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이해>

  너무 광범위하고 낯선 주제이므로 토론을 통해 그 내용을 중심으로 핵심적인 것을 간략하게 설명하면서 수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 경제/정치/문화 , 과학/ 현대인의 삶

  토론주제 :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것 3가지는?

  셋이서 : 휴대폰, 바코드, 카드
             개인의 정보가 누출되고 사생활이 공개되며 개인화되는 경향이 있다.

나무 : 비닐봉지, 카드, 세제와 프린터
         환경오염의 문제와 개인의 정보누출과 삶을 재단하게 되고 청결과 외모가꾸기등으 문제가 있다.
         프린터의 보급으로 정보의 공유화가 생김

3모둠 : 고층 빌딩, 자동차, 컴퓨터
           일정한 장소에 다수의 사람들이 집중됨

  4모둠 : 핵무기, 인스턴트 식품, 석유
            국가의 권력이 강화되고 생활이 바빠지면서 간편한 식사를 하게되고 석유자원을 이용함


   * 카드, 세제, 프린터등은 근대와 비교해 볼 때, 양적 또는 질적인 변화인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소수에 집중된 문명에 대한 생각과 우리와 다른 입장에서 보면 다른 상황에 대한 것과 여러가지 면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근대와 현대

역사의 기점에 따른 분류

     원시 (신석기 혁명)/고대(로마의 멸망)/중세(산업혁명)/근대/현대

  1. 근대가 마무리짓고 현대로 넘어간 시대다.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에서 정보화 혁명으로 미래학자들의 의견
  2. 지금도 근대인데 그 가운데 최근의 것을 현애로 한다는 의견
     송두율 교수

* 우리시대의 개념이 모호한 상태이다. 그러나 2번째 의견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로 우리가 선택한 사물이 근`현대에 걸쳐 섞여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현대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상과 철학을 중심으로 생각해보자.


  중세 : 초기 - 서구 기독교적 사고에 의한 교구철학
                  - 아우구스티누스가 지나치게 쾌락에 빠져 지내다 행복과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다 현실속의
                     모든 것이 가짜고 진실된 것은 신에게 귀의하는 것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함
                 - 그리스 철학 플라톤의 이데아를 응용하여교리를 만듦
                 - 신에 대한 최상의 제사의식은 신의 창조물인 남성들의 목소리만으로 드리는 그레고리안 성가라
                   고  인간이 만든 악기는 선하지 않다고 생각함
                 - 신/인간/동물/식물/무생물 로 위계질서를 세우고 인간에서 신으로 향하는 것이 선이고 동물의
                   단계로 가는 것이 악이라고 생각하여 인간적인 욕망이 억압되고 근검, 절약, 청빈의 삶이 가장  
                   이상적인 삶이됨
                 - 아우구스티누스 "불합리함으로 나는 믿는다."

           중기 - 성경의 교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이성으로 신의 뜻을 이해애야 함으로 인간의 이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
                  - 이 과정에서 스콜라 철학 사상이 도입됨
                  - 인간의 이성에 대한 이해로 음악을 연주하게 되었고 이때, 바하와 헨델 같은 음악가가 생김
                   - 교리를 해석하는 가운데 인간의 이성이 가치를 갖게 되었고 아리스토텔레스철학에 의거해
                     인간의 이성에 이데아가 있다고 생각함
                  - 토마스 아퀴나스 "우리는 신을 이해함으로서 더 잘 믿게 된다."

     푸코의 < 장미의 이름으로>에서 중세 초기와 중기의 교구철학과 인간의 이성에 대한 내용이 등장함
  웃음은 권위에 대한 도전이며 교리에 어긋난 것으로 여김


           후기 - 르네상스 시대 인간의 이성을 중요시 여기고 인간의 자화상이나 원근법이 도입됨으로 인간의  
                     존재가 의미를 찾게 됨


중세와 근대를 구분짓는 가장 큰 역할을 한 근대의 아버지 데카르트의 등장으로 인간의 사고 패턴과 생활 양식에 영향을 끼침

     데카르트 : * Cogito ergo sum. 생각하는 내가 있다.
                   * <방법서설>에서 진리를 찾고자하는 의미를 부여함  절대진리를 찾는데 유용한 것은 수학이다.
                   * 신기루, 착시현상등의 경험적 진리는 오감에 의한 것으로 믿을 수 없고 오직 이성적 수학적
                    추론만이 믿을 수 있는 진리이다.
                  * 렌즈의 발견으로 의문이 제시됨  스피노자(안경을 만드는 사람)에 의해 자연과학이 발전
                    하고 공리에 의해 의심할 수 없는 절대적인 작은 진리에서 출발하여 복잡한 진리로 가는 것이다
                  * 절대적인 진리란 의심해서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작은 진리와 수학적 방법으로 증명된다.
                  * 도저히 의심할 수 없는 사실은 내가 의심한다는 사실을 의심할 수 없는 것이다.- 생각하는 내가
                    있다.
                  * 생각이라는 것은 선천적인 선험적 지식으로 신에 의해 주어진 것으로 신이 부여해준 인간의
                     위대함이다.  신에게서 부여받은 인간의 진리는 합리주의 사고로 이어져 근대사회의 개인주의
                     개인의 욕구를 발휘하는 자본주의로 근대사회의 핵심적인 특징이 되었다.
                  * 구텐베르그의 인쇄술 발명으로 라틴어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함으로 인간 자신의 힘으로 성경
                    을 해석하고 데카르트가 주장한 개인의 동일한  이성의 기본적인 생각이 생겨남
                  * 집단에서의 개인의 역할이 이제는 개인의 역할이 중요시되며 성이 생겨남

     개인주의, 합리주의, 자본주의의 절정을 이룬 19세기에는 이성을 중요시하는 탐정소설이 등장하고 근대적인 운동인 체조가 생겨남
    근대사회의 사고와 문명과 야만에 대한 <로빈슨 크루소> 작품이 나왔다.
  
     근대화

  1. 인간 : 자연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정복한다.
                      긍정 : 자연과학이 발전하고 풍요로운 물질 생활이 이루어짐
                      부정 : 환경파괴와 인위적이고 인공적인 문화가 생김

  2. 문명 : 야만  긍정 : 제국주의 (문명인이 야만인을 지배해야한다는 것)
                       부정 : 계몽주의 (우리나라의 3.1운동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3. 정상 : 비정상    비정상 : 광인 (정신병원)
                                       범죄자 (교도소)
                                       학생, 미성년자 (학교)

  근대화에 있어 수학의 의미 1) 계량화   2) 위계화

     학교, 군대, 교도소의 몰개성화와 규격화
     국민소득의 함정에는 분배의 문제가 있다.
     데카르트의 함정에는 주관이 남아있다.
     화가의 원근법에도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되지만 화가의 주관이 들어간다.
     19세기에 식민지 개척과 과학기술이 활발하게 발전하지만 20세기초 난관에 부딪힘

   1. 세계제1차대전(참호전)
                  - 신무기 등장 ; 기관총(대량학살), 탱크, 잠수함, 비행기, 독가스
        과학과 이성에 대한 반성이 일어남

   2. 세계대공황으로 데카르트의 생각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고 위기에 처함

      합리주의 철학   데카르트/칸트/헤겔/마르크스
      
       합리주의에 반대해 니체(이성은 주관적이다)/실존주의/포스트모더니즘으로 발전함

*** 이성에 대한 몰락에 대한 영화   <타이타닉>- 이성의 승리인 타이타닉호가 자연인 빙산에 부딪혀 이성이 몰락함


    이성에 대한 반성으로 새로운 주의가 생겨남

  1. 자연과 인간에 대한 반성 : 생태주의, 환경주의, 다이아 이론
            1980년이후 환경운동이 일어남. 온생명운동

  2. 문명과 야만 : 문화 상대주의 (문화인류학)                

  3. 데카르트의 의식의 세계에 반대해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세계를 다룬 정신분석학

     ** 근대적인 틀 속에서 현대를 살고 있다. 효과적인 과정으로의 진행이 이루어짐


   ** 한국의 우리시대의 의미
    1.근대적인 요소 :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소비와 부가 이루어짐
    2. 탈근대적인 흐름 : 감성적 문화
    3. 봉건적인 잔재 : 가부장제, 사회의 위계질서화
  서구는 근대화가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반면에 우리나라는 압축적이고 타의에 의해이루어져 아직까지 봉건적인 면이 남아있고 탈합리주의적인 면이 많다.



   과제 :1.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김영사 읽기
           2. 경제 수업시 학습목표를 어떻게 잡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오기


수업정리가 늦어서 죄송해요.  읽어보시고 수업내용과 다른 것이 있으면 수정부탁드립니다.
다음 수업정리는 황정희 선생님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