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 앞서****************
허준 선생님의 <동의보감>서문을 읽다.
“사람은 우주에서 가장 영귀한 존재이다.”라는 주장글을 시작으로 많은 근거를 제시하다가 “이러한 것은 모두 사대, 오상이 묘하고 아름답게 조화되어 성립된 것이다.”라는 결론을내리고 있다.
1. 의사가 왜 이런 예기를 했는가? 왜 하늘과 땅을 비유하면서 설명했는가?
겉으로 들어나는 현상에는 보이지 않는 요인이 있다. 겉으로 보이는 병에도 숨은 원인이 있다. 예를 들어 평소에 화를 잘내고 감정기복이 심한 사람은 신장이 나쁜 사람이다. 또한 병이라는 것은 아름다운 조화가 깨어진 상태를 말한다.
2. 허준 선생님이 논술 선생이라면?
먼저 주제문에 대한 싶은 이해가 필요하다. 스스로가 얼마나 존귀한 존재인지를 발견하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인간과 우주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있다.

논술은 위선된 세계를 걷어내고 진실된 모습에 도달하는 것으로 내면화가 철처히 요구되는 공부이다. 수학의 깊은 세계에 들어가지 않은 사람이 아이들에게 수학의 재미를 뺏어가듯이 논술도 마찬가지이다. 논술도 아이들이 좋아하게 만들어야 한다. 아이들이 이 수업을 통해서 어떻게 변화될까라는 기대와 감동이 있어야 한다.
공책만들기************************
1.준비물: 송곳, 도톰한 실, 바늘, 이면지를 활용한 두꺼운 종이 2장 (덮개로 쓰이지만 그림이 있어도 좋다)

서로소개하기************************
둘둘 짝을 지어서 서로 상대방을 소개하는 시간이다. 자기가 자기 소개하는 것보다 재미있다.  이름, 나이, 사는 곳, 특성, 해오름에 기대하는 것 중심으로 간단한 소개를 했지만 왠지 분위기가 더 부드러워진 느낌이다.

<숙  제>
(1). 1강 자료집에서 “문제의식이란 무엇인가?”읽어오기
(토론 할 것이니까 자기생각 정리)
(2). 1강 자료집에 있는 “실림의 경제학”읽고 소감문 쓰기
(월요일(30일)밤까지 박형만 선생님께 메일로 보내기  phmany07@hanmail.net)
(3). "레밍 딜레마“ 교안 만들어 오기
   1. 수업 목표점 세우기(아이들이 무엇을 얻을 수 있나?)
   2. 도입- 주제에 대한 공유, text 이해 공유
      전개- 토론, 논의 쟁점 풀어내기
      마무리- 토론, 논의 평가 /다음 수업에 대한 연계(과제 알림)
   3. 참고자료 - 주제 이해에 필요한 현실사례
(4). 조사해오기
  해안가 주변 도시의 이름에 “산”을 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예:부산,마산....
    “주”를 붙이는 이유는? 예:경주,청주......
    팔도에 “도”를 넣어서 부르는 이유는?
    산맥을 대간이라 하는데 대간아래 산줄기에 붙이는 이름은 무엇이며 왜 붙이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