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논술 20기 2강: 수업 계획하기와 교안 만들기

1. 마음열기
마음열기의 방법으로 수업시간에  다 같이 공책을 만들어보았다. 전통방식으로 책을 묶어 보았는데 좀 어렵기는 했지만 아주 재미있었다. 이 외에 1분 마당의 형식으로 자기 소개시간을 갖는 방법도 있다고 말씀하셨다.

2. 중고생 시기 아이들 삶과 문화이해
우리가 만나는 아이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수업시간에는 5 개 모둠으로 나누어서  3개정도의 주제를 골라 서로 토론한 뒤 발표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부족한 관계로 대부분의 모둠이 2 개정도의 주제만을 토론할 수 있었다. 내가 속한 '각' 모둠의 토론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각'모둠에서는 주어진 15개의 주제들 중에서
    3. 아이들의 꿈과 욕망(관심분야)는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는가? 혹은 주입되는가?  와
    11. 이 시기 아이들은 돈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박희정, 박운미, 김경옥, 최영미, 이명원)

- 11 번 주제에 대한 토론 내용
    - 사회전반적인 분위기가 소비지향적이므로 아이들이 무의식적인 소비생활을 하고 있다.  
    - 이로인해 부모세대와 갈등을 겪지만 부모세대역시 제대로 된 소비교육을 받지 못했으므로 적절한 해결책
      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 돈은 가장 손 쉬운 욕망의 분출구 역할을 한다. 끊임없는 광고의 유혹속에서 돈을
       쓰는 것 외에 다른 여가를 즐길 만한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없다.
    - 또래의식으로 인해 유행에 편승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할 때이고 소외감이나 상대적 박탈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돈이 필요하다.
    - 돈만 있으면 성적도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들도 있다.
    - 돈은 곧 인기이고 힘이다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어른 흉내를 내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  3번 주제에 대한 토론 내용
    - 아이들의 꿈은 돈 많이 버는 직업을 갖는 것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 직업과  수입을 반드시 연결시켜 생각한다.
    - 주위로부터 직업에 대한 선입견을 주입받는다.
    - 부모 직업에 대한 우호적 반응이나 적대적 반응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직업에 대한 생각을 주입받게 된다.
    

수업소감: 다른 분들과의 토론 수업이 아주 좋았지만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쉬웠습니다. 평소에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간단 명료하게 정리해보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랬다면 좀 더 정확하고 간결하게 제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을 텐데...   앞으로는 좀 더 잘할 수 있게 되겠지요. 같은 모둠에 계셨던 분들!  제 정리글이 좀 미흡하다고 생각하시면 보충설명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