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식을 지배하는 강력한 프레임이 있다>

*전자정부  1위 스웨덴 2위 한국

        <---->  지문 날인거부 (우리나라 사람들의 시민의식 /정치의식 문제 ---불이익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 나 하나 꽃 피어       -조동하-

   --- 한 사람의 실천이 중요

 

* 영화 < 십분간의 휴식>

 ---  군대문화는 사회의 축소판

 --- 밀그램의 실험(행동주의 심리학) : 취조자  ---  죄수

                                                                  책임이 나에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인간은 자아의식없이 이을 저지를 수 있다.ㅗㅣ

                                                                  악의 평범성

 

* 영화 <파수꾼>

  --- 고등학생들이지만 상명하복의 사회

  --- 고등일진 - 조폭 - 건설회사 - 지역사회유지

 

*파시즘은 어떻게 시작하는가? (가부장성)

   @ 언어사용의 문제

        예 ) 헬메르 : 반말,   로라 : 높임말

                로라는 오ㅐ 관습에 저항하지 못했을까? ---독립적인 여성관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차단 ( 재산상속때문)

                                                                                            <---->  모계사회

                                                                                       ----->파시즘의 뿌리는 가부장성에서 나온다.

   ------> 역사적으로 봤을 때 계급을 형성하게 한 건 '언어'다.  ---> 독재를 가능하게했다.( 언어를 남자가 만듦, 고대철   학자 대부분 남자

 

   @폭력

       개인간의 폭력 --->  국가의 공권력 ---> 국가가 폭력을 독점했다.

        예) 파업현장  - 경찰이 노동자를 보호하지 않고 자본가편

 

*파시즘 에  대한 우리의 태도

----->강제적 공동체 주의는 위험

 ----> 내가 용기를 내어 어떻게 실천하는가의 문제 (가정---> 학교--->사회)

 

*대안을 모색해 보자

<오래된 미래> 를 읽고 8강 준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