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논술 13강 '과학기술과 현대 사회' 강의 정리입니다.
이번 과학 강의는 1교시: 자연과학
                        2교시: 과학기술
1교시>
1. 과학 용어의 정의
과학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자연) 과학: (자연 세계에 대한) 대상으로서의 과학
  2) (사회)과학: 방법이란 뜻, 사고 방식과도 같은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 만학: 철학+과학인 이유는 과학을 실증하기 이전에 생각헸기 때문.
  
2. 과학을 왜 배우는가.-너무 기본적인 생각이라 외려 잘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꼭 알아야 함
과학 교육의 문제점: 남이 공부(연구)한 결과를 외우는 학습방식이므로.
과학교육의 목적은 자연과학적인 사고, 방법을 하는 교육
사실은 모든 학문의 습득 방법이 과학적인 학습 방법, 자연 과학적인 사고 방식을 배우는 교육이어야 함

3. 과학의 탐구방법
문제인식
->가설 설정
-> 실험 설계
-> 실험 평가 :과학의 꽃, 실험 평가 해서 실패하면 다시 가설 설정으로 돌아감(시행착오)
                     성공하면 이론 단계로
  ->이론 :실험의 결과인 '이론'이 그 시대의 세계에 순순히 편입되면 쳬계화가 되는 것
  -> 체계화: 이론과 이론의 관련성이 있어야함

*  위 과정은 과학의 탐구 방법이자 곧 논술이다.
  자연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현상을 자기 삶에도 대입시킬 수 있어야 한다.
사물을 파악하는 능력, 의사 소통 능력은 기본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이기 때문에 곧 과학적 탐구 능 력과도 같다. 따라서 사회 현상을 짚어가는 수업이 논술이자 과학 수업이라 할 수 있다.
  자기 삶에서 문제를 당연시하다보니 가설, 실험조차도 할 수 없다. 실패를 두려워하기 떄문에 가설도
  못 세우고, 실험할 기회(시행착오)도 가질 수가 없는 것이다. (기회주의자가 고민이 더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 음)-우유부단

* 또한 과학에도 주관이 들어간다. 개인의 주관, 그 시대의 주관이 들어간다. 그 시대와 맞지 않으면 이론에 머무는 것이고, 그 시대의 다른 이론과 맞물려 들어가면 쳬계화에 속한다. (우리가 가지고 잇는 생각도 절대적인 게 아니라, 지금 이 시대가 그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대상을 반영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게 패러다임 쉬프트)
예)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바뀌는 과정은 패러다임(사고 체계)가 바뀌는 과정이다.
      다시 말해 봉건 중세 시대의 패러다임인 천동설이 근대(자본)주의로 그 시대의 사고 체계가 바뀌는 과정이었다.

*주관이 들어가기 쉬운 과학의 단계는 문제인식, 가설 설정, 이론 이렇게 세 단계이다.

4.불확실성의 원리: 20세기에 19세기의 과학 신화가 깨짐으로 생겨난 이론
   과학적으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던 패러다임이 실제로 과학마저도 완전한 것은 아니라는 의식 생김 . 예를 들어, 예전에는 핵이 있고, 그 주위를 전자가 둘러싸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전자가 어딘가에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어디에 있는 지는 알 수 없다. 여기서 태어난 것이 확률이다.
불확실성의 원리에서 보면 과학의 한계는 깨지지만 과학의 한계를 이해할 수 있게된다.

5. 카오스 이론 : 과학의 그래프는 인과의 표현이다. 수많은 원인들이 뭉뚱그려 하나의 결과로 나타난다는 이론
                      현실이라는 결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면 수많은 원인들이 있었다. 그러나 편의상 하나로 표현
                      될 뿐이다.
                      카오스 이론은 수치로 푠현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공식'으로 표현이 안되고 통계를 활용한다.
   예1) 쥬라기 공원,
   예2) 일기 예보-측정 기술도 향상되었지만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향상됨으로써 더 정확해짐
   카오스 이론에서 보면 19세기 과학으로부터 절대성은 깨졌지만 과학의 한계를 오히려 더 넓게 이해하게 됨
    *사람도 마찬가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함으롰 더 확실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5. 과학 수업의 활용으로 부적당한 예: 호기심 천국 등 단편적인 과학 지식을 다룬 책, 위인전
* 과학은 어떤 방법으로 추론하는가가 바로 과학이다
   과학 토론 주제로 좋은 예- '귀신은 있다, 없다'

6. 과학과 현대 사회(다른 영역)와의 관계
황우석 사태로 볼 때, 과학과 언론과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과학 기자와 과학자가 속한 메카니즘(과학연구 집단) 이 만들어내 결과 임을 알 수 있다.

1) 현대인들의 과학에 대한 생각: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뭔가 많이 훌륭한 것이 아니겠는가'는 게 일반적.
   이렇게 과학이 과학의 전문가 영역으로 되고, 일반인들과는 유리가 됨
  왜 환타지와 마법이 유행할까-과학이 어렵게 인식되기 때문에.
종교는 '왜'라고 묻고, 과학은 '어떻게'로 묻는다.
19세기 과학은 큼직한 부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아주 미세하다. 그 미세한 부분은 한 팀에서 기획한다. 그래서 '전체'에 대해 '부분'이 점차 소외되어 감.
인간이 과학을 만들고 통제하면서 동시에 과학이 인간을 통제하느 점도 많음.

<2교시>
1.  기술 중심주의란?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기술로서 해겨할 수 있다는 것.
2.  기술 중심주의가 왜 문제가 되는가? 다른 해결책을 무시함
      예) 전기가 모자를 때 댐 건설 등 더 많은 정기 창출이 곧 해결책인가?
           전기 소비를 줄이는 등의 다른 해결책이 있을 수도 있다.
3. 왜 기술 중심주의적인 해결책이 선호되는가?
  기술은 상품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본주의 논리와 함께 한다.
  그러나 여러 해결책들을 함께 생각해 보는 게 합리적이다.

4. 현대의 과학 기술
  1) 권력이 필요한 일: 여러 명이 작업을 해야하므로
  2) 돈이 많이 들어감: 기업-> 상품화
                               정부-> 군수 산업
5. 기술은 인간으 생활을 편리하기 위해서 피료한 것이다? 이는 한 부분만을 보고 하는 이야기이다.
    기술은 삶의 양식조차 바꾸어 버린다. 일의 패턴이 달라짐으로 편리한 것 같아도 더 많은 일을 요구한다.
    예) '신제품'의 숨겨진 읨를 잘 생각해면 알 수 있다.

6. 과학 기술 주의에 대한 바람직한 우리의 태도는?
1) 과학 기술을 맹신하지 말고, 인간 중심인가, 그 기술을 만든 사람들의 이익을 위한 것인가르 생각해 봐야함
2) 과학 기술의 장점만 생각할 게 아니라 단점, 위험성 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과, 이것들이 사회에 끼칠 영행들을 함께 생각해 봐야 함.

7. 과학 기술의 민주화가 필요하다
  과학 기술은 경제의 문제, 정치의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예) "MP3나 핸드폰이 나에게 끼친 영향을 알아보자"
       대입 논제: 과학 기술이 인간의 인식을 어떻게 바꾸는가?
8. 에니메이션 채취병기 감상


<다음 주 과제>

1)  에니메이션 '채취병기'를 본 감상문 쓰기
2) 현대인의 삶의 방식에 관한 책, '소유나 존재냐'(범우사 판) 79쪽까지 읽기

다음주 수업은 '현대 사회의 삶'에 대해 강독식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