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기 제 16강 수업정리
                                                                                                   최옥근
* 가족에 대한 주제
1. 가족에 대한 시를 읽으며 시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다양한 역할속에
   가정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김현승의 사회적 일반적 아버지의 모습'아버지의마음’
-이시영의 원치 않는 삶을 사는 아버지의 모습’
-정지용의 개인적 아버지로서 자식을사랑하는 아버지의 모습‘유리창’
-박목월의 가족을 사랑하는 모습이 그려진 ‘가정’
2. ‘거리’ 단편영화를 보면서
- 이 집에서의 문제점에 대하여
* 선생님들의 가정에서 겪는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이야기를 해 주셨다.
한 개인의 가정인 측면에서는 역할 분담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여자가 주위의 의식을
하며 의무감으로 어머니를 간병하고, 도리를 다하려는 형식적인 것이 짙었고,
가정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나 의사소통이 없었다는 견해가 많았다.
그리고 장기간 환자가 있는 가정에는 화목보다는 집안의 불화가 끊임없이
일어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하며 이 모든 것은 이기적인 사회적 풍조가 낳은
슬픈 모습이고 한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일상적인 거리에서 보게되는
모습이라고 했다.
3. 박완서의 ‘황혼’ 카프카의‘변신’을 통해 가족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논의
* 황혼 :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서로 자신의 모습만을 고집하고 다른 사람으로 인하여
         가정이 새로 만들어 짐을 인정하지 않으려하고, 서로 마음을 닫고
         상대방에 대해 주관적으로 생각하여 판단해 버리는 위험함을 범함으로
         어두운 가정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 전에는 한쪽이(여자) 희생을 했기 때문에 그래도 화목한 가정이 유지되었는데
           이제는 희생을 했던 여자들이 그 역할을 거부하기 때문에 겪는 것이라는 견해다          
          - 아들이  어머니와 아내의 사이에서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의 슬픈 모습이다.
* 변신 : - 그레고리는 우리 현대 사회의‘ 아버지의 모습’이라고 하는 견해다.
            그동안 아버지는 가정의 중심이 되었고, 권위가 유지 되었는데,
            직장을 잃거나 가정에서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해 나가지 못해 소외당하는
            모습은 아버지의 존재가 무너지고 있음을 말한다고 했다.
4. 수업을 받는 교사들이 그린 어항 물고기를 통해 자신의 가정을 돌아보고
   웃음을 자아내는 감초같은 시간을 가졌다.
5.  가족에 대한 교사들의 교안을 가지고 담당 선생님들의 설명을 들었다.
6.  교안을 작성할 때 발문도출시 내용이해30% 주제이해40% 확장이해30%로
    해주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7. 과제물 17강 자료 읽어보기, 다양한 텍스트로 교안작성하기, 건축, 우리의 자화상을 읽고
   표작성하기로 마무리 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