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논술 강의 나눔터
1. 과학 개념잡기
(1) 과학교과, 공통과학에서의 '과학'- 자연과학을 의미
인문과학, 사회과학에서의 '과학'- 자연과학에서 파생했다는 뜻
(2) 자연과학에서의 '과학'- 대상을 의미
인문,사회과학에서의 '과학'- 연구방법, 사고태도를 의미
(3) 과학은 증명, 검증되고 철학은 검증되지 않는 분야라고 하면, 심리학은 철학에서 과학으로 바뀌어왔다.
2. 자연과학적 방법론
- 베이컨, 데카르트 등에 의해 정립되었다.
- 연구단계 : (1) 관찰 (2) 의심
(3) 가설 설정 : 과학자에게 직관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단계이다.
6각형의 벤젠 고리는 꿈 속에서 뱀이 꼬리를 무는 장면을 본 과학자에
의해 고안되었다.
(4) 실험 설계 : 여기의 실험에는 관찰, 실험, 통계를 포함.
과학 이론을 정립하려는 과학자로서는 이 부분이 관건이 될 것이다.
(5) 실험 (6) 평가
(7) 이론화 : 이론화에 이를 수 없다면 다시 (3) 가설 설정 단계로 돌아간다.
(8) 체계화 : 성립한 이론과 다른 이론이 서로 어울려야 한다.
한의학이 서양의학에서 인정되지 못하는 이유는 체계화의 요구에
맞지 않는다고 서양 과학자들이 생각하기 때문.
- '과학의 주관성'이 나타난다.
3.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 쿤)
- 과학이란 과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체계이다.
-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바뀌는 과정은 점차로 지동설로 개종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때문이 아니라
중세에서 근대로 바뀌면서 혁명적으로 지배적인 학설이된다.
- 중세적 패러다임(사고의 총체)에서 근대적 패러다임으로 바뀌는 것이다.
- 결국 과학은 불완전한 가설로서 우리에게 지침이 된다.
4. 베버의 합리화
(1) 문화적 합리화 - 미신적, 맹목적 사고에서 벗어 나는 것.
(2) 사회적 합리화 - 방법적 합리화: 일정한 목적달성을 위한 최선의 적합한 수단 선택
- 19세기적 과학지상주의는 현대에 이르러 '과학에 대한 미신적 사고'를 낳고 있다.
- 오늘날 사회적 합리화는 발달, 그러나 문화적 합리화 부족.
- 맥도널드에서는 손님이 남은 음식을 치우고 있고, 경비절감을 소비자의 이익과 동일시하는
경향까지 있는데, 이유를 따지는 것이 문화적 합리화다.
5. 과학기술
- 생명공학, 인터넷, 유비쿼터스
- 과학기술의 단점(예:사생활 침해), 장점(예:소통의 확대)파악 필요.
6. 고전물리학과 현대물리학
- 고전 물리학 : 뉴턴 F=ma
- 현대 물리학 : 아인슈타인 E=mc스퀘어 --- F=ma에서 수학적으로 유도된다. 양자역학에 기여.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도 일반, 특수 상대성원리로 구분됨.- 끊임없이 특수한 경우가 존재한다
는 것을 인간인식의 한계로 보기보다는 인간인식의 확대로 보아야 한다.
-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 - 전자의 위치는 전자구름속에 확률적으로만 알 수 있을 뿐이다.
- 보려고 광자를 쏘게되면 전자가 튀어나가기 때문.
- 아인슈타인은 '신은 주사위놀음을 하지 않는다'며 양자역학에 반대했지만 20년뒤 양자역학이
맞다며 사과하였다.
7. 가이아 이론
- 가이아는 그리스의 대지의 여신.
- 1978년 영국의 James Lovelock박사가 발표했다가, 학계에서 추방된후, 80년대 이후 재평가되면서
현재 해양영구소장 지냄.
- 지구는 한 생명체이고 나머지는 개별 생명이라는 이론이다. 세포가 몸에서 떨어지면 죽어버리듯이
인간이 지구를 떠나면 죽는다. 생태주의 이론으로 발전하였다.
8. 카오스 이론
- '북경에서 나비가 날면 태평양에서 태풍이 분다.'
- 고전과학이론에서는 원인은 1개, 결과도 1개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수많은 원인이 존재하고,
그 수많은 원인을 파악하여 결과를 알아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그러나 요즈음은 카오스이론을 도입한 일기예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무궁화위성의 정확한 측정에도 도움을 받지만 프랙탈 기술(예: 해안을 컴퓨터 분석하여 공통된
패턴을 도출, 미래를 예측)을 이용하여 더욱 예측이 정확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