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마음을 여는 시
내 마음에 부는 바람(마더테레사)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함석헌)
너를 나라고 고백할 때(이미영 젬마수녀님)
-선생님들의 느낌:
초월적인 태도를 그리고 있다
사랑이란 너를 나라고 고백하는 것이다(관계의 구별이 아닌 일치)
이 시에서의 사랑이란 자아를 말하는 것 같다
뫼비우스띠를 생각나게 한다.
-마니샘: 오래된 사랑(부부)은 삶을 동일시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가까운 듯 하면서도 상당한 거리를 지닌것이 친구가 아닌가 싶다, 헤어져 있을 때와 만났을 때를 생각해 본다면 친구에 대한 이중적 감정도 느끼게 한다

#펼치기
*한걸음- 단편영화 '존재' 감상
[이 영화에 등장하는 개와 고양이의 대화를 들으며 둘의 관계와 문제점을 생각해 보기]
-선생님들의 이야기:
서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없었다
개는 고양이의 처지를 생각하지 않았고 고양이는 개의 말이 위로라 생각하지않았다
내게 최고의 방법이 타인에게는 배려가 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관계의 진정성이 맺어지지 않는 상태였기에 고양이의 슬픔이 개에게 전달되지 못했다
고양이의 주체적 태도에도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고양이는 자신의 관점과 다른 표현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자신의 내면의 상태를 이야기하지  않으며 자신만 의 세계에 빠져있다
-마니샘:네발로 걷던 동물이 카페의 문을 통과하면서 두발로 걷는 것이나, 고양이의 시신에서 발견된 사진과 개의 생활과의 차이를 생각해보며 친구의 순수한 관계는 가능할까 가능하다면 어떤 태도까지 가능한가? 생각해 봅시다

*전정열 선생님의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진정한 친구가 내 곁에 있었으면 해요)' 교안을 함께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선생님들의 생각:
순수한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하는 제제의 태도는 그가 사랑 받을 수 있는 이유이다. 그래서 제목을 '진정한 친구가 되고 싶어요'라고 생각해보았습니다
뽀루뚜까와의 관계가 가족의 관계로 형성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제가 사랑받는 다고 느끼는 장면을 본문안에서 찾아보기
아버지와의 관계를 이해시키지 못하고 뽀루뚜까와의 관계가 확대되면 또 다른 문제가 있지 않을까
현실 갈등의 문제 (가족관계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친구가 강조 될 때와 가족 안에서 풀지 못하는 부분들을 친구들에게 풀고 상처의 치유를 받는다)

이러한 문제들도 추가로 다뤄보면 좋겠다고 여러 선생님들께서 말씀해주셨습니다

#토론
[주제1]제제와 뽀루뚜까는 진정한 친구 관계로 볼 수 있는가?
봄)
긍정:서로 원하는게 없었지만 서로 받은 것은 있었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부정:아이와 어른이라는 관계에서 제제는 의존적이지 않았을까 그리고 가족, 또래 친구와의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다
여름)
긍정:상호작용에 의한 마음의 통함과 서로의 존재를 인정한다
부정:제제가 같은 또래에서 겪는 일들을 뽀루뚜까와는 공유할 수 없다
가을)
긍정:어떤 한 부분이라도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졌기에 친구가 될 수 있다
이해와 사랑 그리고 신뢰가 바탕이 되었으며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주는 존재적 관계이다
부정: 서로의 소통이 덜 되고 있다, 친구라기보다는 후원자의 역할이 더 많이 보여진다
나이나 처지가 다르므로 지속적 관계가 유지될지 의문이다
겨울)
긍정:외적 조건이 배제되고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며 아픔이나 감정도 함께 공유한다
다름을 인정할줄 알며 정신적 공감대를 형성한다
부정:뽀루뚜까와 제제의 관계를 보면 마음의 소통은 되지만 물질적인 면에서는 나눌 수 없다

[주제2]제제와 밍기뉴는 진정한 친구 관계로 볼 수 있는가?
봄)
긍정:나무를 감성적 자아로 볼 때 성찰과 성숙의 계기가 되기 때문에 진정한 관계라 할 수 있다
부정:찾아갈 수 밖에 없는 일방적 관계이라서 소통이 단절되기도 한다
여름)
긍정:나무는 제제의 마음을 그대로 드러내보이는 대상이며 있는 그대로 들어주는 대상이다
부정: 일방적인 관계
가을)
긍정:마음을 터 놓을 수 있고 위안을 받을 수 있는 관계
부정:소통이 안되며 소유적 관계이다
겨울)
긍정:마음을 드러내는 대상
부정: 나무는 감정을 드러내지 못한다, 나무는 제제가 진정한 친구를 찾아가는 중간적 과정이다

[주제3]참다운 친구 관계를 이루게 하는 요소 5가지
봄)역지사지
여름)진실한 마음
가을)가치관의 일치, 신뢰, 함께 하는 시간, 있는 그대로를 인정, 노력
겨울)믿음

*정리
-뽀루뚜까는 부자이지만 외로운 처지이고 제제는 명랑, 활달하지만 뽀루뚜까는 그 안에서 그늘을 보게되며 동병상련을 느끼고 이해가 앞서지 않는 관계를 맺는다
-뽀루뚜까의 죽음을 통해서 제제는 좌절과 깊은 병을 얻게 되며 삶을 동일시한  부분(뽀루뚜까)에 대한 상실로 심한 상처를 받게 된다
-밍기뉴는 제제의 또다른 자아이며 환상의 대상이고 그 안에서 온갖 꿈을 꾸게 만드는 존재이다
-아이들과의 수업에서 나만의 밍기뉴 나무(예-비밀 일기장, 엄마...)에 대해 토론을 해 보는 것도 좋을듯...
-참다운 친구 관계는 거짓된 관계를 넘어서 진실한 관계여야 하고, 물리적 측면에서 시간,공간을 공유하고, 미래의 삶 그리고 아픔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과제는 18강 '토론 수업 어떻게 할까'  자료 읽어보기

#수업에 약간 늦은 관계로 마더테레사 시와 함석헌의 시에 대한 선생님들의 느낌은 올리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