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열기로 김현승의 <아버지의 마음>을 감상하였는 데, 1,2,3,4연에서의 강인한 아버지의 모습이면서 5,6,7연에서는 실질적 내면에서 외로운 존재이다. 앞 연에서는 아버지다운 아버지, 딋연에서는 가정안에서 밖에서 상처를 받은 사람도 가족내에서 씻김을 받는다.
* 현대 사회에서의 가족의 의미가 전통사회와 많은 다른 의미를 내포한다. 전통 사회 관점을 보면 많은 딜레마가 생긴다. 현대 사회에서는 해체된 가족

* 단편 영화 '거리' 감상하기
- '거리'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분석
아버지 :'운이 없어' 어떤 점이 운이 없는지 (장모?) 물려받을 재산이 없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할머니에 대한 애정이 없다.
어머니 : 할머니에 대한 상황을 엄마만 떠 맡아서  병이 나고, 할머니를 요양소에 보내지만 할머니에 대한 연민을 가지고 있다.
손자 : 자신의 방을 빼앗은 존재로 할머니를 인식
할머니 : 가족 구성원이 아니라 소외된 모습

- '거리의 의미가 무엇일까?
스쳐 지나가는 공간
서로에게 무관심한 마음의 거리
- 할머니가 부담스러운 존재가 된 이유
1)할머니의 질병이 가족에게 부담 - 가족의 일상 생활을 파괴
2)인간에 대한 태도 자체가 문제이다. - 각자가 더 소중하다
*박형만 샘
김현승의 아버지는 이상적이나 바람직 할까?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것이 아니라 강요되는 측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 교안에 대한 설명 (이혜령선생님, 전정렬 선생님, 김명희 선생님) 감사합니다.

* 변신
박형만 샘 : 파괴된 상처 입은 가족의 모습을 다룬 책이다. '변신'은 삶에 대한 부조리에 대한 비판으로 카프카가 살았던 19-20세기 유럽이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비인간화된 사회를 겪고 있어 인간을 바라보는 태도가 기계적으로 바라보고있어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바라보아야 함
카프카의 삶 자체가 행복하지 않는 삶을 살았고, 나는 한마리 KAVKA 날개가 꺽이고 상처가 많은 까마귀

<변신> 깊이 보기
* 주인공 그레고리가 가족으로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
                 가족이 주인공을 바라보는 태도                     주인공이 자신을 바라보는 태도
변신 전     가족에게 주인공이 없어서는 안되는              자신의 삶을 살지 않았다
               필요한 존재 (경제적 이유)                          주인공이 가족과 의사 소통하려고 하지 않고
                                                                             애정이 없다  
변신 후    불필요한 존재, 없어져야 하는 존재                나란 존재가 가족에게 어떤 존재일까?

* '그레고리'가 벌레로 변신 후 가족들은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된다. 이들의 태도를 비판할 수 잇는 근거는?
-각자 경제 활동을 시작한다. '그레고리 잠자'는 "앵벌이(?)"  옳은 삶을 살아야 한다고 얘기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 벌레의 상징적인 의미
-애벌레1) 변할 수 있는 의미 2)징그럽고, 하찮은 존재로 함부로 할 수 있다 3)벌레는 중독성 맹목성을 말한다.
4)없어져야 할 존재 5)혐오대상, 기피

* 현대 사회에서의 가족의문제
1* 가족 이기주의: 가족 중심적 사고 (우리 가족, 내 자식..)
- 입양한 사실이 신문에 보도
1) 국가가 개인을 바라보는 태도, 기업이 노동자를 바라보는 태도 - 인간을 대상화시켜 보려는 것이 일상적으로 일어난다.
2) 학생을 대할 때:권위적 인간을 대상화
3) 자기 역할을 못했을때 생길 수 있는 것 현대문명사회가 한곳으로 몰아 세운다. 일을 하지 않고 누리는 것이 많은 사람

다음 주 관계 중 "친구"
-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 (바스콘셀로스)교안 작성
-다른 TEXT를 정하여 교안 작성해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