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역사논술 나눔터
5강 삼국의 생활 모습과 불교
1. 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풀빛)
학습목표: 유물 유적 등 다양한 소재를 통해 역사를 입체적으로 배운다.
-퀴즈로 내용 정리
<고구려 사람들은 왜 벽화를 그렸을까>를 과제로 읽어오기-사진 자료는 많으나 다소 산만하므로 수업시간에 퀴즈로 전체 줄거리를 체계적으로 잡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지도로 고구려 역사 복습하기
①삼국의 성립시기(3세기):고주몽은 부여에서 나와 졸본성에 도읍지를 정하고 고구려를 세운다. 그 후 유리왕 때 국내성으로 도읍지를 옮긴다.
②고구려의 전성기(391~491):광개토대왕은 북쪽으로 영토를 넓힘. 장수왕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 남하정책을 펴서 신라와 가야까지 압박하였다.
③고구려와 당의 전쟁(645):당나라의 계속된 공격으로 고구려의 영토가 줄어들고 국력이 약해진다. 얼마 뒤 고구려는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668년 멸망하게 된다.
-고구려의 전쟁과 관련된 유적 유물은?
①고구려는 끊임없는 전쟁으로 산성의 나라라고 할 만큼 산성을 많이 쌓았다. 평상시에 생활하는 평지성(국내성)을 만들고 주변에 산성(환도산성)을 쌓아, 국내성에 적이 쳐들어오면 환도산성으로 옮겨서 싸웠다.
②갑옷: 말에게도 갑옷을 입힐 만큼 철이 풍부했고 또한 전쟁이 많았음을 시사해 준다. 미천왕이 낙랑군을 무찌른 후에 철 생산지를 획득한 이후 철이 풍부해짐.
③수렵도를 통해 고구려인들은 말을 타고 돌아서서 사냥을 할 만큼 기마술과 활쏘기에 능했음을 알 수 있다. 활 쏘는 사람이 머리에 화려한 깃털을 꽂은 것에서 신분이 높은 사람임을 알 수 있다. 끝이 둥근 화살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사냥감이 피가 나거나 상처가 나면 안 되는 제수용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수렵도에서 산을 사람보다 작게 그리고 있는 것에서 고구려 사람들은 자신을 중심으로 자기생각대로 그림을 그리는 관념도를 그렸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의 신화적 특징을 정리해 본다면?
①신탁: 모든 중요한 일을 신에게 의지함. 만약에 실패한다면 신에게 제사를 잘못 지냈기 때문이라고 하여 더 크게 제사를 지냄.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것들을 신격화함. 불신, 농사신, 쇠신, 바퀴신 등
②나무를 신성시함: 나무는 신의 심부름꾼인 새들의 보금자리이고 땅에서 위로 자라므로 신과 인간을 연결해준다고 생각함. 이후 당산나무, 솟대, 서낭당 등으로 발전함.
③토속신앙: 곰 토템사상은 단군신화에 흡수되어 약화되었지만 호랑이 토템사상은 신선사상, 칠성각 등에 강하게 남아 있다.
-‘역사’ 그림이 상징하는 것은?(고구려 사람들은 왜 벽화를 그렸을까>25쪽
‘역사’는 서역인으로 서역과 고구려가 교류했음을 의미한다.
<고구려 사람들은 왜 벽화를 그렸을까>5쪽: 사마르칸트와 교류했음을 보여주는 벽화로 고구려가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받을 때 도와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음.
-고구려인들의 생활모습은?
(<한국사 편지>를 읽고 간단히 발표. <고구려 사람들은 왜 벽화를 그렸을까>를 보고 설명)
①의-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일을 하지 않았으므로 화려하게 입었고 하인들은 간편하게 입는 것이 일반적임.
②식-신분이 높은 사람들은 고기를 풍족하게 먹었지만 신분이 낮은 서민들은 고기 구경도 못함.
③주-고관대작은 마차를 보관하는 차고가 있을 정도로 잘 살았음. 온돌생활을 함
③춤과 노래-“흥이 많은 민족” 고관대작이 출타할 때, 앞에서 광대들이 묘기를 부리며 안내함.
-고분 벽화에 담긴 고구려인들의 정신세계는?(고분 벽화를 왜 만들었을까를 생각해 보자)
①죽은 다음에도 복 받고 싶다는 내세구복
②나를 알아달라는 신분과시
③불교의 윤회사상의 영향
<활동>
①나도 고고학자-벽화를 통해 알 수 있는 역사적 상상력 키우기
②중국의 동북공정 알아보기
2. 백제 문화의 시기별 특징
학습목표: 백제 문화 발전의 배경과 특징을 알아본다.
-백제 유적의 중심지는?
공주(웅진성 67년), 부여(사비성, 120년), 위례성(약500년)
-백제 역사를 왜 잃어버린 왕국이라고 하나?
위례성 시대 500여년의 유적, 유물이 별로 없음. 현재 이 지역에 롯데월드가 들어서 있어서 발굴이 불가능해짐. 공주나 부여에도 경주에 비하면 유적이나 유물이 적은 편임. 당나라의 공격으로 백제의 유적이나 유물이 많이 훼손됨.
-백제 문화 발달의 배경은?
한강 유역을 가장 먼저 차지하여 중국의 선진문물과 교류함. 한강유역의 풍부한 농업생산력으로 생활이 풍요로워져 문화가 발달함.
-시기별 특징 정리하기
-위례성 시기 ①풍납토성: 한강유역이었기 때문에 해마다 범람을 하자 소금, 횟가루, 숯, 흙 등을 섞어 판축법(版築法)으로 토성을 쌓음. 횟가루는 물에 닿으면 단단해지는 속성이 있음. 횟가루의 사용과 판축법으로 1500여 년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었음.
②삼발이 청동그릇: 중국에서 수입해서 사용할 정도라면 왕족이나 귀족이었을 것이다.
③깨진 항아리의 조각에 “大夫”라는 백제의 관직이름이 써져있음. 관리가 살았다면 도읍지였을 것으로 추정됨.
④거대한 적석분 발견: 근초고왕이 것으로 추정.
-웅진성 시기: 장수왕의 남하로 개로왕이 죽자 문주왕이 웅진성으로 천도함. 금강 남쪽에 도읍을 정하고 공산성을 쌓았으나 일국의 수도라고 하기에는 작았음.
무령왕릉 발견 ①유일한 벽돌무덤으로 중국의 양나라 기술자가 만듦. 불교의 영향으로 돌 하나하나에 연꽃무늬를 새겨 넣음. ②불꽃무늬 장식은 북방유목민족의 장식으로 백제가 북방민족의 후예인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려줌. ③돌짐승(석수):상상의 동물로 스핑크스처럼 무덤지킴이이다. ④왕과 왕비의 관: 일본의 금송에 옻칠을 해서 원형 그대로 현존함.
-사비성 시기: 성왕은 신라에게 한강유역을 빼앗기자 격분하여 관산성 전투에 참가하나 전사한다. 아들 위덕왕이 아버지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①금동대향로를 만듦. 금동대향로는 백제의 금도금 기술의 우수성(똑같은 두께로 도금함)과 도교 신선사상의 영향으로 무릉도원을 표현한 점 그리고 향 구멍의 정교함이 돋보임. ②정림사지 5층석탑-비례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줌 ③미륵사지-160cm나 되는 치미의 길이로 보아 절이 상당히 컸음을 알 수 있고 무왕은 멸망할지도 모른다는 절박함을 불교에 의지했을 것이다.
-기와 연꽃무늬의 시대별 변천이 의미하는 것은? 불교의 영향이 컸음을 의미함
-백제 문화의 특징을 정리하면?
①국제문화-중국, 일본과의 교류, 근초고왕 때 일본에 육모창을 하사함
②불교문화
<활동>
①자료읽기
②백제 문화 발전의 배경과 시기별 특징 화보와 함께 정리하기
3. 유물 유적을 통해 본 신라(<생활사 박물관 신라편>)
학습목표: 신라 유적을 통해 신라 사회를 읽는다.
-퀴즈 풀며 내용 정리
<삼국유사-여행하며 읽는 우리 고전>을 과제로 읽어오기-수업시간에 퀴즈로 정리해 보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다른 점: 삼국사기는 고려 초 거란족의 침입으로 정치가 불안해지자 인종 때 고려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서 김부식(당시 사대주의 관점, 신라 중심)이 집필함. 삼국유사는 고려 원나라 간섭기인 충렬왕 때 우리 민족의 고유성과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일연 스님이 씀. 단군신화를 처음으로 기록하여 자주적인 입장에서 고대역사를 봄. 신라중심, 경주중심, 불교중심으로 기록함.
-신라 초기 모습을 알려주는 이야기들: ①알신화-박혁거세 신화, 석탈해 신화, 김알지 신화. 석씨 박씨 왕위쟁탈전-미추왕 때 처음으로 김씨가 왕이 됨-내물왕 이후 김씨 세습 등을 통해 초기에 왕권쟁탈전이 심했음을 알 수 있다. 지증왕 때 처음으로 “왕”이라는 칭호를 씀. ②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대릉원, 천마총(적석목곽분의 전형), 황남대총(순장 풍습이 보임), 미추왕릉(추정)
-골품제와 선덕 여왕, 김유신, 김춘추
골품제-골품제로 중앙귀족과 지방귀족의 서열이 확실히 나눔. 법흥왕 때 법제화
선덕여왕-진평왕이 아들이 없자 성골만 왕위를 계승해야했기 때문에 여왕이 등장. 반월성 옆에 첨성대를 만들에 별을 관측하고 기우제를 지냈을 것. 여왕으로서의 신격화하기 위해 황룡사 9층 목탑을 만들었을 것.
김유신-조부 때 가야에서 왔으므로 골품이 없었다. 골품이 높은 집안과 혼인을 추진하였을 것. 김유신은 자신의 동생 문희와 김춘추의 결혼을 통해 김춘추의 골품 즉 정치적 배경을 김춘추는 김유신의 군사력을 원함.
-통일 후의 신라 사회를 알려주는 이야기들
문무왕의 수중릉-죽어서도 신라를 지키겠다. 아들 신문왕이 아버지를 위해 감은사지를 지음. 무기를 녹여 쟁기를 만들어 백성들이 편안하게 농사짓도록 하라는 유언을 남김
-신라의 3대 보물: 진평왕의 옥대, 황룡사 9층 목탑, 황룡사 불상
<활동>
①삼국 시대 무덤 양식에 대한 설명을 읽고 그림 그리기
②퀴즈 풀며 지도 여행하기
훌륭한 정리입니다^^
깜놀할 정도네요~~~
내용을 완전 이해하시고 선생님 것으로 만드셨네요
하지만 옥에도 티는 있는 법~~ㅎㅎㅎ
즐거운 지적질 시간입니다
고구려 멸망 시기는 668년 임다
고구려의 도움 요청을 사마르칸트는 아마도 추정이 아니라 확실히 거절했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은 선덕여왕 때 만들었지만 황룡사는 진흥왕 때 지었다는 것~
이건 선생님께서 틀렸다는 것은 아니고요 하도 지적 할 게 없어서 걍 한번 써 봤어요~~ㅋ
안녕히 주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