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오름

교사들을 위한 수학으로 통합적 사고하기
-수학의 역사로 살펴보는 ‘수, 계산, 수학’


♠ 여  는  날 : 2008년 2월 12일 불날
♠ 여는 시간 : 이른 10시-12시 30분
♠ 모집 인원 : 20명
♠ 수  강  료 : 30만원(12강)
♠ 강       사 : 김용관 선생님
                    (성미산학교에서 어린이들과 함께 수학공부를 하고 계십니다.)
♠ 대       상 : 아래 강의 내용을 흥미롭다 여기고 함께 공부하고 싶으신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 신청 방법 : 전화신청하시고 입금하시면 됩니다. 입금순으로 마감하겠습니다.
                  2679-6270~2(김경주, 이하나)
                 계좌번호 : 국민 박형만)539102-01-130956

♠ 강좌 개요
우리는 학교에서 수학을 문제라는 형태로 공부합니다. 수학의 언어는 추상화된 기호이기에 그 기호의 의미를 모른다면 ‘수학’이나 ‘수학의 문제’에 대한 의미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의미를 모른다면 재미와 흥미, 나아가 수학적 논리력을 키우기가 쉽지 않겠죠.
수학의 역사는 추상적인 수학의 언어들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들여다보는 공부입니다. 수학사는 수학이 품고 있는 숱한 이야기와 사유의 과정, 논리의 전개 과정을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본 강좌는 수학의 역사를, 통합교과적 관점을 통해, 문제 구성으로부터 풀이, 응용의 과정까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 진행 방식
강의-모둠별 토론-실제 수업 경험과 응용

♠ 강의목표
          ○수와 수의 계산에 관련된 원리들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다.
          ○수학의 역사를 통해 통합교과적 관점을 갖춘다.
          ○수와 수학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에 대해 살펴본다.

♠ 전체 흐름
          Ⅰ. 수란 무엇인가? – 수의 역사
          Ⅱ. 계산이란 무엇인가? – 계산의 역사
          Ⅲ. 수를 통해 수학이 만들어지는 사례들 – 면적과 비례의 역사
          Ⅳ. 다른 방식의 수학공부-그리스의 작도
          Ⅴ. 수학이란 무엇일까?

♠강의 내용
Ⅰ. 수란 무엇인가?
       1. 수와 숫자는 왜, 언제,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구석기, 신석기, 고대 이집트 사회와 수
               ○‘수를 센다는 것’의 의미와 ‘수를 셀 수 있기 위한’ 인식의 과정
       2. 0은 왜, 언제 만들어졌으며, 왜 우리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는 것일까?
               ○메소포타미아, 중국, 마야, 잉카, 아즈텍, 그리스, 로마, 기타의 수 표기법
               ○아라비아 숫자의 형성과정과 원리들
       3. 분수, 소수, 음수, …  다양한 수들은 왜 만들어졌을까?
               ○분수, 소수, 음수, 무리수, 복소수 등의 등장 배경과 의미
               ○수란 무엇이며, 수의 역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4. 왜 수를 통해 세계를 해석하고, 세계를 구성하게 되었을까?
               ○신화, 이야기, 그림, 조각 등에서의 수의 활용 찾아보기
               ○수를 통해 세계를 해석한 고대인들의 사고 – 수 상징주의

Ⅱ. 계산이란 무엇인가?
        5. 수들간의 관계를 따지다. 왜? 어떻게?
                ○홀수/짝수, 배수/약수, 완전수/부족수/과잉수, 소수, 친화수의 의미
                ○수에 관해 아직 풀리지 않은 역사적인 문제들
        6. 계산, 어떤 원리와 규칙, 순서로 해야만 하는 것일까?
                ○기호의 역사와 의미, ×/÷을 먼저 계산해야 하는 이유
                ○음수와 음수의 곱이 양수가 되는 이유와 의미

Ⅲ. 수를 통해 수학이 만들어지는 사례들(면적,비례)
        7. 면적 문제는 왜 등장을 했고, 어떻게 해결해갔을까?
                ○사각형과 다각형, 원, 곡선 등의 면적문제 해결의 과정과 원리
                ○플라톤과 케플러가 면적문제의 발전에 미친 영향
        8. 비례문제의 등장 배경과 응용
                ○비례 관련 문제들, 응용 사례, 비례와 미학의관계
                ○황금비의 정확한 의미와 역사적 과정 및 중요한 이유

Ⅳ. 다른 방식의 수학공부-그리스의 작도
        9. 그리스인들의 수학 풀이법인 작도 직접 해보기
                ○작도가 갖고 있는 철학적인 의미
                ○기본 작도로부터 정다각형 작도, 황금비작도, 비례/면적문제 작도

Ⅴ. 수학이란 무엇일까?
        10. 수학의 원리 및 특성, 수학적 관점 찾아보기
                ○수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 정리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들을 원리에 따라 분류하고 이해해보기
        11. 수학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수학을 공부해가는 과정 살펴보기
                ○수학 공부의 방법을 수학화의 과정을 통해 찾아보기
                ○수/연산/방정식/함수/집합/미적분/확률... 등의 의미와 관계들
        12. 수학을 공부한다는 것의 방법과 의미에 관한 종합 토론
                ○공부 방식에 대한 존재론적/관계론적 해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공지 평생교육원 교육예술연수 우수프로그램선정!!!!!!! 2011-12-15
공지 평생교육원 제 8회 평생학습대상 '우수상' 수상!!!!!!! 2011-12-14
공지 평생교육원 수강신청과 환불 2008-09-17
공지 평생교육원 강의 의뢰서 file 2007-02-02
28 평생교육원 슈타이너의 일반인간학과 흙조형작업 기초과정 강좌 2012-01-20
27 평생교육원 제1기 <토론 - 디베이트 전문가 과정> 강좌 안내 2012-02-03
26 평생교육원 46기 초등논술교사양성과정 강좌안내 2012-02-04
25 평생교육원 43기 중등논술지도자 과정 강좌 안내 2012-02-04
24 평생교육원 5기 세계사 강독 <문화로 읽는 세계사> 강좌안내 2012-02-09
23 평생교육원 10기 실전 역사논술 교사양성과정 강좌 안내 2012-02-09
22 평생교육원 2012년 봄여름학기 해오름 살림학교 프로그램을 알립니다. file 2012-02-20
21 평생교육원 중·고등 논술교사를 위한 심층독해 3기 강좌 안내 file 2012-04-04
20 평생교육원 2013학년도 수시대비 주요대학 기출논제 해제 강좌 안내 file 2012-04-06
19 평생교육원 [서울시 평생학습 프로그램 공모사업] 교육예술연수 2기 수강생 모집 안내 file [1] 2012-04-10
18 평생교육원 2012년 고등논술 지도자과정 6기 5월(2학기) 강좌 모집 안내 2012-04-17
17 평생교육원 <에니어그램의 지혜 - 9가지 유형으로 보는 인간유형별 이해> 강좌 안내 2012-05-17
16 평생교육원 2012 해오름 고구려 역사유적지 중국 탐방 안내 file [1] 2012-05-29
15 평생교육원 [여름방학 슈타이너교육 교사연수] 슈타이너 기질론과 학년별 습식수채화, 흙조형작업 강좌 안내 file 2012-06-21
14 평생교육원 2013학년도 2-1, 2-2 주요대학 수시대비 파이널 논제해제 강좌 안내 [1] 2012-06-21
13 평생교육원 토론 - 디베이트 전문가과정 2기 file 2012-07-03
12 평생교육원 9월 개강 강좌 안내 - 초등, 중등, 디베이트 전문가 2012-07-03
11 평생교육원 한국근현대사 공부 모임 -해방일기 사랑방을 엽니다. 2012-07-24
10 평생교육원 세상을 보는 또 다른 눈 - '영화 논술' 강좌 안내 file 2012-07-24
9 평생교육원 한국근현대사 공부 모임 - "해방일기 사랑방" 두번 째 8월8일 2012-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