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수업의 주제는 통합적 사고하기- 문제의식 가지기 입니다

먼저

1쪽 '나는 위대한 사람이다'를 읽고
선생님:대상을 이해하고 관계 맺는 것을 통해 세상을 알아갈 수 있다. 또한 평등적 소통이 아닌  일방적 소통에 길들여지면 아이는 자기 의견에 자신없어 하고, 무엇을 물어보아도 '모르겠다'라는 대답으로 회피하고 거부한다.
억압적인 부모들은 대부분 일방적 소통의 관계맺기를 한다. 이런 부모들은 아이에게 정확한 의도로 뜻을 전달하고 아이의 생각을 존중해 줘야 한다. 그리고 '참 좋은 생각이야' '그래 네 생각이 일리가 있어'라는 평등적 대화 습관을 길러야 한다.


1차시 강의안 27쪽~30쪽
사람의 일생을 '출생-유아기-학교 교육-노농기-노동의 가치가 끝난 노년기'로 압축해 현대문명 비판과 더불어 자본주의를 신랄하게 표현한 강수돌 교수의 글을 읽고 공감한 부분과 소감나누기
도반-아이들을 존엄한 존재 자체가 아닌 소모적인 개체로 표현한 부분이 공감하기 어렵다
(다른 의견도 있었는데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선생님: 텍스트를 바라볼때 내 삶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들을 이해하고 있느냐의 태도의 문제는 대단히 중요하다. 논술 교사들이(현재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처하게 되는 많은 오류는 '문제제기 자체가 한계에 부딪치는 것이다'. 그건 이미 패배주의로 치닫게 되어 버린다.
구체적으로 보지 않고 뭉퉁그려서 보게 되면 문제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한다.
나에게 어떤 의미일까?
왜 공감하는가?
왜 공감하지 못하는가?
그렇다면 내 삶의 근거는? 의 문제로 인식하고 의견을 나누어야 한다

강수돌 교수의 글에 대해 논술의 문제로 예를 들면
*인식이 올바른가
1.아이의 탄생을 제2의 노동,자본으로 본다
이에 공감? 이에 반감?
2.아이의 탄생을 생명의 존엄으로 본다.
이에 공감? 이에 반감?
*문제 제기(의식)
3.현대 사회 문제로 왜 저출산과 노동의 양극화를 드는가

2쪽 자본주의 체계안에서의 우리 아이들이 직면하는 대표적 문제는?
선생님-핸드폰(초등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갖고 있는)과 mp3의 전자파는 뇌회로를 파괴하고, 뇌파를 교란시켜 수면장애를 일으키고 안정을 깨뜨린다.컴퓨터를 도피처로 삼고 폭력적인 기질이 될수 밖에 없다.
*대안
1)0~7세:책,이야기,엄마의 육성으로 노래->폐,간 튼튼->힘이 내면에 쌓임->커서도 긴 글 읽어내는 능력생김
2)텔레비젼 없애고 책보기
3)정기적인 음악을 듣고 부르기
4)부모와 함께 게임 같이 하기-자제력 갖게 해준다
5)생활 리듬 바꿔주기

3쪽 살림의 경제학 리포트
1.자본주의 사회 구조와 삶의 세계 중에서
.유아기의 성장에서 성과주의 체득:성과주의의 대표적인 달란트나 스티커 제도는 인간성을 파괴한다.
.성과주의가 갖는 문제 1
내면화된 성과주의가 어떤 영향을 끼칠까-이 세상에 돈으로도 살수 없는 가치로운 것들(즉 친구를 위로 하는 것이 얼마나 귀하고 가치로운 선물인가)을 알지 못한다
.성과주의가 갖는 문제 2
직업을 얻었을때 소비 형태가 어떻게 이루어질까-성과주의에 길들여지고 내면화 되면 타인에게 잘 보일려고 노력하면 원하는 것을 남에게서 쉽게 얻을수 있다고 생각한다.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거짓된 삶을 살수 있다(헛살기)

6쪽 레밍 딜레마 교안 검토-문제의식을 어떻게 풀어내고, 문제제기를 통해 어떻게 자아성장을 했는지 잘 나와 있습니다.
(훌륭한 교안의 모델이니 꼼꼼히 잘 보세요!!)

___선생님에게 배우는 논술 노하우 하나---
중학생 논술 수업시 펼치기에서는 독해를 제대로 했나 확인 후,정도를 심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독해의 심화가 되는 그룹은 전체를 내려다보는 질문 방식을 취한다.
심화로 나아가지 못한 그룹은 하나 하나 변화에 중심을 두고 질문지 작성하여 묻는 방식을 취한다.


2차시 강의안  11쪽
*인 의 예 지를 하나의 덕목으로 표현한다면 상호 연관성을 어떻게 설명할수 있을까
도반-연관성의 근거를 사랑, 실천,자기 성찰로 보는 의견이 나왔어요
선생님-측은지심의 대상은 관계의 문제로서 '부모'라 할 수 있다. 이는 제일 처음맺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부모니까 라는 당연하다의 논리는 사회를 보는 눈을 마비시킨다. 관계를 통해 사회를 보는 눈을 확장시켜야 한다.
사고의 깊이를 넓게 확장하고 다지면 가치관의 수용도 확장시킬수 있다

이상 강의정리입니다
빠지거나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댓글 감사하겠구요
명절 뒤끝에 늦었지만 부랴부랴 올립니다
지난주 못나오신 분들 이번주엔 꼭 뵙길 바랄께요

과제는

톨스토이-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읽어오기
나는 무엇으로 살고 있는가-생각해오기
살림의 경제학 읽고 공부한 소감을 엣세이로 쓰기-제목은 '살림의 경제학 읽고'or' 잘사는 방법'or' 잘살기'에서 택일해서 phmany07@hanmail.net로 21까지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