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수업이란 내 안의 나를 알 수 있는
신념의 체계를 가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는 말을 새기겠습니다.
-김현숙

하나 하나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내가 보인다.
그래서 행복하다.
-정혜임

처음으로 숙제해서 좋았어요.
-신주연

점점 더 논술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게 됩니다.
논술학이란 새로운 학과가 필요하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김동식

내 안에는 과연 어떠한 마음이 자리잡고 있는가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내 안의 사랑과 선의 마음을 좀 더
끌어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박주희

보시, 알고 보니 어려운 게 아니다.
오늘도 참 많은 보시를 하며 살았다.
무재칠시, 늘 실천하며 살아야겠다고 다짐해본다.
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말씀
한 마디 한 마디 감사합니다.
-장현주

항상 바삐 살다 보면 영혼이 죽어간다는
느낌을 받아 본 적이 있었다.
요즘 아이들이 영혼이 일그러지고 죽어간다는
선생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앞으로 무재칠시(보시)를 어떻게 해야할까를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권순향

사단과 논술.
오늘 강의는 공감이 되지 않아 굉장히 답답했습니다.
논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감이라 생각했는데
정말로 모든 선생님들이 논술이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고, 인간답게 사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아

인간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무엇으로 사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시간이었습니다.
오늘 선생님들께서 말씀하신 것들을 토대로
내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좀 더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김수정

사단과 논술이 무슨 관련이 있을까?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까 궁금했는데
수업을 듣고 나니 많이 이해가 됐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좀 더 많은 보시가 이루어진다면
좀더 살기 좋은 사회가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김재환

오랜만에 듣는 수업이라 설레였습니다.
또다른 분위기의 수업이군요.
열심히 듣고 가능한 과제도 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재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내용에서 깊이 있게 다룰 수 있게
지도해 주신 부분이 좋았습니다.
문제점과 해결점을 잘 집고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수정

사단이 인간심성을 바로잡는다.
‘무재칠시’,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통해
모두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과 실천해야 함을 느껴보다.
-장영희

숙제를 잘 해 오시는 도반들과 공부하게 되어 즐겁다.
배울 점도 많고 고칠 점도 잘 보인다.
논술이 어떤 것인지 조금 감이 잡힐 듯 한데
아직도 배울 게 많다.
-황향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