 관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방법(메타인지를 극대화한 Flipped Learning)을 공부해야 하고, AI과 공존하는 배려의식을 공부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AI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먼저 공존할 수 있어야 한다. 사실, 모든 것은 복제될 수 있어도 인간이 가진 신뢰만은 절대 복제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SNS로 연결된 현대 사회에서 신뢰의 기본은 아래와 같다. 


(2) 수능 영어 35번


 In the context of SNS, media literacy has been argued to be especially important “in order to make the users aware of their rights when using SNS tools, and also help them acquire or reinforce human rights values and develop the behaviour necessary to respect other people’s rights and freedoms”. With regard to peer-to-peer risks such as bullying, this last elemen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his relates to a basic principle that children are taught in the offline world as well: ‘do not do to others what you would not want others to do to you’. This should also be a golden rule with regard to SNS, but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estimate the consequences and potential serious impact of their actions in this environment. Hence, raising awareness of children from a very early age about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SNS and the potential long-term impact of a seemingly trivial act is crucial.


- 따라서, 우리는 인간 사회에서 신뢰를 만들어 내는 <1> 도덕적 권위 [도덕의 작동방식] <2> 실력 [탁월함의 작동방식] <3> 공감 능력 [타자화가 아닌 타자를 통한 자아 발견의 작동방식]을 '역사적 관점'으로 공부해서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02. 도시와 실업의 새로운 관점 


15% 법칙.JPG

[관련 강의보기 : http://blog.naver.com/4eva3030/221155465674]



 탄화수소를 연료로 삼는 도시와 메가시티는 의외로 생물학 법칙 몇 가지를 따른다. 루이스 베텐코트와 제프리 웨스트는 1,000개의 데이터를 분석해서 도시의 작동원리를 알아냈다. 에너지 관점에서 파악하면, 계속 몸집을 불려가는 대도시는 대형 동물과 닮았다. 코끼리는 기니피그보다 몸집이 1만배나 더 크지만 에너지는 1000배 더 사용한다. 대도시도 일반적으로 이와 비슷한 패턴의 규칙을 따른다고 한다. 


 즉, 도시의 크기가 두 배로 커질 때마다 그에 필요한 거리와 주유소, 가게, 집의 수는 85%만 증가한다. 15%가 적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밀집도가 높아지고 에너지 효율성이 올라간다는 의미이면서, 공유되는 시설이 15%의 효율을 가져왔다고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웨스트와 베텐코트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이런 방정식에는 어두운 이면도 존재한다. 범죄와 교통문제, 폐질환 등 일반적인 복잡성 또한 똑같은 비율로 늘어나게 된다. 


 이 연구 결과로 판단해보면, 경제 성장은 원치 않는 것들까지 동일한 비중으로 늘려놓게 된다. 그런데 이게 전부가 아니다. 지구라는 생태계에서, 메가시티의 안전성은 지속적인 적응을 포기하게 된다. 이는 생물들이 몸집이 커지면 일반적으로 움직임이 둔해지는 현상과 동일하다. 계속 몸을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열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며, 그래서 코끼리가 터벅터벅 걷는 것이다. 하지만 대도시에서는 이와 반대 현상이 벌어진다. 도시가 커지면 모든 것들의 속도가 빨라진다. 게다가 네트워크 효과는 이 속도를 더욱더 가속화시킨다. 결국, 신기한 현상이 발생하는 데, 자연상태에서는 벌어질 수 없는 일에 해당되는 쥐보다 더 빠른 코끼리와 같은 존재가 바로 메가시티의 모습이다.


03. 현재의 실업사태는 신자유주의가 원흉


 자본주의 초기인 18세기에 애덤 스미스가 영원할 것이라고 생각한 보이지 않는 손의 위력은 예상보다 약했으나 그 수명은 예상보다 길었다. 스미스가 예찬한 자유주의 시장경제는 한 세기도 지나지 않아 자본주의가 독점화되고 제국주의로 변모하면서 막을 내리는 듯 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다시 한 세기가 지난 20세기 말에 보이지 않는 손은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화려하게 부활했다.


 전형적인 제국주의 전쟁이었던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세계 경제는 곧바로 급전직하했다. 1929년 미국에서 터진 대공황은 인류 역사상 최대규모의 참극을 겪고도 자본주의의 모순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가장 큰 문제는 전 세계가 자본주의 시장으로 편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요가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산업혁명에 이어 과학기술과 공학의 비약적인 발달로 생산력은 크게 늘었으나 상품이 소비되지  않으면 자본주의적 이윤은 실현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금융과 주식시작이 붕괴하면서, 그동안 후퇴를 모르고 달려왔던 자본주의에 처음으로 강력한 제동이 걸렸다.


 대공황 같은 사태가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손에 의존할 수는 없었다. 고전 경제학은 수요가 시장에서 저절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오로지 생산을 중심으로 경제 이론과 정책을 구성했다. 그러나 수요가 막힐 수 있다는 현실을 생생하게 경험한 상황에서는 경제 이론과 정책이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영국의 경제학자인 케인즈는 수요를 중심으로 경제를 재편하고 자유방임 경제 대신 국가가 경제에 개입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케인즈의 이론을 가장 환영한 나라는 대공황의 현장인 미국이었다. 


 수요를 중시하고 국가가 경제 주체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케인즈의 이론에 따라 미국에서는 정부가 산업, 노동, 재정 등 경제 각 분야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대공황으로 늘어난 실업 인력을 소화하고 경제구조를 재편했다. 이 뉴딜 정책으로 미국은 짧은 기간에 대공황의 상처를 크게 치유할 수 있었다. 더구나 때마침 터진 제2차 세계대전은 지난번 세계대전보다 더 극심한 참극이었지만 경제적으로 보면 부족한 수요를 군사 부문에서 보충해준 보약이었다.


 전쟁이 끝난 뒤부터 1960년대까지 세계정치는 냉전시대의 팽팽한 긴장을 겪었으나 세계경제는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이제 국가가 기업보다 더 주도적인 경제 주체라는 점에는 누구도 이의를 달지 않았다. 그러나 그 호황기에 자본주의의 성격은 서서히 변하고 있었고 새로운 위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위기는 경제적인 것과 경제 외적인 것이 섞여 있었다. 1970년대 초반 중동에서 터진 석유 파동은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를 초래했다. 그보다 더 장기적이고 심각한 것은 호황 속의 불황, 즉 스태그플레이션이 만연되고 자본주의 각국의 재정 위기가 심화되는 현상이었다. 


 결국 1980년대에 들어 세계경제는 또다시 침체기를 맞았다. 이때 화려하게 부활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 손이다. 그러나 스미스 시대의 보이지 않는 손과는 다르기 때문에 그냥 자유주의가 아니라 신자유주의다. 


 둘 다 자본주의를 살리려는 목적을 가졌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신자유주의가 물리치고자 하는 적은 자본주의를 가로막는 절대왕정이 아니라 1950~1960년대에 발달한 복지국가다. 냉전시대에 경제를 주도한 국가는 막대한 군사비와 더불어 국민들을 위한 복지에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었다. 사회복지에 국가 재정을 투입하는 것은 이윤 추구를 제일의 목적으로 하는 자본주의의 기본 원리에 어긋난다. 국가 재정의 위기를 심화시킨 최대의 주범은 바로 복지국가의 이념이라는게 신자유주의의 논리다. 


 신자유주의와 자유주의의 또 다른 차이는 경제 주체다. 자유주의의 경제 주체는 개인이었으나 신자유주의의 주체는 국가다. 자유주의는 자유방임을 통해 자본주의를 육성하고자 했지만, 이미 국가 개입의 경험을 거친 뒤에 생겨난 신자유주의는 오히려 강한 국가를 통해 시장의 경쟁 질서를 정치권력의 힘으로 조정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미 경제와 정치가 분리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신자유주의의 이념은 복지국가를 파괴하고, 국가가 경제와 정치를 조정하며, 아울러 고전적 자유주의의 시장경제 질서를 밀고 나가는 것이다. 그 결과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이 세계무대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기업들과 찰떡궁합을 이루면서 국제적 시장을 자유경쟁 체제로 재편하는 정책으로 나타났다. 자본주의 초창기에 노동자 개인들을 상대로 했던 착취가 이제는 국제적 차원에서 경제 후진국들에 대한 착취로 변모된다.


 사회주의권이 무너진 1990년대부터 신자유주의는 이른바 '세계화'의 이념을 내걸고 세계 자본주의의 통합을 시도했다. 이는 당연히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이 주도할 수밖에 없다. 이미 세계 자본주의 진영에 편입된 국가들은 자유경쟁의 시장논리로 철저히 묶어두고, 아직 경제를 개방하지 않은 국가들은 강제로 개방시켜 자본주의 질서에 종속시킨다. 그 일환으로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은 경제 후진국들의 금융 체제를 정비하도록 강요하는데, 여기에 앞장선 것이 IMF를 비롯한 국제 금융기구들이다. 


 전 세계를 하나의 자본주의 시장으로 묶어 경제 통합을 시도하는 신자유주의 정책은 여러 가지 저항에 부딪히고 있다.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의 전략과 그들에게 예속되지 않으려는 저항의 강도에 따라 세계 자본주의는 새로운 모습을 갖춰 나갈 것이다. 그러나 '자유주의 -> 국가 개입 -> 신자유주의'의 전개 양상이 보여주듯이, 설사 신자유주의의 목적이 모두 실현된다 하더라도 자본주의의 모순이 완전히 제거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04. 거대 흐름 속에서 발생한 개체화 그리고 타자화 


 사전은 수많은 정의(定義)들로 이루어진 책이다. 국어사전은 우리말에서 사용하는 낱말들의 정의를 수록하고 있으며, 백과사전은 학문과 시사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의 정의를 수록하고 있다. 그런 만큼 사전에 나오는 정의는 매우 엄정하고 최대한 객관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사전은 무수한 의미들을 정의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무수한 의미들을 누락시킨다.


 정의의 배후에는 배제가 있다. 예를 들어 국어사전에서 '행복'의 정의를 찾아보면 "생활의 만족과 삶의 보람을 느끼는 흐믓한 상태"라고 되어 있는데, 이 정의에 의거하면 민족을 위한 희생이나 종교적 순교는 행복에서 배제된다. 또 백과사전에서 '예술'이라는 용어를 찾아보면 "작품의 창작과 감상에 의해 정신의 충실한 체험을 추구하는 문화 활동"이라는 정의가 나오는데, 이에 따르면 "정치는 수백만 명의 운명을 결정하는 고도의 예술"이라는 명제는 성립되지 않는다.


 한 개념이나 용어를 특정한 의미로 고정시키면 그 의미의 그물에서 벗어나는 내용은 모두 배제되게 마련이다. 그 결과 선택된 것은 동일자가 되고 배제된 것은 타자가 된다. 미셸 푸코에 따르면,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배제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지식 체계다. 지식의 주요 기능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대상에 관해 뭔가를 가르쳐주거나 정보를 주는 데 있는 게 아니라 한 대상과 다른 대상의 차이를 규정하고 서로 구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식은 대상에 관한 정의를 내리며, 그 정의가 가져오는 구분은 필연적으로 배제를 낳는다.


 문제는 지식 체계가 누적됨에 따라 배제도 점점 쌓인다는 점이다. 산이 높으면 골짜기가 깊듯이 지식의 봉우리가 높아질수록 지식에서 배제되는 것도 지식의 그림자처럼 길어지고 짙어진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들리는 것은 항상 동일자의 목소리뿐이고 타자의 목소리는 감춰지게 된다. 동일자는 드러나 있기 때문에 알기 쉽지만 동일자에 의해 배제된 타자는 숨겨져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동일자는 늘 중요한 것처럼 느껴지는 반면에 타자는 너무나 익숙해서 당연시된다. 그래서 역사는 동일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서술된다. 더구나 그것은 역사의 반쪽에 불과한데도 불구하고 마치 역사의 전체인 양 포장된다. 그런 진행을 거부하고 역사를 온전히 복원하기 위해서는 숨은 것의 역사, 침묵한 타자의 목소리를 드러내야 한다. 그 방법은 뭘까?


 과거를 찾아내는 방법이라면 우선 역사학을 생각할 수 있다. 역사학은 전해지는 문헌과 자료를 통해 과거를 밝혀내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논거가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고 문헌과 자료만 풍부하다면 해당 시대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조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은 동시에 단점이 된다. 문헌과 자료는 지식의 산물이므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배제되고 누락되는 것이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그래서 다른 방법이 필요해지는데, 푸코는 고고학적 방법을 제안한다. 사실 타자의 역사는 역사가 아니다. 동일자의 역사에서 타자는 연속적인 역사를 이루지 못하고 무의식처럼 묻혀 있으며 흔적으로만 남게 된다. 흔적을 찾아내는 데 필요한 학문은 역사학보다 고고학이다. 역사학이 공식적으로 전해지는 문헌과 자료로써 과거를 복원한다면 고고학은 이미 버려진 유적과 유물(흔적과 자취)에서 과거를 캐내는 학문이다. 


 숨겨져 있다고 해서 모두 보물인 것은 아니듯이 타자의 목소리라고 해서 무조건 진실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캐낼 가치가 없는 타자의 흔적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타자의 목소리를 복원하는 일은 단순히 역사의 뒤안길을 더듬는 데 불과한 게 아니라 그동안 동일자의 목소리로 일관되어온 현실의 역사에 엄중한 경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용어정리 [타자화] : 타자(他者)는 자기동일성을 나타내는 ‘동(同:tauton)’, 또는 성질적 통일로서의 일자(一者:to hen)에 대립되는 개념. 타자는 일반적으로 일자에 대한 타자이며, 철학은 옛날부터 이러한 일자와 타자와의 논리적 관계나 형이상학적 관계를 문제 삼아 왔다. 그러나 타자를 한정시켜서 자기에 대한 타인(他人)으로 본다면 그런 경우는 자기와 타자의 인간관계가 문제시된다. 예를 들면 J.사르트르는 자타(自他)의 인간관계는 서로 타인을 부정하는 상극관계(相剋關係 : 타인은 지옥이다)라고 하지만 M.부버나 G.마르셀은 자타의 인격적 관계와 비인격적 관계를 구별하여, 전자의 관계에서 타자는 ‘나’에 대한 2인칭인 ‘너’이며, 후자의 관계에서는 타자가 3인칭으로서의 ‘그’나 ‘그것’이며 거기서는 타자의 인격이 ‘나’에 의하여 대상화(對象化)되고 물화(物化)된다고 생각한다. 즉, 타자화는 他(다를타) 者(사람자) 化(될화) = 다른 사람의 인격이 ‘나’에 의하여 대상화(對象化)되고 물화(物化)되는 것을 말함


05. 사람 장소 환대


4-1. 인격에 대한 의례 : 상호작용의례는 집단의 마나를 할당 받은 사회적 인격에 대한 의례이다. 이 의례의 단절 즉, 모욕은 상대방이 한 명의 온전한 사람임을 부인하는 일이자, 그 역시 공동체의 마나를 나누어 갖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부정이며 그의 성원자격에 대한 부정이다.


4-2. 배제와 낙인 : 상호작용의례에는 동등한 상호작용을 하는 정상인, 특정한 행동을 기준으로 조건부로 수용되는 낙인자들 그리고 애초에 상호작용에서 배제된 재소자들로 구성된다. 특히, 제소자들의 비인격화 과정과 낙인자들의 속성을 파악해보면, 성원권을 부여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것을 잘 알 수 있다. [재소자의 비인격화 : (1) 동질화 및 표준화 (2) 개인물품 소지 금지 (3) 신체적 변화를 강요 (4) 오염의 노출 + 낙인 속성 : (1) 신체의 괴물스러움 (2) 정신적 결함 (3) 종족적 스티그마]


4-3. 신분과 모욕 : 신분차별과 모욕은 어떻게 다를까?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에서 하대의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우선 하대는 신분의 지위의 높고 낮음만이 아니라, 사람의 크기와 관련된 개념이다. 우선 유교 사회에서는 예에 대한 언설의 생산을 독점한 양반 계층에 비해 배움의 기회가 부족한 상민은 인격적인 면에서 미성숙한 아이나 마찬가지이므로 어른인 양반이 말을 놓는 것이 당연하다고 받아들여진다. 여성의 경우도 그러하다. 대부분의 광고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작게 표현되고 보호의 대상으로 표현되어 어른과 아이의 관계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또한 외국인의 경우 언어가 서툴고 체류국의 제도와 관습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세상 물정 모르는 아이의 이미지를 갖기 쉽고 또 다른 문화를 배우러 왔다는 이미지 때문에 마치 견습생과 같은 이미지를 준다. 이는 외국인들에게 내국인과 같은 일을 시키면서도 더 적은 임금을 주고 반말을 쓰거나 머리를 쥐어박는 일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외에도 사회적인 타자화가 유아화를 동반하는 예는 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 생활 보호 대상자, 시설에 수용된 사람들 등이 있다. 이처럼 아이의 이미지는 그들의 신체와 정신이 더 쉽게 침범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그들은 더 작은 명예를 지니며, 더 쉽게 모욕당하고, 그러면서 그 모욕의 무게를 평가절하 당한다.


4-4. 사회의 발견 : 사회를 이해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구조들의 총체로 이해하는 방식과 상상적 공동체로 이해하는 방식이 있다.  구조들의 총체로써의 사회에는 정치 경제 문화 법 등이 모두 포함되며, 구조주의나 마르크시즘은 둘 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를 바라보며, 사회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유지되는 비결은 넓은 의미에서의 사회화라고 말한다. 사회를 상상적 공동체로 볼 때 사회이론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것은 성원권의 문제이며, 불확정적이기 때문에 시민권과 구별된다. 사회적 성원권은 의례를 통해 끊임없이 확인되며, 상호작용의례나 집단적 의례에 참여함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성원권을 확인하고 확인 받는다. 사회란 결국 이러한 의례의 교환 또는 의례의 집단적 수행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상상적 지평이다. 이러한 관점은 오늘날과 같이 개인들의 커뮤니케이션 지평이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현실에서 특히 유용할 것 같다. 상호의례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교환될 수 있고 사회의 경계는 인류 전체로 확대된다.


4-5. 사람이 되어라 : 사람이 된다는 것은 교육을 받는다는 것, 교양을 갖춘다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은 학교교육이어야만 한다. 학교는 무엇이 교양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기준을 독점한다. 독학으로 쌓은 교양은 인정받지 못한다. 누가 사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교양을 갖추었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대학이라는 상징 자본을 독점한 제도적 권위에 의해 판정되는 것이다. 한국 사회의 비정상적인 교육열은 이러한 설움을 자식에게만큼은 물려주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선택의 결과인 것이다.


[단편 영화 보기 : http://blog.naver.com/4eva3030/memo/221153262122]


4-6. 굴욕에 대하여 : 구조와 상호작용 질서는 개념적으로 구별될 뿐 현실에서는 결합되어 나타난다. 지위와 특권을 분배하는 구조를 내버려둔 채, 자신의 지위를 남용하는 사람들에게 원칙을 지키라고 호소하는 것만으로는 모욕이라는 공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오늘날의 신분주의 역시 그 배후에는 경제적 약자에게 굴욕적인 선택을 강요하는 자본가와 그들을 비호하는 정치가, 언론인, 교수, 법관이 있다. 한국사회 신분제로 회귀 – 단지 소득 수준, 교육 수준이 아니라 주거지, 학교, 소비시장, 언어에서 계층적 분리, 법은 이를 촉진하는 중, 특히 신분주의와 학교 폭력의 연관성 심각한 수준이다.


5-1. 순수한 우정과 순수한 선물 : 사회라는 연극 무대에서 사람을 수행하고 얼굴을 유지하려면 돈이 든다. 우리를 다른 사람들과 구별해주면서 동시에 동등하게 만들어주는 적절한 의상이나 소품과 같은 소유물들에 크게 의지한다. 얼굴을 유지하려면 사교하고 불리는 명예가 걸린 게임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선물은 이 게임에 사용되는 화살이자 방패이다. 경제력을 상실한 사람은 이런 무기들을 살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게임에서 탈락하게 된다. 경제적인 소외가 사회적인 소외로 이어진다.


5-2. 가부장제를 보완하는 국가 : 한국 가족은 구성원들 간의 유대가 물건에서 비롯되는 만큼, 경제 위기에 매우 취약하다. 가장의 실직은 쉽게 가정불화, 폭력, 이혼, 자녀 유기로 이어진다. 돈을 벌어오지 못하면 아버지가 아니라고 사람들이 말하고, 아내가 말하고, 무엇보다 그 자신이 그렇게 생각하기에, 일자리를 잃은 아버지들은 초라해지고 그만큼 난폭해지기도 한다. 아버지만 그런 게 아니다. 가족 전체가 같은 논리에 매여 있다. 밥을 안 해주면 엄마가 아니다, 공부 못하면 자식이 아니다, 늙으면 죽어야 한다…… 마치 자신의 유용성을 입증하지 못하면 가족의 일원이 될 수 없다는 듯이(유용성은 물건의 속성이다).


5-3. 증여와 환대 : 환대는 타자에게 주는 힘을 주는 것이며, 받는 사람이 또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따라서, 환대는 내가 받았던 성원권을 타자에게도 제공해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원의 재분배가 필요하다.


5-4. 공동체에 대한 두 개의 상상 : 절대적 환대가 타자의 영토에 유폐되어 자신의 존재를 부인당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치는 일, 그들을 인지하고 인정하는 일, 그들에게 ‘절대적으로’ 자리를 주는 일, 즉 무차별적이고 무조건적으로 사회 안에 빼앗길 수 없는 자리/장소를 마련해주는 일이라면, 우리는 그러한 환대가 필요하며 또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한 환대는 실로 우정이나 사랑 같은 단어가 의미를 갖기 위한 조건이다. 환대에 대한 질문은 필연적으로 공공성에 대한 논의로 나아가야 한다. 환대는 공공성을 창출하는 것이다. (아동학대 방지법, 청소년 쉼터, 주거수당, 실업수당 등) 자유로운 인간들의 공동체라는 현대적 이상은 이러한 공공의 노력을 통해 실현된다.


06.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비트코인.JPG

[블록체인 강의보기 : http://blog.naver.com/4eva3030/memo/221154248134]


(1) 개요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IT 업계에서는 달러와 금을 대체할 ‘사이버 화폐’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흥분하고 있다. 하도 비트코인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지니 일반인도 “비트코인이 대체 뭐야?”라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다 2013년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최고 90배나 상승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투기 열풍마저 불고 있다.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명일 가능성이 높다.)가 설계해 2009년 만들어졌다. 총발행량은 2,100만 BTC(Bitcoin의 약자_편집자)이고 현재 대략 1,200만 BTC가 발행됐다. 총량이 정해져 있고 수량통제가 엄격히 이뤄진다는 점에서 ‘사이버 화폐’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암호를 풀 때마다 하나씩 비트코인이 지급되는데 갈수록 난이도가 높아져, 이젠 슈퍼컴퓨터 수준이 아니면 ‘채굴’이라는 과정으로는 비트코인을 얻기 어려울 정도다. 그래서 여러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스를 활용, 채굴해서 이를 나눠주는 전문 채굴업체도 생겼다. 혹시 내 컴퓨터로 비트코인 채굴에 도전하겠다는 생각을 한다면 말리고 싶다. 얻게 될 비트코인 가치보다 전기료만 더 나올 뿐이다. 세계 각국의 비트코인거래소를 통해 직접 구입하는 게 훨씬 빠르다. 중국인과 미국인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 특히 신용카드 사용률이 저조한 중국에서 화폐 대신 비트코인을 이용한 거래가 활성화됐다. 그러나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비트코인 유통과 결제를 금지하면서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한 건 달러의 신뢰도 추락으로 설명된다. 미국 정부를 믿고 통용되는 달러는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해 무한정 풀려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달러 가치가 급락하지 않는 건 국제 화폐라는 지위 때문이다. 사실 비트코인 열풍의 핵심은 ‘비트코인이 살 만하다.’가 아니다. ‘달러’의 존재 근거에 대해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그에 사람들이 호응하고 있는 것이다. 과연 달러와 비트코인이 다를 게 뭐 있느냐는 항의인 셈이다.


 독일이 1차 대전 후 초인플레를 겪던 1923년, 독일의 통화 관리자였던 마르 샤흐트[Hjalmar Schacht]가 11월 15일에 렌텐마르크를 도입했다. 당시 렌텐마르크는 토지를 발행 근거로 삼아 24억 마르크로 통화발행을 엄격히 제한했다. 따라서 1923년 독일에는 제국마르크와 렌텐마르크, 두 개의 통화가 공존했다. 샤흐트는 통화가 신뢰를 갖기 위해선 통화량을 적게 유지하는 게 핵심이라고 봤다. 샤흐트는 1조대 1의 비율로 제국마르크와 렌텐마르크를 교환했고 이를 통해 독일의 초인플레도 진정됐다. 사람들이 근본 없는 통화인 비트코인에 열광하는 이유도 공급이 제한돼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최근 비트코인의 가격 추락은 사이버 화폐의 한계를 명확히 드러내 줬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영향력 있는 발행자가 뒷배에 있지 않다는 점, 국가권력이 인정하지 않는다면 존재 자체가 ‘불법’이라는 멍에로 부정당할 수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미국은 인민폐, 엔화, 유로화 등에 국제 통화 지위를 넘겨주느니 비트코인을 받아들여 버리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은 비트코인을 부정했다. 한국은 항상 그렇듯 유보적이다. 혹자의 지적대로 ‘창조코인’을 내놓으면서 비트코인을 사용하지 못하게 규제할지도 모른다.


 비트코인은 투자 대상으로는 부적합하다. 언제라도 사토시라는 실제 인물이 나타나 비트코인 시스템 자체를 없애버리면 그뿐이다. 가격 변동성도 크다. 단, 낮은 수수료의 결제수단으로써 비트코인은 충분히 가치가 있다.


 신용카드 수수료, 환전 수수료를 지불하는 대신 비트코인으로 결제를 대신하면 수수료가 1% 이내로 줄어들 수 있다. 은행, 카드회사 등 중간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현재 비트코인은 화폐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 같은 거래가 가능하고 또 익명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은밀한 거래 시 애용된다. 예를 들어, 정치인에게 비자금을 건네고 싶을 때 추적 가능한 계좌나 부피가 큰 현금 대신 USB 메모리에 50억 원쯤 담아서 주면 된다. 


(2) [철학]적 관점 : 합의 + 이기적 채굴 <= 죄수의 딜레마 


합의 알고리즘 [추가 내용 더 읽기 : 플렛폼에서의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을 사용에 참여하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데이터를 입력,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 3의 신뢰기관 (TTP: Trust Third Party)없이 신뢰성 있는 거래를 하기 위한 근간 기술인 합의 알고리즘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끼리의 특정 매커니즘 동작 후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해 블록체인의 상태가 안전하게 업데이트되고 유지되어,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된다.


이기적 채굴 [추가 내용 더 읽기 : 이기적인 채굴 방안 분석]


 채굴자들은 더 많은 채굴 능력 (mining power)이 있으면 가장 먼저 퍼즐을 풀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채굴 능력을 모으기 위해 풀(pool)을 형성하여 더 많은 이익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풀에 채굴자들이 악의적인 의도로 결합하여 풀에 있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울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함이 알려졌다, 이를 이기적인 채굴이라 한다


(2) [경제/법률]적 관점 : 유가증권 + 추가 규정 [추가 내용 더 읽기 :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의 법적 쟁점과 운용방안]


 비트코인은 금융기관 등 발행주체가 없으며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발행되는 점에서 기존의 디지털화폐 및 가상화폐와는 차이가 있다. 발행기관의 존재는 해당 화폐의 통용력, 규격화, 신뢰성, 발행량 조절 등과 연결되는데, 비트코인은 발행기관이 없음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유효성을 검증하고 채굴(mining)절차를 사용해서 발행량을 조절한다. 즉, 비트코인은 발행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통상적인 디지털 또는 가상화폐처럼 계약에 의해 뒷받침될 수는 없지만, 기술적인 방법에 의해 발행기관의 통제에서 자유로운 결제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보통, 유가증권(有價證券)은 사권(私權)이 화체되어 있는 증권으로서 그 권리의 발생⋅이전⋅행사의 전부 또는 일부에 증권의 소지가 필요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유가증권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유가증권은 크게 ‘권리의 화체’와 ‘증권의 소지’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상법상 화물상환증, 선하증권, 창고증권, 주권, 어음, 수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비트코인은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구매에 이용할 수 있는 결제수단이라는 점에서 상품권 등과 비슷한 측면이 있으나, 비트코인은 그 자체가 교환의 매개물이고 별도의 권리나 청구권이 화체되어 있지 않다. 즉, 비트코인 표시상품의 대가로 비트코인을 교부하는 것은 계약의 본지에 따른 지급이 되는 것이고, 상품을 구매한 대가로 비트코인을 지급에 갈음하거나, 지급을 위하거나, 지급을 담보하여 건네주는 것이 아니다. 증권(security)의 개념은 각국의 증권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위에서 살펴본 유가증권의 개념과 비슷하다. 따라서 비트코인과 증권은 차이가 있다. 다만,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옵션 등의 파생상품거래는 비트코인이 아니라 파생상품이므로 파생상품법규의 적용대상이 된다.


(3) [기술]적 관점 : 블록체인 시스템 + 해시 생성방식 [해시 생성방식 강의 보기 : http://blog.naver.com/4eva3030/memo/221155994451]


블록체인.JPG


 비트코인은 최초 비트코인 블럭 생성 이후 현재까지 쌓인 해시 함수를 풀어낸 기록을 처음부터 반복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이전 거래 기록을 수정할 수 없도록 하는 노동 증명(proof-of-work)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도입하여 거래의 유효성 확인 및 부정 사용 방지를 수행한다. 비트코인을 이용한 모든 거래 기록은 비트코인 시스템 내의 모든 컴퓨터(노드)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가짜 비트코인 혹은 이중 사용 등과 같이 부정한 거래를 시도할 경우 비트코인 시스템 내 과반수의 컴퓨터에 저장된 모든 과거 거래 기록들을 동일하게 위변조 해야 한다. 반면, 거래에 대한 인증(transaction verification)은 경쟁과정을 거쳐 승리한 임의의 노드에 의해 수행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유인체계 - 신규 비트코인 및 수수료 수익 -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증에 다소 시간은 걸리더라도 특정한 소수의 컴퓨터에 유효성 검증 및 거래 인증을 의존하지 않으면서 비대면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4) 관련 예상 질문과 답변들 [추가 내용 더 읽기 : 비트코인의 이해]


1. 비트코인 시스템은 특정 제3자에 의한 거래 인증이 없이 어떤 식으로 신뢰할 수 있는 비대면 거래를 구현하는가? 

2. 비트코인을 화폐로 간주하는 근거와 금융 혹은 상품 자산(financial assets or commodity)으로 간주하는 근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라.

3. 비트코인이 왜 디플레이션 특성을 갖게 되는지,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금융경제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4. 크루그먼(Krugman), 루비니(Roubini), 실러(Shiller) 등 다수의 금융 및 거시 경제학자들이 비트코인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금융경제학 관점에서 이에 대해 설명하라.

5. 반면, 버냉키(Bernanke) 前 미 연준 의장은 비트코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역시 금융경제학 관점에서 이에 대해 설명하라.

6. 비트코인의 통화 공급 방식이 장기적으로 통화로서의 이용에 큰 제약이 되지 않는다는 시각도 있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라.

7. 비트코인이 다른 통화 혹은 자산에 비해 투기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 세 가지 주요 원인을 제시하라.

8. 정부 규제가 비트코인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바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바를 화폐시장 및 자산 가치 안정성 관점에서 각각 설명하라.

9. 비트코인이 등장함에 따라 가장 위협받는 지급결제 관련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는 국제 송금 중개 및 수수료 수취이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라.

10. 비트코인 결제가 기존 송금 및 결제 방식에 비해 갖는 약점은 무엇인가? 해당 문제점이 온라인 (비대면) 결제 수단과, 스마트월렛 등 오프라인(대면) 결제 수단 중 어떤 쪽에 더 큰 문제가 되는가? 


07. 지평을 넓히는 개념과 개념들 


(1) 마나 vs 공동체 의식 vs 탈주술 사회

(2) 고립된 노인과 팻로봇 : 빅퀘스쳔 (왜 짝을 원하는가 01/02편 참고) => A Human-Robot Interaction Entertainment Pet Robot 에 대한 솔루션 제공 가능 + 반려동물과 노인의 삶

(3) 길가메쉬와 엔키두 -> 사람이 되는 과정 (사피엔스 + 욕망이론과 연결 가능)


 길가메쉬와 엔키두.JPG


(4) 전태일 분신 + 사람이 되어라 부분과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