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e   쇠별꽃  첨부파일

Subject  답변:초등 논술 25기 20강 공부를 하고나서 없음


--------------------------------------------------------------------------------
수업 내용을 읽으면서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한 번의 수업으로 이렇게 깊은 것을 깨달을 수 있다니 참 놀랍고 내공이 매우 깊은 선생님이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김혜옥 선생님 강의 깊이를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든 생명으로부터 나를 발견할 수 있다면...

이 가을에 새로운 것에 대해 눈을 뜨게 해 주는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Name   백현진  첨부파일
>
>Subject  초등 논술 25기 20강 공부를 하고나서 없음
>
>
>--------------------------------------------------------------------------------
>세상에서 가장 귀한 생명
>아침 기도 시를 낭송하고, 여름 바람 노래를 부르며 마음 열기를 하였습니다.
>"느릅나무" 그림책을 보았어요.
>사진으로 된 그림책인데 나무 한그루가 사계절을 자연과 어떻게 더불어 살아가는지 보여주는 장엄한 내용입니다.
>"느릅나무"를 보면서 생명의 가치에 대한 생각을 했습니다.
>자연속에서 잘 자란 나무와 도시속에서 어긋나게 자란 나무,
>세파에 찌들어 살다가 늙은 사람과 평온한 마음을 간직하면서 나이를 먹은 사람도 견주어서 생각했습니다.
>생명의 소중함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생명이 있습니다.
>땅, 하늘, 바람, 풀 한포기까지 우주의 모든 것이
>살아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소중하게 느기고 고귀하게 대해야 합니다.
>사뭇 우리 조상들의 자연관이 존경스럽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당산나무 한그루에도, 장독대에도, 뒷간까지도
>생명을 가진 것으로 보고 예를 표하고 존중하였습니다.
>자연의 모든 것을 사랑하려 하고
>자연과 더불어 어긋나지 않게 살아가고자 한
>우리 조상들이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현대사회의 모순을 이야기 하는 것도
>조상들의 삶을 배반하면서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것은
>그것을 감동으로 느끼게 해야 한답니다.
>자연의 소중함은 자연을 절실히 느껴 감동하고,
>환경의 소중함은 파괴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지켜 내면서 가치있는 것을 보여주고, 감동을 느끼고,
>그래서 지키려고 애쓰게 만드는 것이
>우리가 아이들과 할 수업이랍니다.
>문제의식을 느꼈을 때 문제만을 두드러지게 드러낼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을 보여 주고 그 쪽으로 나아가는 길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 가장 올바른 교육이라는 거죠.
>돈으로 모든 것이 평가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은
>농사를 지으며 사는 것.
>비록 곡물조차도 상품가치로 따지는 시대지만,
>그래도 농부들이야 말로 가장 자연인으로 살아가는 사람이지요.
>
>생명교육 속에서 아이들의 삶을 되돌아 봅니다.
>경쟁 사회에서 인간도 더 많은 상품가치를 갖기 위해
>아이들의 삶은 파괴되었습니다.
>진정 아이들이 누릴 권리는 무엇인지?
>맘껏 놀면서 아이들 만의 세상을 온몸으로 느끼며
>커 나가가는 것이 아이들의 권리인데
>우리 아이들은 이 권리를 모두 무시당한 채
>사육당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에서 생명 회복의 길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임을 알고,
>자연의 힘을 느끼고 어울려 살아가는 것.
>그 삶의 가치를 알고 행동으로 밀고 나갈 때
>생명은 되살아 난답니다.
>인간은 진정한 행복을 맛보았을 때
>세상에 눈을 뜨게 된답니다.
>우리 아이들이 진정한 행복을 어떻게 맛보게 해야 할지
>고민꺼리가 참 많아지네요.
>
>숙제입니다.
>음식문화에 대한 생각그물 그리기 해오세요.
>살리는 음식, 죽이는 음식으로 갈래를 잡아서요.
>
>25기 워크샵 주제를 전통으로 잡았는데
>선생님께서 다시 생각해 보라셨습닌다.
>현대 사회에서 어떤 문제가 아이들의 삶을 파괴하고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지를 생각하며 주제를 잡으랍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공부와 학원으로 보았습니다.
>그런데 뽀족한 대안이 없었습니다.
>문제만 느끼게 하고 대안이 없다면 안 건드린 것만 못하다는
>의견을 모으고 소비문화로 주제를 잡았습니다.
>어쩌면 우리 아이들은 지나친 풍족함 속에서 살아갑니다.
>너무 많아서 소중함을 느끼지 못하고
>돈만 가지면 모든 것을 소유할 수 있는 사회.
>남이 가진 것은 어떻게든 갖고 싶어하는 욕심은
>또다른 이기심을 심어줍니다.
>물건의 소중함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삶의 방법이 되어
>살아있는 생명까지도 가볍게 생각하는 마음을 심어줍니다.
>우리는 꼭 필요한 만큼만 갖고
>그 속에서 만족하며 살아가는 것을
>어려서부터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만드는 것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닫고
>물건의 가치를 인식하고 조금 가져도 행복을 느끼는 마음을
>아이들과 나누었으면 합니다.
>
>또 숙제입니다.
>소비 문화에 대한 전체 수업 목표를 정하고
>수업 계획을 세우는 것이니다.
>횟수는 작게 네번 수업부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