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오이대왕 모둠 토의 정리-지적된 부분만 정리했습니다.
1) 이혜자, 이운주, 최화순, 정선주 선생님 -
* 가족공동체의 변모 알아보기는 토론 거리가 아니다. 가족변천사에 대한 지식 차원으로
    또는 활동으로 할 수 있고 세번째 질문 권위적인 아버지에 대한 사회구조적 원인 찾기와
    연결할 수 있다.
* 가부장제 가족 공동체의 문제를 찾는다.
* 가족 구성원을 객관적으로 설명 할 수 있다/ 없다 로 질문을 바꾼다. 그리고 세부적 질문과
    설명할 수 없는 경우 왜 그런지 질문이 필요하다.
* 책의 해결 방법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 아버지와 가족들이 그냥 넘어가는 책의 내용이
    가족의 사랑과 이해로 문제를 해결 한 것인지 그냥 덮어둔 것인지 그래서 더 큰 문제가
    될 것인지.
2) 임은경, 이지훈, 박난영, 강순옥 선생님 -
* 오이대왕을 보고 내 가정의 문제를 살펴보는 부분이 부족하다.
3) 양예라, 이선화, 정현옥, 이은경 선생님 -
* 부모 자식 간 객관화 시키기는 평등관계와 '나'를 인정하는 것인데 학생들이 답하기 힘들다
    원하는 답이 나올 수 있는 질문이 필요하다. '부모 자식간의 관계는 어떠해야하나?'하는
    토론이 필요하다.
4) 강영숙, 김옥ㅇ희, 정경연, 정향구 선생님-
* 아버지가 오이대왕을 받아들이는데 가족들이 왜 반대하지 못했나? 로 질문을 바꾼다.
* 가족이라고 동일한 사고를 가진 것은 아니다. 가치관, 관점, 세대, 성격의 차이가 있다.
   가즉들간의 갈등을 뽑아내고 갈등의 유형을 분류해보면 갈등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예) 도저히 이해 안 되는 점. 도저히 용서 안되는 점 등등
* 갈등상대에게 내 마음 상태를 불만 그대로 솔직히 표현하는 편지쓰기

2. 오이대왕 수업 교안 검토 - 강순옥, 이혜자 선생님이 해오셨습니다. 역시 지적된 부분만 정리.
1) 강순옥 선생님-
*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역할극을 한다. 가장 불만 있는 역할을 해 본다.
* 자기 갈등을 표면화 하고 토론 하고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 토론 거리가 부족하다.
* 볼프강 집이 정상적인지 아닌지, 우리 집이 정상적인지 이야기를 나눈다
* 정상적 / 비정상적 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토론한다.
* '불만을 어떻게 하니?'라는 표현보다 불만을 드러낼수 있는 질문이 좋다. 갈등에 초점을 맞춘다.
2) 이혜자 선생님-
* 소주제는 테스트로 도달하고자하는 주제이며 학습목표가 된다.
*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질문이 부족하다.
* 자기 문제로 결부시켜야 한다.
* 아버지 자랑하기는 가식적이 될 수있다. 오히려 단점 말하기가 어떨까?
* 내용 이해하기 질문은 토론에 필요한 부분, 주제와 연결되는 지점만 골라 한다.
* 볼피가족의 불신을 우리집 문제로 연결한다.
*생각나누기 7,8 문제는 목표 마무리보다는 책 읽은 마무리로 생각된다. 학습목표를 마무리 할
   수 있어야 한다.

3. 최지연 선생님 정리-
* 학생들의 독해 불신 때문에 책  내용 질문이 많다, 그러나 독해 애해 질문은 간단히 한다.
* 학생들이 토론거리를 찾아오게 하는 방법도 좋다. 학생들이 찾아 온 토론 거리가 '토론 거리'
    인지, '질문 거리'인지, '토의 거리' 인지 직접 토론 하게 한다. 학생들이 찾아온 토론 거리는
    모두 다루어 주고 공통적인 문제거리를 먼저 다룬다.
* 친구를 주제로 한 수업의 목표에는 첫째 : 친구 관계로 나를 돌아 본다. 내가 어떤 식으로
    관계를 맺고 있나를 안다.  둘째 : 진정한 친구란 내 인생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고
    깨닫게 한다. 세째 : 친구의 의미를 이웃으로 확장한다. 국적, 나이, 성별에 구분을 두지
   않는 친구 관계, 자연과도 친구가 될 수 있고 어떻게 공존하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4. 영화 <존재> 보고 토론 거리 찾기
* 친구의 개념 정의, 진정한 친구란?, 나의 친구 점검하기 등이 공통 된 의견이었습니다.
* 개와 고양이가 서로 '왜' 대화가 안 되나?, 왜 서로 이해하지 못 할까? 에서 입장 바꿔보기
   왜 우리는 서로 이해해야 할까? 라는 질문이 필요하다.
* 구입한 비디오 중 <의자 이야기> 참고 하세요.

5. 행복이 찾아오면... 수업 교안 정리
1) 정경연 선생님 -
* 학습 목표 1과 2는 목표가 될수 없다. 목표 3과 4는 하나로 묶는다.
* 수업에 들어갈 키워드를 뽑아 연결하면 수업 계획안을 만들기 쉽다.
* <들어가기>에서 사용된 김춘수 <꽃>에서 눈짓, 의미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관계 맺음이
    되야하나 라는 질문이 필요하다.
* 많은 것을 목표로 잡는 것보다 한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2) 정선주 선생님 -
* 참고도서<제 친구들하고 인사하실래요?>와 학습목표 2는 <함께 생각 해 볼 문제>와 연결하여
    다른 차시로 나누어 수업하는 것이 좋다.  친구 의미 확장 하는 수업으로 좋다. 장애아, 탈북자,
    외국 노동자, 빈부의 차  ...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생각해 본다.
  * <들어가기>에서 질문 내용이 파악 안 된다.<펼치기>와 순서를 바꾸는 것이 어떨까?
* <펼치기>에서 진정한 친구의 정의 내리고 풀어보기만 으로도 충분하다. 어른이란? 도 이 방법
     으로 풀어보면 어떨까?
3) 정향구, 양예라, 이선화 선생님 _
* 할링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내 친구 관계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나는 친구를 어떤 관점에서 사귀나? 를 알아본다.
* <생각 나누기>의 질문이 구제적이지 못 하다.
* <마무리>활동에서 소중한 친구, 떠오르는 친구, 나의 성장에 도움이 된 친구에 대해 글쓰기
    를 한다.
4) 강순옥 선생님 -
* 마음 열기 질문이 많다. 주제에 도달하기 위해 텍스트가 필요하나 어느 순간 텍스트에서
   벗어나야 한다. 독해로 빠지면 안 된다.
* 내가 좋은 친구를 사귄다./ 내가 좋은 친구가 되야한다. 를 생각해 보기
* '문제아'를 다룰 경우 아이들이 보는 문제아와 선생님, 부모님이 보는 문제아를 살펴보고
    친구의 개념을 정리한다.
5) 숙제 - 다음 주에는 '학교' 현장속에서 벌어지는 '학교교육'의 문제를 뽑아서 글써오기
              입니다. '학교'에 염두를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