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살림의 경제학'을 읽으면서 자녀들에게 고급인력을 가지도록 강요한것, 이것이 아이를 위한 길이고 행복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문제였음을 깨달았다. 또한 자본주의 경제체계의 모순을 전혀 생각없이 받아들이고 살았던 삶이 문제로 떠올랐다.
>
>2.자본주의 체계 위에서 펼쳐지는 현대인의 삶은 궁극적으로 탐욕을 부추기게 되고 결국 인간과 자연을 파괴하게 된다. 나아가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까지도 위협받게 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
>3.도시와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현대 사회에서 사는 우리는 나 부터 문제의식을 가지고 도시와 농촌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적인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2모둠
1.우리는 뉴스에서 갈수록 경기가 나쁘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이 부분을 우리는 늘 자본가의 입장으로만 생각해 왔다. 문제의식을 가지면서 그 이면에 이제는 노동자들의 의식이 생겼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본가 입장으로만 생각하다보니 주체 변화없이 상대적인 빈곤만을 생각하게 되었던 나 자신을 보게 된 것이다.
즉,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들의 본질을 보게 되었다.

2.자본주의 체계 위에서 우리는 끊임없는 탐욕의 강요를 받는다. 그것이 자본이 바라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다보니 환경파괴는 물론이고 인간소외 현상으로 그 모습을 보여준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가 파괴되면서 자아를 잃게 되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3.도시와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현대사회는 필요치 않아도 가게되는 중독성을 낳게 되고 그로인해 가치관이 부재되는 상황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