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 앞서
'진리와 수행' (간디 지음) 을 읽고 감상을 나누다.
수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희생이며 도의 완성은 사랑인데 사랑의 전제는 희생이다. 사랑과 희생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실천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들어가기-마음열기
텍스트:문제의식
. 문제 의식을 가져야 하는 이유
. 문제 의식의 관점
. 진리를 찾으려는 태도
. 신념화된 진리를 지키려는 태도
. 예수의 사회에 대한 문제 의식
. 문제의식과 논술의 관계
텍스트:살림의 경제학
'살림의 경제학'을 읽고 문제 의식과 감상 나누기
정리: 살림의 경제학은 논술의 기본적인 관점이며 진정한 삶의 숨결을 살려 나가는 새롭고 깊이있는 대안으로 제시된다. 오늘날 자본주의 체계의 시장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로만 영위되는 삶의 방식은 죽임의 경제로 몰고 간다. 인간에게삶의 선택은 자율적이며 삶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체계에서는 개인이 존엄한 존재가 아니라 소수 자본가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오로지 노동력으로 착취되고 상품 구매 욕구와 소비까지 갖은 수단으로 강요당하는 거대한 소용돌이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살림의 경제이다.
*생각 펼치기
단편 영화 '레밍 에이드' 를 감상하고 모둠별 토론에 들어가다.
1.자본주의 체계 위에서 펼쳐지는 현대인의 삶은 궁극적으로 어떤 문제에 직면하게 될 수 밖에 없는가?
정리: 자본주의 체계에서는 인간으로 하여금 경쟁력을 키워서 성취감에 도취되는 가치관에 빠지도록 조작하며 끝없는 욕망과 탐욕으로 자아 분열 , 인간 소외, 생태계 파괴로 몰고 간다.
2.도시와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현대 사회에서 산다는 것은 결국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일까?
정리: 자본주의 체계에서는 생산에서 소비의 단계만이 존재하며 인간마저 교환 가치가 있어야 존재할 수 있다.
그래서 시장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아 실현은 개인의 존엄성을 박탈한다.오로지 철저한 시장 구조의 도구와 노예로 전락할 뿐이다.
*마무리
자본주의 체계에서 시장화나 도시화를 벗어날 수는 없다. 살림의 경제로 상생해야 한다.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더불어 사는 삶, 나누는 삶, 공동체적인 삶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나와 나의 가정부터 풀뿌리 운동을 실천하고 펼쳐나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