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강: 토론 수업 어떻게 할까?

 

토론 주제: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TEXT: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 /바람의 열두 방향중에서 /어슐러 K.르 귄 /시공사

 

*현대 사회에서 토론 능력의 필요성

.노사협력시 합리적인 견해 도출시 도움

.입사면접시 토론 능력을 본다

 

*토론이란- 칼포퍼의 글에서

 

토론은

상이한 이익, 가치관의 대립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더 넓고 깊은 인식과 사유의 향연에 참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 안에 내재된 한계를 성찰하는 것이다.

 

*텍스트 이해하기

1.'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 내용 중 쟁점이 될 만한 특징 찾아서 각자 발표하기

2.지하방에 같힌 아이의 상황은?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비참한 상황. 자유가 박탈당한 상황.

3.오멜라스 사람들이 알고 있는 계약내용은?아이의 고통이 유지되고 있어야 자신들의 행복,부유함이 유지된다

4.오멜라스와 지하방에 갇힌 아이는 어떤 관계인가? 게약으로 위장된 불평등 관계

5.지하방에 갇힌 아이는 우리 사회에서 누구를 의미하는가? 비정규직, 이주노동자,파병군인등의 대부분의 '을'에 해당하는 사람. 가족안에서 불평등한 관계가 작동되고 있을경우에도 적용(희생을 당현하게 생각하는 가족들), 수포자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주의의 원칙은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중요한 원리이며 우리의  내면에 깊숙이 침투한 사고 방식. 그러나 공리주의가 표방하는 유용성의 원리, 이익의 관점은 비윤리적 상황마저도 정당화할 위험이 있다.

*우리 삶에서 공리주의가 적용되는 예

군대,세금,의무교육, 건강보험,송전탑,원전,댐,KTX등 국가기관의 모든 사업

 

*토론 실습하기

"오멜라스를 떠나야 한다"에 대한 찬반으로 나뉘어  논의후 간단한 입론서를 작성하고 실제 토론을 해보았다.

준비되지 않은 토론이라 여러가지 미흡했지만 새로운 도전이고 경험이었다. 정확한 쟁점파악이 필요했다.

 

 

다음주 과제

수업 목표: 일상에서 토론 쟁점 찾아내기

               -토론 수업 교안 작성하기 (29-31쪽 양식 참고)

              - 토론 개요서 작성하기 (32쪽 양식 참고)

              -긍정/부정 입론서 작성하기(33-34쪽 양식 참고)

 

*TEXT: 열일곱살의 털/ 김해원/ 사계절

 

*토론 논제: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개인의 자유는 제한될 수 있다.

*토론 방식: 퍼블릭포럼 디베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