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논술 27기 제 7강       2006년6월20일 물날      정리: 정미경
*통합적 사고하기:역사의식 가지기/ 비판적 사유하기

*오늘 다룰 주요 내용 /비판적 사유하기

1.  왜 우리는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인가?-내 삶의 목표를 생각해 보기
2.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삶과 일치하는 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기
3.  우리는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나를 바로 세우기 위한 공부에 대해 생각해보기

*갈닦음에서 다루는 책:  노래하는  나무(한주미 지음/ 2000년3월 민들레 출판)

*들어가기
  이 주제를 다루는 까닭...  아이들이 받고 있는 교육은 살아가는 삶의 도움과는 멀다.
  우리가 하는 공부는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 무엇을 얻기 위한 공부인가? 이 공부를 통해 내가 이루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지식은 물처럼 흘러 다니는 것이다.
    .지식의 효용성도 물의 효용성과 같음은 자연의 이치이리라.
    .지식이 사람을 사람답게 할 것이며 참된 지식으로 가득한 사람은 참된 영혼으로 가득하여 많은 이들에게
     힘찬 샘물이 되는 것이리라.
   .교육은 숨결과 같은 것이다. 들숨-숨을 들어마시는 것은 교육을 온몸으로 호흡하여 내 것으로 만드는 행위
    이며 내 몸과 마음이 그 참된 교육으로 가득해지는 것이다.  날숨-숨을 내 쉬는 것은 내 안에 가득한
    에너지를 내 몸과 손과 발로 펴내는 것이다.
   .나를 바로 세우는 공부, 그렇게 함으로써 나로 인하여 맣은 이들을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되는 것이
    공부의 원형질이 되어야 한다.
   루르 루돌프 슈타이너 선생님의 가르침인 " 눈으로 정확하게 보라, 그리고 눈으로 본 것을 가슴으로 느껴
                                                              라, 그리고 가슴으로 느낀 것을 정직하게 손으로 표현하라."
   는 말씀엔 지식과 교육이 살아있어야 하며 교육이 내 몸과 일치되어야 하고 교육이 곧 내 몸이어야 한다
   는 것을 말하는 것이리라.

* 펼치기- 쟁점 토론하기 2
   미리 읽어온 텍스트 [노래하는 나무] 속에 담긴 슈타이너 교육과 우리 교육을 비교해 보고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좌표를 스스로 발견해 보자.

             EBS에서 방영한"이것은 미래 교육이다"라는 영상 감상후~

        1. 영국 슈타이너 학교...수학시간...연극을 통한 나눗셈 공부를 하고 있었다.  동작을 통한 통합적이고
                                                   예술적 교육이었다.
                                        역사시간...그림을 보고 스토리를 만들어 스스로 책을 만들어 간다.
                                                    이 과정에서 일을 마무리하는 책임을 배운다.
                                        교사.....1년 수업 계획(예술+교육=공연 예술을 지향)
                                         평가...학생 스로가 만든 노트로 아이의 발전 과정과 재능발굴.

       2.  일본 키노쿠니 학원(공무점)...역사프로젝트 반...움집을 협동하여 만들고 직접 의식주를 체험하며
                                                공부를 한다....협동심과 체험으로 공부.

I. 비교 댓거리 만들기
[노래하는 나무]에 담겨저 있는 슈타아너 교육에서 우리가 배울 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 교육과 슈타이너 교육과의 비교와 대조의 방법을 구사하여 구조적인 측면에서 사람을 바라보는 태도
교육을 통해 길러내고자 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이 무엇이며 교과적인 측면에서 지식을 구성하는 태도와
지식을 추구하는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발견해 내는 일이다.

댓거리                             우리교육           슈타이너 교육            다른점              의미 알기
---------------------------------------------------------------------------------------------
1.교육기간                        6-3-3                12년 연동제
----------------------------------------------------------------------------------------------
2.담임제                           1,2년간              8년 연동제
-----------------------------------------------------------------------------------------------
3.사람을 바라보는태도
-----------------------------------------------------------------------------------------------
4. 예술교육의 중요성          .시간표짜서        .수학과 예술을                               .생활교육
                                        교육                 통합적으로 하는
                                      .중등..들러리       교육
                                                교육
-----------------------------------------------------------------------------------------------
5. 노작교육
----------------------------------------------------------------------------------------------
6.수업방식
-----------------------------------------------------------------------------------------------
7.교과목을 학습해           .교과서 중심으로    .통합적인 교육                            .학생이 주체가 되는
  나가는 방식                   주입식 교육           체험적으로 교육                          교육
                                                               .삶과 앎의 교육                            .수평적 관계
-----------------------------------------------------------------------------------------------
8.세계를 바라보는 태도
9.교사가 아이를 대하는    .강압적이고          .교사가 도우미 역할                      .교사의 직업관과
   태도                            주입식                .개성존중,학습 동기유발                 가치관의 차이
-----------------------------------------------------------------------------------------------
10.학교를 운영하는 방식
11.축제
12.아이들 적성 발견하기
13.아이들 재능 키워주기  .재능 발굴 없음            .스스로 발견                           .교육적 문제
                                   .아무도 안함                .기회제공                               .재능을 키워주는 교육
-----------------------------------------------------------------------------------------------
14.학습평가                   .시험으로 평가             .아이들을 파악하기 위한 기록     .학생의 행복한 발전을
                                   .평가를 목적으로 교육   .사랑과 적성 발견을 위한 과정      위한 교육
                                                                    .친구와의 조화와 협동
------------------------------------------------------------------------------------------------15.교실 구조와 모습
-----------------------------------------------------------------------------------------------
II.표를 작성하면서 우리에게 없는 그러나 있어야 할 것을 슈타이너 교육에서 찾는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1.  교육은 있으나 교육철학이 없다.   삶의 두려움(가난, 친구가 없는...)을 없애야 한다.
        2.  시장논리의 노동자를 배출하기 위한 교육인 우리 현실과 반대로 학생을 위한 수업이 되어야 한다.                                                    
III. 표를 작성하면서 발견한 우리 교육의 문제가 무엇인지 정리                                                              
        1.  학벌주의 교육(깔대기 경쟁체제)
        2.  주입식 교육
        3.  협동이 없는 교육
        4. 학부모가 바꿔야 한다.
        5.  전인성 교사 부족(실력)
        6.  자애 깊은 관찰이 필요

*** 다음 시간 과제***
      1. '꽃들에게 희망을" (트리나 포울러스/분도 출) ...읽어오기
      2.  "지식인을 위한 변명"(장 폴 사르트르/문예출)...읽어오기
      3.  "노래하는 나무"를 읽고 소감문인 에세이 작성(우리 교육이 고쳐야 할 문제, 교육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
    다음 기록 샘은 오영숙 샘이야요~~

***샘들 수강 후 한 마디는 요~
1. 조은경 샘...슈타이너 학교의 아이들 얼굴에 우리 아이들의 얼굴이 오버 랩되었다. 표정이 서로 상반된
                    얼굴...  우리 아이들은 언제쯤 이런 평등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우리 아이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해주고 싶다.
2. 이경숙 샘...공부도 놀이처럼 즐거울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삶의 가치와 행복의 잦대가 바로 서야
                    한 것 같다. 나부터 변화시켜 보자.
3.(         )샘...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이지만 더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아이들의 개성을 중시하고, 더 연구하며 미래까지 생각하는 교육이 되어야겠습니다.
4. 윤미아 샘...슈타이너 교육은 교사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꼭 필요한 교육 철학인 것 같다.
                    나는 어떤 부모인가...많이 반성하게 된다.
5.  류미 샘...슈타이너 학교  교사를 보며 나 자신을 반성한다.  아이들에 대한 사랑,노력...늘 깨어있음.
6. 조은진 샘...당연히 추구해야 할 교육의 이념들이 특이화 되는 것에 대해 심한 갈등을 느낀다.
7. 정미경 샘...교육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는 수업이었다.  교육의 한 부분을 담당하는 사람으로 절충한
                   수업이 되도록 해야겠다.
8. 김연주 샘...실력없는 교사로 부터 교육의 모든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아닐까?
                   교사는 실력을 전인화된 인간으로 스스로 발전시켜야 한다. 열심히 공부합시다.
9. 정현주 샘...교육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10. 서예경 샘...문제는 실천인 듯하다. 이념적으로 동의하지만 나 자신 내 이념에 걸맞는 교사인지 반성
                    했다. 부지런함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가치관.이념을 가졌어도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11.신남순 샘...우리교육에 대해 힘들다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무겁습니다. 집에서나 나의 수업에서 이런
                     마인드를 소화할 수 있는 전문성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입니다.
12.김화경 샘...교육은 교사만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즉,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에 있다. 그래서 오늘 공부한 슈타이너의 교육철학은 모든 사람이 생각해 보고,
                    배워야 할 철학인 것 같다.  그리고 나는 현재 사교육을 하고 있는데 사교육울 하는 입장에서
                    교육철학을 어떻게 세워야 할 지 고민해 보아야 겠다.
13.최영주 샘...교육은 교사만의 교육이 아니라 가정, 학교, 학생이 어우러져 철학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된 교육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수업이었다.
14.오영숙 샘...슈타이너 교육에 대한 영상자료가 인상적이었다.우리 교육현실과 비교할 때 부럽기만 하다.
                     우리 아이들이 이런 환경에서 자랄 수 있었으면...
15. 박미경 샘...아이들 스스로 재능을 발견하고 함께 성장해 갈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사의 태도가 인상적이었
                     다.
16. 유경분 샘...책을 읽으면서 강의를 듣고 토론하는 가운데 답답한 마음을 지을 수 없었다.
                     지금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너무 잘 알고 있는데 뚜렷한 대안을 마련할 수 없다는 점이 참으로
                     안타까울 따름이다. 내가 먼저 바뀌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것을 욕심없는 나를 먼저 찾는 연습
                      이 필요할 것 같다.
17. 박윤경 샘...이 강의 시간의 차시가 늘어 갈 수록 지금 서울에서의 모든 생활을 접고 시골로 내려가서
                    시부모님과 농사짓고, 아이들에게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게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김화경 (2006/06/20 23:29:52)
http://box2.clubbox.co.kr:8037/app/index.cgi?box_url=4G1000 에 가시면 "밸런스" 동영상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혹시 찾으시는 선생님이 계실까봐서 알려드립니다.  
*주소로 들어가셔서 검색 창에 "balance" 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