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2월 16일 나무날 짧은 강의 소감문입니다.

●함**
논술 공부에서 문제의식은 어떤 작용을 하게 할까?
-‘왜’ 라는 질문을 하기 시작 하는 건 문제의 본질(뿌리)을 보게 되고, 그것을 깊이 생각하며 자신의 가치와 정체성을 세울 수 있다.

●박**
논술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문제의식을 갖게 되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회, 사람과 자연사이 등등에서 발생되는 많은 문제들을 총괄적으로 혜안을 가지고 보게 된다. 그 문제를 들여다봄으로써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행동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나를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와 세계를 변화시키는 힘의 근원이 된다. 이런 변화가 진정한 삶을 이루게 해주므로 논술에서 문제의식은 중요하다.

●구**
문제의식 없는 논술 수업은 별 의미가 없을 듯 하다. 현실에 근접하기 위해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논술 수업뿐만 아니라 우리 삶에 있어서도 문제의식은 문제의 근본을 파악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의식이라 생각된다. 이것은 결국 사고력 향상(올바른 가치관 정립)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김**
문제의 본질을 보려는 태도를 가진다.

●공**
토론하는 과정이 즐거웠습니다. 시간이 부족해서 조금 아쉬웠기는 했지만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주에도 즐거운 수업이 되길 기대합니다.

●서**
논술이 주어진 어떤 문제에 대해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간에 자신의 의견을 쓰는 것이라고 하면 그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과정을 알고 있어야 판단이 가능하며 그 과정에서도 끊임없이 질문을 해야만 가능하다. 문제의식 없이는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없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김**
문제의식, 문제파악을 하지 않고는 논술을 서술할 수 없다. 따라서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끊임없이 제기하며 문제의식을 가져야 논술(삶)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오늘 수업 즐거웠습니다. 논술학습이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삶과 연관이 맺어진다고 할 때, 현상에 대한 접근은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문제의식은 삶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인식의 출발점이며.......

●박**
문제의식에 대한 토론을 했다. 생각보다 ‘문제의식’없이 살아온 것이 많다는 생각. 이제라도 ‘문제의식’이라는 것을 알게 되서.다행이라는 생각이지만, 문제는 문제의식의 일상화겠지.

●조**
모둠별로 토론을 하니까 나와 다른 생각을 알게되고, 타모둠의 생각도 발표를 통해서 듣게되니 수업의 내용이 한 눈에 들어오게 되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좋았다.

●김**
문제의식은 자신과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를 제대로 보게 해준다. 사회를 이루는 개개의 구성원들이 문제의식을 갖는다면 그 사회는 좀더 많은 것을 나누고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논술공부에서 아이들에게 문제의식을 길러준다면 개인의 삶의 변화와 그로 인한 사회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제의식을 갖는다는 것은 우리의 삶은 진실되게 살아가도록 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 잘 살아가도록 오늘도 역시 매무새를 가다듬는다.

●박**
논술은 우리의 삶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갖게 해 준다.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요소와 여러 관계를 살펴보는 기회를 통해, 나 자신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때, 나의 변화를 가져오게 만드는 요인이 바로 문제의식으로 이를 갖게 될 때 자신의 주체성과 자아를 갖게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나 자신의 삶이 변화되고, 나와 관계하는 여러 요소들이 변화되게 되는 것이다.

●강**
문제의식을 얼마나 가지고 사는가 생각하게 됨. 그러지 못할 때 엄청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지 보게 된 것 같다. 논술공부에서 문제의식은 어떤 작용을 하게 할까? 본질을 꿰뚫어 보게 한다.

●나**
문제의식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나 자신이 꽉 찬 느낌이다. 토론 수업을 통해 도반님들과 생각을 나눈 것도 유익한 시간이었다.

●조**
문제의식을 갖고 주변의 현상을 본다면 허위의식에 가려져 있는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문제가 나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의 관계성도 알게 되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임**
정체성을 찾아가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살아가야 하는 태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사회를 세계를 보는 시각과 그에 대한 자신의 행동도 결정 된다.
*노동자답게 살아야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와 노동자로서만 살아야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