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논술 강의 나눔터
1. 노래
- 가을이 될 거에요.
2. 놀이
- 7게임
- 촉각게임
: 한 사람은 눈을 감고
-> 다른 3명이 다가와서 악수를 한다.
-> 3명 중 1명은 두번 악수한다
-> 악수가 끝나면, 눈감은 이는 3명 포함 모든 사람들과 악수를 하며, 두번 악수했던 사람을 찾는다.
- 문장완성게임
: 빈 종이를 세로로 8칸이 나오게 접어서
-> 돌아가며 문장을 지어넣는다. 총 7개의 문장이 나오게 된다. (첫줄은 제목을 위해 비워둔다.)
-> 7개의 문장을 모두 적은 후에 제목을 짓는다. (모두에게 글을 들려주고 제목을 같이 지어도 됨)
3. 포르멘
- 원 안에 직선과 곡선을 그렸을 때의 각각에서 느껴지는 차이를 이야기 나눈다. (사진 참고)

- 길다란 종이로 뫼비우쓰 띠를 만들고 (사진 참고)
-> 종이의 안과 밖에 서로 반대되는 단어를 적는다.
-> 주욱 색연필을 그으면, 결국엔 서로 만나게 된다. (반대되는 것으로 보이는 것도 결국은 하나다..연결된다.. 라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게 해줌)

4. 주제수업 연습
- 모둠을 둘로 나누어서, 3권의 책에 대해 분석하고 수업지도안을 작성한다.
<모둠별 수업지도안 작성하기>
| 
			 학년 
  | 
			
			 3학년 *4명 
  | 
			
			 수업 시간 
  | 
			
			 90분 
  | 
		
| 
			 수업 목표 
  | 
			
			 - 어려움에 처한 친구를 이해하고 도와줄 수 있다. 
 - 나와 다른 친구를 이해, 공감할 수 있다. 
  | 
		||
| 
			 같이 읽는 책 
  | 
			
			 <내 짝꿍 최영대>, <까마귀 소년>, <짜장 짬뽕 탕수육> 
  | 
		||
| 
			 마음 열기 
 (20분) 
  | 
			
			 - 촉각 게임 
 - 노래 부르기 <모두가 꽃이야> 
  | 
		||
| 
			 펼치기 
 (20분) 
  | 
			
			 각각의 책 주인공들에 대해 이해해본다. 
 - 최영대, 까마귀 소년, 종민이 느꼈을 감정을 감정카드에서 찾아본다. 
 - 각 주인공에게 해당 감정카드를 선택한 이유를 책 속의 묘사를 가지고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고, 이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만약 내가 그 주인공 / 선생님 / 반 친구였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 
 -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게 한다. (아이들이 그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유도해준다.) 
  | 
		||
| 
			 맺기 
 (30분) 
  | 
			
			 책 속의 등장인물이나 내 주변의 실제 인물(내가 괴롭히거나 나를 괴롭힌 친구 등)에게 보내는 편지를 쓴다. 
  | 
		||
| 
			 준비하기 
  | 
			
			 
 
  | 
		||
| 
			 돌아보기 
  | 
			
			 
  | 
		||
| 
			 학년 
  | 
			
			 3학년 * 10명 
  | 
			
			 수업 시간 
  | 
			
			 100분 
  | 
		
| 
			 수업 목표 
  | 
			
			 - 자신의 상태에 대해 자기표현 할 수 있다. 
  | 
		||
| 
			 같이 읽는 책 
  | 
			
			 <내 짝꿍 최영대>, <까마귀 소년>, <짜장 짬뽕 탕수육> 
  | 
		||
| 
			 마음 열기 
 
  | 
			
			 콩주머니 놀이 (받아주는 경우 vs. 움직이지 못해 안받아주는 경우 느낌에 대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 
		||
| 
			 펼치기 
 
  | 
			
			 <까마귀 소년> 책을 함께 읽는다. 
 
 <까마귀 소년>으로 역할 놀이를 한다. 
 - 가운데 까마귀 소년이 자리하고, 
 - 각자 책 속의 역할을 맡아서 까마귀 소년으로부터의 마음의 거리에 따라 실제 거리를 잡아서 서 있는다. 
 - 이 상황에서 이야기 나눈다. 
  | 
		||
| 
			 맺기 
  | 
			
			 
  | 
		||
| 
			 준비하기 
  | 
			
			 
  | 
		||
| 
			 돌아보기 
  | 
			
			 
  | 
		||
- 주의: 낱책이 아닌 주제수업은 4학년 이상 가능하다. 4학년 이상이 되어야 관통하는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