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론 수업 어떻게 할까? > 수업정리
20분 지각해서 앞 부분을 제대로 듣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일반적 논술수업: " 아이들이 대체 생각 하지 않는다' 라는 말은 아이들에게 생각할 기회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 토론 수업 소재는 우리 주변에 무궁무진하다;박근혜 피습사건/ 북한 경성철도 복원 잠시

* 토론을 들어기기전에 '토론을 어땋게 해야할까'에 대한 관심 보다 '토론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를 생각한다.
                                                                                                                                                    
- 토론 수업의 어려운점
` 마음 열기가 안 되는 경우
`주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때: 토론 준비 미흡하다.
` 아이들 사이의 관계에 의해서수업할때
`사회자의 역할을 모른다                                                                    
` 토론 주제와 다른 이야기를 많이 한다- 개인화 .파편화

- 토론수업 준비: 훈련의 과정-마음열기(아이들과 아이들관계. 아이들과 교사 관계 등)
                        텍스트 이해가 목표
                       주제 이해 `목표- 텍스트가 토론의 도구화
                                        
  < 펼치기>
'토론 수업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나'를 가지고 이야기 할때
토론 준비, 평치기, 평가 마무리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 '토론 준비' 부분을 볼 때 주제 중심과 텍스트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주제 중심은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텍스트 중심은  토론의 한계가생긴다. 교사의 한계가 아이들의 한계로 가고 있다. 교사 개인의 취향과노력에의해 좌우된다.- 개별성
  교사들이 같이 모여서 공부하는 모임이 중요하다.=연대필요
- 펼치기
: `마음열기( 시` 노래: 주제와 관련느낌: 텍스트를 일근 소감)
  발문: 토론의제설정(교사 또는 학생 OPEN 상태)
  ` 텍스트 발문과 주제 발문: 토론의제를 누가 주체 하는가?
     `수위
    
    `토론 방식



- 평가 마무리
  ; 결론 이끌어내기
   평가하기( 토론 방식` 토론 내용` 토론 참여와 완성도 등
   평가하기(수업 소감 쓰기` 수업에 대한 평가 말하기)
   과제로 마무리 하기


  ***** 수업 마치는 시간 보다 30분 일찍 나오는 도반입니다.  제대로 듣고 올려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죄송합니다.  그리고 너무 늦게 올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