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하나 꽃 피어 풀밭이 달라지겠느냐고 말하지 말아라
네가 꽃 피고 나도 꽃 피면
결국 풀밭이 온통 꽃밭이 되는 것 아니겠느냐
나 하나 물들어 산이 달라지겠느냐고도 말하지 말아라
내가 물들고 너도 물들면
결국 온 산이 활활 타오르는 것 아니겠느냐

조 동하 님의  "나 하나 꽃 피어" 를 낭독하면서 수업을 열었습니다, 지난주에 읽어온 자료나 엔트로피 때문에 우울해진 마음에 희망과 격려가 되는 시였습니다

생각열기에서는 오늘의 주요 TEXT인 엔트로피와 연결해서
지난주 읽어온 자료를 바탕으로 소감을 나누었습니다

1 채식이 주는 정신적 포만
  소 닭등의 생육과정에대해 윤리적 측면을 알게 되었고 그들의 고통에 무관심했던게 반성이 된다는 분과
  모든 육류를 거부하는것이 아니라 어떤 육류를 먹느냐가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도반님이 있었습니다
  또한 육류의 사육과정이 엔트로피의 증가로 이어짐에대해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2 나는 어디서 왔는가
  물리학자인 장회익님의 글은 우리가 결코 한순간에 만들어진 혼자만의 존재가 아니라
  자연의 일부임을 보여주고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할때 영장은 흔히 쓰이듯 배타적 우월을 뜻하는것이
  아니라 만물과 소통할수있는 영적으로 가장 잘 소통하는 존재라는 말씀을 박형만 선생님을 통해 들었습니다

3 피터싱어의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자연으로 돌아가라를 외친 루소와 시장경제를 강조한 에덤스미스를 비교하였으며
  현재의 시장의 삶은 파괴와 소모중심적임을 알고 모든 부분에서 진지하게 고민해볼필요가 있음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4 80대 20 의 사회 현상학
   20의 가치를 위해 80이 소모되고 있는 사회현상에 대해 우리의 일상에서 쉽게 예(옷장, 신발장등)를 들어
   살펴보았으며 ,20에 속하기 위해 경쟁하지만 80의 가치에대해서도 소중하게 생각해야된다는 의견이 있
    었읍니다    
  
두 걸음 -단편영화 '게임의 법칙" "식욕"감상하기  (모둠별 토론은 못하고 전체적으로 이야기 나눔)
                                                                    

"게임의 법칙'에서 드러내고자하는 문제의식은 무엇으로 볼수 있는가?

   인간이전  세계에서는 생명의 질서에 순환성이 있었으며 엔트로피 발생도 적었으나
   인간이후에는 서로를 해치려는 무기를 계속개발하고 마침내 핵을 갖게 되어 순환성이 사라지고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고 엔트로피로 가게 되었음을 알수 있었습니다
  
"식욕' 에서

    * 주인공은 9to5 의 삶을 살고 있다.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대부분의 노동자는 7to11의 삶을 살고 있다
     이 두삶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라
    
      9 to5   :   선택한 노동을 하며 노동을 결정할수있고 ,삶의 주도권을 갖고  소비에 자유로운
                    고엔트로피를 발생시키는 부류라고 볼수 있다.

      7 to11 :    노동을 선택할수 없으며 선택당해져야하는 일반적인 노동자들로서, 자유로운소비
                    를 할 수 없고 ,엔트로피를 발생시키는 것도 작다고 볼수있다.
      
    * 주인공은 점점 더 비대해져 간다 . 주인공 삶을 통해 현대인의 모습을 가정한다면 어떤 문제를 말하고자
      하는것일까?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는 모습이 흡사 현재 모든걸 독점 독식하는 강자로서의 제국주의 탐욕을 볼수 있으
       며 이로 인해 착취되는 3세계 사람들을 이야기 해 볼수 있다
      
    *마지막 장면을  엔트로피를 적용하여 해석해 보자
       :비대해진 한사람(강대국)이 독점적으로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며 ,이는 다수(제3세계)의 빈곤과 원한      
        분노를 발생시킨다.
    
  마무리는 엔트로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지구를 지킬 수 있는 네트로피의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고
  우리가 어떻게 하면 저엔트로피를 실천할수 있을까를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다음주 수업에 준비해오실 과제*******

1 "노래하는 나무" (한주미/민들레 출판) 을 읽어오셔요, 작가와 출판사를 꼭 확인하시고 읽어오세요
   같은제목의 다른책이 있답니다 ,특히 197쪽 발드로프 교과과정 나무를 꼼꼼하게 살펴보시고 오시면
   좋겠습니다

2 교안 만들기 -'교육"을 큰 주제로 삼아 '교육문제' ' 참된교육 ' '사람을 살리는 교육' '사람을 죽이는 교육'
         '  현대 교육의 문제' '교육이 경쟁이다' 등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중 하나를 선택하여 교안 작성
           하기   (배워서 남주자를 참고해보세요)
        
3 '노래하는 나무'를 읽고 도반들과 토론할 문제를 제시해 보셔요.

4 신영복선생님의  '진정한 소통을 위하여'  읽어 오기 (중등자료실에 있다고 합니다)

늦가을인가 싶으면 겨울인듯한 요즘이 감기걸리기 딱 좋다고 하더군요..
모두들 건강하시고 담주에 뵈요...^^
수업정리가 제대로 되었는지 염려 됩니다 , 혹 보충하실거 있으심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