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폭우로  많은 피해를 입으신  강원도 도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빨리 복구되어서 관광 시즌에 조금이나마 만회 하실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치수 ( 治水 )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낀 한 주였습니다.
  또한  자연 앞에서는 너무도 무력한 人間의 한계를 보았습니다.
  
  11강 -  내 머리로 생각하는 정치이야기

   서너명씩  모둠으로  토론을 하였습니다.

   [   논제  :  우리나라 정치의 가장 큰 문제점은 ?  ]

   < 모서리의 얼룩이 >
    A 정보의 패쇄성
    B국민의 소극적인 태도
    C청산되지 않은 비도덕적인 정부

    ***  B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 따로 똑같이 >
   A 담합 ( 패거리정치 )
      ; 패거리정치라는 용어는 부적절하다.( 개그언어 )

   B.보스정치
   보스정치는 3김 이후 약화
   지역주의는 현재도 남음

   C 당론에 의해 개인 의견 무시
   당론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단 당론이 보스 의견인가  민주적인 합의인가 ?

   D 정치인의 부정부패
     선진국형 부정부패정도이다.
     여당과 야당이 견제하며 본질적인 부패는 희박한 편 .

   E 정치인의 전문성 결여
     정치인이 전문화되면 관료화가 우려된다
     정치인은 관료와 국민 사이 가교 역할
     정치인의 보편적인 시각이 더 중요하다.

   < 핑클 >

   A 지자체가 빨리 시작된것
   B 학연이나 ,지연으로 뽑음
   C< NG O >
    
   < 하나모임 >

   A 정치인이 설득력이 없다.

   B정권유지와 세습에 관심이 많다.
    ** 우리나라에선 세습 하지 않는다. - 세습은 일본

  < 푸른 하늘 >

  A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
  B 단기간 이룬 민주주의의 폐해
  C정치적 지도자의 자질부족


***************************************************************************************************************************************************************************************************

세계사에서 민주주의를 발생시킨 세가지

  A 프랑스 대혁명
  B 영국 명예혁명
  C 미국의 독립전쟁

  혁명 전 ( 왕 , 귀족 )          혁명 후
    *                                        
                                              
    *-----------------------> 시민  <  보통사람 > --   <바르지 못한 이해 >

    *
   시민


  < 올바른 이해 >

  혁명 전 ( 왕 ,귀족 )                        혁명 후 ( 부르조아 )
              I                                           I
              I                                           I
              I                                           I
              

         브르조아 _______________________  1

              II                                           II
      
         다수민중                                   민중

   혁명 초기에는 브르조아와 민중이 뭉쳐서 왕과 귀족을 추방 .
   혁명 후기에는 민중과 브르조아의 대결이 되었다.

   **  프랑스는 대혁명 후 지롱드당 ( 우파 ) 과 자코뱅당 ( 좌파 )로 나누어 목을 베었다.[ 권력다툼 ]
        그 후 로베스피에르 ( 급진파)가 나와 공포정치를 했고 , 나폴레옹이 그 뒤를 잇고 ,빈체제 ,공화정 민주정이 이어짐

   * 정치권력유지위해 권력가들은 동서양 모두 종교를 명분으로 이용 .
   * 브르조아는 권력창출및 유지를 위해 민중의 동의 즉 선거를 통해 명분을 세웠다.

   < 형식적인 동의 -  선거시에 일어날 수 있는 >

    * 원하는 공약 불 이행
    * 후보가 모두 마음에 들지 않을 때 무작위로 뽑은 경우  
    * 사회적 기준을 먼저 생각하며 투표한 경우
  
  *************************************************************************************************
  민주주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진정한 동의를 필요로한다.
  ** 개인의 주체적인 선택이 동의이다. **
  민주주의 형식은 주체적이나 내용은 다를 수 있다.
참된동의는 국회의원의 활동에 대한 감시를 해야한다. ex ) 국민소환제 -- 캘리포니아 주지사
  
**************************************************************************************************프랑스 대혁명의 이념은 자유 ,평등 박애이다.
자유 ** 브르조아
평등 **브르조아, 민중 [ 본질이 다르다 ]
브르조아 ----기회의 평등 ,신분 ,정치의 평등
민중 --------경제의 평등
박애 -------- 민중의 주장

**************************************************************************************************
브르조아는 자유를 주장하고
자유주의에서는 국가는 곧 기업이다.
그러므로 기업의 주인은 자본가이고 ,국가의 주인은 납세자이며  따라서 국가의 주인은 기업가이다.
  
1 차원 : 브르조아와 대중이 단결하여 왕과 귀족에게 대항 이것은 형식적 절차의 민주화이고  제한적 민주주의임 .

2차원 ) - 세금을 안 내는 민중들이 부르조아에 대항하여 참정권 확대를 요구하는 운동 .
차티스트운동 ,여성운동으로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는데 러시아 혁명이 뒷받침이 되었다.
그 후 사회보장제도가 발달하였다 ( 최초의 사회보장제도 )-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


** 참정권 확대도 민주주의의 발전기여 **

데카르트 : 인간은 이성이 있으므로 합리적인 결정을 한다
반론을 생각 해볼 수 있다.개인은 ( 사회, 집단 , 이데올로기) 영향을 받는다.
**************************************************************************************************

   < 학생들과 수업시 참고할 것 >

1) 자신의 이익 ,참된 의견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
    * 언론을 받아들이는 시각이 중요.  ( 예: 신문에 따라 판이하게 다른 보도  특히 조 ,중 ,동  )

2)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오해의 극복
  *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사회발전을 이루어 나가야한다.

예 ) 조화를 이루자 가 아닌  < ~ 게 조화다 >라고 쓰는 것이 논술이다.

   ** 박지원 : 중간은 어디인가 ?  바른질문이다. ' 어디가 중간인가 ? ' 를 설명해야 맞다.

**************************************************************************************************

<  학생들이 극복해야 할 오해 >

* 민주주의는 다수결이다.
민주주의는 < 주권재민 ,인권존중,인간존중 >이 기본이다.
다수결로 승리한다 할지라도 인간의 기본권리나 존엄성에 대치된다면 민주주의가 아니라 다수의 횡포인
것이다.

** 권력 분리에 대한 오해

학생들은 삼권분립으로 국한시키지만  더 넓게 이해해야 한다.

  * 다당제 ( 정부나 NGO)를 이해
  * 어느정도의 견제는 필요하다 .즉, 어느정도의 싸움이나 시끄러움은 자연스런 과정이다.
  초당적 단결 ,담합 이런 논리가 위험하다.


**************************************************************************************************

A )주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배양 ( 언론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

B) 민주주의의 구조와 가치를 이해한다.( 바른 이해가 없을 때에는 민주주의가 아닌것을 민주주의로 보거나 민주주의인 것을 아닌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12강 -  법과 우리나라 형성과정 수업


**************************************************************************************************
  
  
 ** 2주간 휴강후 수업합니다.**

    < 과제 >
   대중문화에 대해 교안을 작성한다. [ 영화 , 연극 등  알아서 선택하여 ]
   해방전후( 이 태준 ) ,논이야기 ,  태평천하(채만식 )를 읽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