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서 죄송합니다.
박진욱 선생님께서 사정이 있으시다고 해서 제가 하기로 해 놓고는 깜빡 했습니다... ㅡ.ㅡ;;;;

십분만 일찍~!! 십분만 일찍.. 매주 일요일 저녁..
다짐에 또 다짐을 하지만...
그 전 주에 일주일 내내 강행군으로 휴가를 즐겼더니..
지난주에도 또 지각을 하고 말았어요...
제발 내일은... 제 시간에 도착 할 수 있기를...

<마음을 여는 노래>
-누구일까-
들길을 걷다 보면
도랑가로 달개비꽃 피어있지요
달개비꽃 볼 때 마다
달개비란 이름
맨 처음 붙인 사람
궁금하지요
누구일까 누구일까

산길을 걷다 보면
길 섶으로 패랭이꽃 피어있지요
패랭이꽃 볼 때 마다
패랭이란 이름
맨 처음 붙인 사람
궁금하지요.
누구일까 누구일까

=> 정말 가끔씩은 이런 이름을 붙인 사람이 누구일까 궁금해 했었는데..
    한명씩 노래 가사 바꿔가며 불러보니.. 더 궁금해지더라구요.. ^^
    노래 가사 바꾸면서 저는 '별'이란 이름 붙인 사람이 누구일까 궁금하다고 했는데
    선생님께선 아이들의 사고가 아직은 추상적이기 보다는 구체적이기 때문에
    '샛별'과 같은 구체화 된 표현이 더 좋다는 말씀을 해 주셨답니다.

'시'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시작하시다가는..
포르멘을 깜빡하고 그냥 넘어갔다는 것을 깨닫고 포르멘 공부를 했어요.. ^^
지난주 무한대를 그리고 나서 달리는 무한대 그리기 숙제 검사를 했고요.
무한대 두개가 만나는 모양을 그렸어요..

'시' 에 대한 공부
글과 그림의 중간적 형태이며, 글과 노래의 중간적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시'는 아이들이 쉽게 창작 할 수 있다는 말씀을 하셔서 깜짝 놀랐어요.. 지난주 나의 손을 그리고 난 후 시를 쓰는데 그렇게 어려울 수가 없었거든요. 그런데 그게 우리가 시에 대한 공부를 처음부터 잘못 시작해서 그렇다고 하시더라구요..
느낌을 갖고 표현하는 연습을 통해 시를 생산해 내는 생산자가 되는 공부를 하지 못하고 운율이니 제재니 하는 공부부터 시작하니 어려울 수 밖에요... 그 이야기를 듣고 나서 함께 공부하는 선생님들께서 해오신 숙제를 함께 감상하고 나니.. 마음이 조금씩 열리는 기분이었어요...
손에는 내가 살아온 인생이 모두 들어있대요.. 손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는 숙제를 하는 과정에서 울컥울컥 속상한듯한 느낌이 들었던 것이 바로 그래서 그랬나봐요.. 다른 선생님들은 어떠셨는지 무척 궁금했어요.. ^^;;

읽어오기로 한 까만손 시집에 대한 이야기
어떤 손이 부끄럽지 않은 손일까? 어떤 손이 부끄러운 손일까? 하는 질문에 대한 이야기를 했어요.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넔놓고 듣다 보니.. 끄덕 끄덕 거리며 듣기는 했는데 지금 생각하니 정확하게 기억이 나는 이야기가 없네요... ^^;;;
관계를 맺기 위한 손이 부끄럽지 않은 손이라는 이야기를 하긴 했었던 것 같은데.. ^^;;;

까만손 이라는 시집은 강원도 오색 초등학교 아이들이 지은 시집을 한 선생님께서 책으로 엮었대요.
그런데 아이들이 쓴 시가  어른들의 교재가 되고 있대요. 그만큼 좋은 시가 많이 담겨 있었는데요. 왜 여기에 시를 쓴 아이들이 좋은 시를 많이 쓸 수 있었을까 하는 이야기를 하다가 살아있는 지식과 죽어 있는 지식에 대한 이야기를 했어요. 학교에서 배우는 죽어 있는 지식과 자연에서 관계 맺기를 통해 느끼고 알아가는 살아있는 지식이 맞물려 돌아가야 하는데 요즘 아이들은 이성, 사고, 지식만 중요시하는 죽어있는 지식에만 치중을 해서 그렇대요. 살아있는 지식을 쌓기 위해서는 주변을 둘러보고, 관찰을 하고, 애정을 갖고 관계를 맺고 관계를 넓혀가는 것이 필요하대요.
예를 들어서 학교에서 교육을 통해 배우는 지식은 곤충을 세 부분으로 나누면 머리, 가슴, 배 라는 교과서적인 내용이고, 자연에서 체험을 통해 배우는 지식은 곤충을 세 부분으로 나누면 죽는다는 관계맺기를 통한  내용이라고 해요.
아이들은 관계맺기가 선행 될 때 대상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 진정한 "시"를 쓸 수가 있대요.

아이들이 시를 쓰는 것도 생산이 될 수 있지만 시를 읽으며 느끼고 생각해 낼 수 있으면 그것 또한 생산이 될 수 있대요. 아이들에게 있어 시 교육은 시를 쓰며 생산의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소비를 통해 또다시 생산을 해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또한 아이들이 시를 생산함에 있어 아이들의 말 한마디가 시어가 되고 예술이 된다는 것을 인정해 주고, 시를 통해 감성을 자극해 주고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게 하여 삶의 일부가 될 수 있게 해주면 좋대요.

그리고 콩알을 하나씩 나눠 갖은 후에 관찰하여 객관적사실과 주관적느낌 열가지 이상씩 적어서 발표를 했구요... 그 후 콩에 대한 시를 쓰고 또다시 느낌 나누기를 했답니다.

아~!!
그리고 시를 읽으실 때는 시 속의 음악성을 느낄 수 있도록 눈으로 보거나 읽는 것이 아니라 입으로 소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

다음주 준비물 및 숙제
엉뚱이 소피의 못말리는 패션 / 비룡소
읽어보시고 책을 갖고 오세요.
교안짜기를 하기 위해 인물의 특성, 중심생각, 주제어 생각해 보시래요.... ^^

아.. 수업 정리가 너무 늦어져서 다시한번 죄송합니다..  (__)


<강의 소감문>
백영신 선생님
시간이 많을 수록 늘어나는 것은 게으름인가 봅니다. 그 많은 날을 더위와 살림과 부대끼며 과제는 하나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강의는 시를 읊고 들어보는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시는 어른보다 아이들이 더 잘 쓸것 같습니다. 어른은 아무래도 잘 쓸려고 머리쓰다 보니 순수한 느낌을 그대로 표현하기가 어렵네요.

박경화 선생님
재미있는 시간
둘째 아이 눈물같은 콩과 함께 한
고맙습니다.

한재용 선생님
왜? 무엇에 이끌려 살기에 시를 멀리하고 살았나 후회가 됩니다. 어린이들이 쓴 시가 마음에 빛그림처럼 촉촉히 스며듭니다.

박진욱 선생님
이성과 감성을 함께 느낄 수
(요렇게만 쓰셨는데.. 아무래도 집에가셔서 쓰시려다가 급히 제게 넘기신것 같아요.. ^^;;)

고희경
손에 대한 생각, 시에 대한 감상...
함께 이야기를 하며 눈물이 울컥울컥 하는 느낌을 갖을 수 있었던 것을 보니 "시"에 대한 공부를 온 마음으로 느끼고 가는 것 같습니다.
(그날 수업 하면서 이야기를 나눌때마다 왜 그렇게 감정이 울컥거리던지 푼수같이 울뻔 했어요.. 창피하게....^^;;;)

최민화 선생님
시를 써 보았다. 어렵다고 느껴져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다른 사람의 시를 들어보니 한편의 이야기처럼 쉬웠다.

장유정 선생님
'시'는 너무 어렵다.  <까만손>이라는 책을 통해 싱대한 선입관을 많이 없앴다. 관찰하고 관계 맺는 작업 그것이 '시'임을 알게 되었다.

구선옥 선생님
두아들을 이집 저집에 분산시켜 맡겨놓고 무거운 몸을 이끌고 왔는데 몇시간동안 몸이 치료되어 가볍게 즈러운 맘으로 뿌듯하게 돌아갑니다.

안현주 선생님
재미있는 일들과 느낌들을 함께 공유할 수 있어서 즐거웠다. 그리고 3주 만에 정신이 '팍' 돌아온 기분이다.

탁윤란 선생님
'까만손'에 나온 아이들의 시를 보며 부끄러움을 느꼈다. 생명과 자연에 깊은 관심과 애정, 점점 좋아지는 내 시야와 마음을 넓히고 싶다. 내 말 한마디가 그대로 시가 될 수 있도록 많이 느끼고 깊이 생각하고 제대로 행동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