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혁명의 원동력

1. 수용 => 수요증가 (대항해 시대, 식민지 형성, 생산이동이 이뤄짐)

2. 능력 => 분업과 증기기관

   산업혁명의 원인은 분업과 증기기관이 동시에 이루어졌기에 가능했음

3. 동기부여 => 아담스미스 이론 참고

* 영국의 인클로저 운동의 의미

1. 농노들이 빈민자들이 되어 도시로 감-> 공장의 노동자가 됨

2. 영주들의 사유화 진행 (영주는 땅의 관리자였으나 농노들을 몰아내면서 땅의 소유자가 됨)

* 노동가치설

: 물건의 궁극적 가치는 노동이다.

  노동의 가치 인정 여부에 따라 마르크스와 자본가의 주장이 달라짐

* 천부인권 = 재산권 (부르주아들이 재산을 지키기 위해 만든 것)

부르주아들이 재력을 바탕으로 정치를 주도함

정치적 뒷받침 -> 왕정 무너짐 -> 부르주아 입장 대변하는 정치인 등장 -> 입헌군주제 만듬

★ 산업 혁명의 원인 : 정치, 경제적 배경이 섞여서 사회 각 분야에서 발생 => 생산의 중심지인 도시가 형성됨

* 과거의 소비 특징

   지속가능한 성장 : 수요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생산 후에 판매함, 생산이 늘어야 안정

   귀족들만 소비함

* 소비패턴의 변화

임금 인상- 시장에 문제 발생하자 노동자들이 소비하게 만듬

예시) 헨리 포드 (20C) :경제사의 중요 흐름 바꿈

컨베이너 시스템(대량소비 시스템)을 만들었음(분업)

헨리포드 이후에 소비사회가 됨(상업적 영역 확대)

* 80년대 큰 변화

 

1. 사회주의 몰락

2. IT 산업의 발달

   새로운 형태의 경제 등장 - 대여(렌탈)의 대중화

  산업 구조의 변화 - 제조업에서 탈피, 고부가가치 창출, 과거에는 이윤과 장인정신이 공존했으나 현재는

  이윤추구가 우선됨

 

* 두 종류의 자본가

1. 산업 자본가 : 장기적 경영(이미지 고려)

2. 금융 자본가 : 단기적 경영(단기 투자, 이윤 추구 우선, 주가 상승

* 고전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비교

 

1. 고전적 자유주의 특징

   - 인간의 이성을 믿음(인간은 선함)

   - 국가 개입 반대(약한 정부, 야경 국가)

2. 신자유주의 특징

   - 인간은 경우에 따라 비이성적 행동가능

   - 국가 개입 찬성(강한 정부)

   - 시장적 가치 창조

   - 노동 시장의 유연화(비정규직 증가)

   - 공기업의 민영화 발생, 예) 철도

◆◆ 다음 주 수업 예고 : 한국의 정치 구조, 민주주의 사회

과제 1. 「태평천하」,「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아우를 위하여」읽어 오기

       2. 한국사회 정치에서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 찾아 이유와 함께 설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