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
"우리 사회는 유별나게 불행한 사람들의 사회다"라는 말이 인상 깊었다. 또한, 소유하려는 탐욕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다면 조금 더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삶의 태도를 갖지 않을까 한다.

서**
처음에 너무나 많은 양의 정보에 당황했는데 적응되려니 강의가 끝나네요. 더 열심히 생각하고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최**
존재양식의 삶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박**
소유 양식적인 삶에서 벗어나 존재양식적인 삶을 산다면 나에게 무엇이 남는 것일까? 여지껏 소유양식적인 삶을 살아왔으니...

공**
개인적으로 저의 '사랑'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가족, 친구, (지나간)애인, 함께 공부하는 아이들... 모두 내 뜻대로 만들려고 하고 있구나, 소유하려고 하는구나, 그러면서 나는 그들을 사랑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박**
어려운 내용을-혹은 어렵게 번역된 책-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나타내준 수업이었다. 일상 생활에 항상 존재하는 삶의 모습속에 나타난 우리의 모습을 객관화해 준.

변**
언젠가 한두번 뒤적거렸던 책이건만, 깊이 생각해보지 못했다. 소유와 존재양식에 대한 독해가 참 명쾌하고 재미있었다. 다음번 강의에서도 그 봇물같이 터지는 열정으로 현대사회의 문제를 짚어주기 바랍니다.

조**
지난주에 개인사정으로 결석을 해서 비디오시청을 못했는데, 오늘 수업 '소유냐 존재냐'에 많은 지장을 받았다. '소유냐 존재냐' 어려운 책을 독해하며 공부해 나가니 혼자 읽었을 때와 비교가 되면서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김**
재미있었습니다. 강의 강의마다 한 줄기로 꿰는 맥이 있어 재밌습니다. 많이 배웁니다.

구**
어렵게 느껴졌던 경제, 정치, 사회 문제를 수업을 통해 (즐겁게)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김**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