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기 중등논술지도자 과정 3강 정리


♠ 들어서는 글

 지식채널e 0581 <핀란드의 실험Ⅰ탈출구>

                   0584 <핀란드의 실험 Ⅱ 더 많은 차별>

  → 핀란드는 여러 나라의 긴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였지만 잦은 전쟁으로 많은 피해를 입고 1970년대에는 가장 빈곤 국가였다. 그러나 인적자원에 집중 투자하는 과감한 선택으로 현재는 세계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은 주목받는 나라가 되었다.

      우리 나라 학교의 현실은 선생님들까지도 공부 잘하는 아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경쟁을 부추기는 교육을 하고 있다. 공교육과 다른 교육 방식의 대안학교는 정부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해서 학부모의 금전적 부담이 크고, 학부모의 학교 행사 참여를 많이 필요로 하는 체제이다. 그럼에도 대안학교가 늘어나고 있고, 최근에는 상류층의 자녀들이 많이 다니고 있다. 학교 선생님도 자녀들을 대안학교에 보내고 있어 공교육의 문제점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진중권의 꼰대와 멘토의 차이.

  - 꼰대: 수직적 관계, 종속적, 일방적, 자기 만족, 완전한 존재와 불완전한 존재로 여김, 자기 반성이 없음, 완고함.

  - 멘토: 상호적 관계, 멘토나 멘티가 함께 성장, 인격적 성장, 수평적 교류


♠  <꽃들에게 희망을> 을 읽고 작품 분석

  → 독해는 텍스트 내용에 관한 발문을 하는 것이고, 심화 및 확산 문제는 텍스트 주제로 발문을 하는 것이다. 

   1) 독해를 위해 꼭 확인해 볼 질문

     ■ 발문 예제

       Q1. 정든 나무 - 본능, 일상적 삶. 정든 나무 떠나는 것 - 스스로 선택하는 삶.

  → 에펠탑 효과: 상품에 계속 노출되면 익숙해 짐, 선호하게 됨, 호감 관계를 맺고 있어 순응하게 됨, 비판적 의식이 없어짐.

       Q2. 보이지 않는 기둥 꼭대기 - 꼭대기에 대한 기대감으로 오르려고 함.

              오르던 도중 내려온 이유 - 의미없는 경쟁, 가치없는 행동에서 가치 이동(전환)으로 새로운 가치를 쫓아감.

  → 새로운 앎의 세계로 나아감.

       Q3. 다른 벌레들과 눈이 마주치지 않도록 조심한 이유 - 비참한 결과를 알고 있기 때문에, 자기 방식의 정당화,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기 위해.

              기둥 내려갈 때 애벌레들의 눈 쳐다본 이유 - 부끄러움을 벗어났기 때문.

      ☞ 생각해 볼 질문 - 비참한 결과가 무엇일까?

       Q4. 노랑 애벌레가 두려워 한 것 - 자기 안의 확인이 없어서, 보지 못한 길에 대한 두려움.

  → 대학교 들어갈 때는 성과에 대한 보답을 기대하게 됨.

       한 개인에게 처음 겪는, 경험하는 생활들에 대한 두려움.

       두려움과 질투심이 삶의 의욕을 일으킴.

       Q5. 호랑 애벌레 - 목표하는 삶에 가치를 둠. / 노랑 애벌레 - 함께하는 삶에 가치를 둠.

  → 아인슈타인의 경고: 꿀벌이 사라진다면 식량 위기와 초목이 사라질 수 있음(꿀벌이 다른 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

       Q6. 보이지 않는 꼭대기 - 남들이 정한 목적지 / 호랑 애벌레 - 목표지향적, 경쟁 중시 / 노랑 애벌레 - 의미 지향적, 가치 중시 / 애벌레 기둥 속 애벌레 - 제도권의 사람들, 일반적인 우리의 모습 / 늙은 애벌레 - 멘토, 자기 안의 가치 / 고치 - 기다림, 인내, 고통, 완성을 향해가는 숙련된 과정에서의 고통 / 나비 - 승화된 주체의 탄생

       Q7. 호랑 애벌레 - 정든 나무를 떠남→기둥을 오름→노랑 애벌레와 기둥을 내려옴→둘만의 삶에 싫증을 느낌→기둥을 다시 오름→기둥 꼭대기에서 많은 다른 기둥들을 봄→노랑 나비를 만남→기둥을 내려옴→노랑 나비를 따라 감→나뭇가지에 고치를 만듬

             노랑 애벌레 - 기둥을 오름→호랑 애벌레와 기둥을 내려옴→둘만의 삶에 만족→호랑 애벌레와 헤어짐→늙은 애벌레를 만남→나뭇가지에 고치를 만듬→노랑 나비가 됨

       Q8. 노랑 애벌레가 깨달은 것 - 무턱대고 행동하기보다는 그냥 기다리는 편이 낫다는 생각을 함.

             고치가 되는 길 선택 - 나비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짐, 고치의 재료가 있으면 나비의 재료도 있을 것이라 여김.

       Q9. 냉소적 애벌레들 기둥 빠져 나옴 - 호랑 애벌레가 나비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말했지만 기어 오르는 것이 애벌레의 삶이라 여기며 꼭대기까지 오르고는 뒤따라오던 애벌레들에게 밀려 떨어짐.

       Q10. 꽃들에게 희망을 - 나비가 되어 새로운 생명을 만드는 사랑을 하게 됨, 꽃들의 꽃가루받이를 하게 됨.

  → 상호 관계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함. 충실히 자기 역할을 하는 관계만이 튼튼해 짐.

       '~위해서'가 목적 변질, 왜곡의 위험성 있음. 가치를 위해서는 모순일 수 있다.

      자기 완성을 위해서 자신의 역할을 다해야 함.


◈ 4강 과제     (phmany07@hanmail.net)

  ▶『앵무새 죽이기』(하퍼 리 / 문예출판)를 읽고 수업 교안 작성하여 3월 16일(월)까지 메일 보내기.

    - 3강의 9쪽 ~ 27쪽의 양식을 참고.

    - 4강의 3쪽 ~ 18쪽 참고.

  ▶ 영화 <알라바마 이야기(To Kill A Mockingbird, 1962)/로버트 멀리건 감독 작품 감상해 보기.

  ▶ 『어디로 갔을까 나의 한 쪽은』(쉘 실버스타인 / 시공주니어)를 읽고 수업 교안 작성하여 3월 23일(월)까지 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