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기 선생님들!! 이제 2강 남았습니다.
   다음 주 수업과 다다음 주 수업은 선생님들께서 꾸리시는 수업이니,
   과제에 적극적이셨으면 좋겠다는 김형준 선생님의 말씀이 있으셨습니다.
   유종지미를 거둘 수 있도록 우리 노력하자구요.^^:

   *8월 25일 과제: 워크샵 -현대수업 관련 교안 작성하기
                                     김형준 선생님과 나눴던 수업 중 한 주제를 선택해서 짜오시면 됩니다.
                                      (현대사회, 대중문화, 과학, 경제, 정치)
               *교안 1차시 분량 -- 1. 학습목표-추상적인 표현 생략-구체적이고 명시적이어야 한다.
                                                            학습목표는 1~2개가 적당하다.
                                            2. 대상, 시간
                                            3. 교제
                                            4. 수업진행
      
@수업 열기-대중문화의 사회적 함의에 대한 샘들의 답변
                *자본주의 논리이다. 드라마를 비롯한 대중문화 뒤에는 물질만능주의와 소비지상주의를 부추기는
                 자본의 논리가 있다. 대중매체들은 앞다투어 '말초적 패러다임' 형성에 주력하고 그 걸 소비와
                 연관시켜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주력한다.
                *이분법적으로 전개되는 아이들 만화 프로그램도 문제이고, 만화 속 물건이 유행돼 아이들 소비를
                부추기는 것도 문제다. 최근 유행한 '요요'는 심지어 2만원을 웃도는 가격에 판매되기도 했다.
                *전문인에 한했던 문화가 대중화 되었으며, 일반인들까지 문화를 공유하고 향유할 수 있게 됐다.
                 고급화된 것들을 누구나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었다.

@수업 펼치기- 고급과 저급의 기준은 무엇인가?
                    절대적인 가치 기준, 다시 말해 시대와 역사를 초월한 객관적 예술이 존재하나?
                    뒤샹의 '샘'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다. 이 작품을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나?
                    '오브제'인 변기에 제목을 '샘'이라고 붙인 이 것이 왜 중요하고 유명할까?
                   **우선 예술가의 두 측면을 살펴 보자. 장인과 철학자.
                      무엇이 예술인가?-->고정된 정답은 없다. 예술가의 시각에 의해서 예술이 결정된다.
                                                   일반적인 사고에서 벗어난 사고의 반영이 예술이다.
                    **뒤샹이 '샘'을 통해 말하려는 것은 예술은 기술이 아니라 예술가의 선택, 즉 '철학'이라는  
                      것이다. 예술이란 예술가가 만드는 것이다.
                      *뒤샹의 작품 중 그림이 없고 '액자'만 전시된 적이 있다. 이 작품이 의미하는 것은 '액자가
                      그림을 만든다'는 것이다. 액자 안의 그림은 무엇이든 예술이 될 수 있다. 그 작품을 둘러싼
                      권력과 제도, 권위만 있다면 말이다.
                   **질문: 그럼 뒤샹의 '액자'나 '샘'이 예술이 될 수 있었던 것 또한 그 작품을 둘러싼 액자에 있
                               지 않은가요? 만약 뒤샹이 아닌 무명의 화가가 똑 같은 작품을 전시했을 경우 뒤샹과
                               똑 같은 평을 받았을까요?
                    **그렇다. 하지만 뒤샹이 새로운 장을 연 건 사실이다. 그로  인해 그림-->오브제-->설치예술
                      더 나아가 행위예술, 장르의 기반이 된 것이다.
               ****뻔한 이야기(결말)가 아닌 점, 남들과 다른 생각, 남들의 잘못된 생각을 찾아내는 것이 예술과
                      논술의 닮은 점일 것이다.*****
                  **예술의 기준이 절대화 된다면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 박해가 발생할 것이다.
                   -. 절대적인 것이 가치 있다--->문화적 배타성
                   -. 절대적인 것만이 가치가 있다-->문화적 상대주의
                   -. 절대기준을 적용할 경우-->우리의 개고기 문화에 대한 다른 나라의 반응이 나쁜 건
                                                          '개고기를 먹는다' 의 결과만 적용하고 문화적 배경, 관습, 환경을
                                                          고려하지 않아서다.
                  **결국, 객관적(절대적) 예술은 없다. 예술의 가치가 오늘 날의 현실에서 적합한 가치가 있을 때  
                     예술로써 가치를 갖는 것이다. 항상 시대마다 어떤 선택을 할 지 알 수 없다.

@수업 펼치기 2@
**문화: 이분법적 태도, 드라마: 흑백논리
  일상과 가까울 때, 자신의 현실과 가장 가까울 때 흑백논리가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 가정 파괴범에 대해 이분법적 기준을 적용한다.
  남성의 경우 자신의 경제 활동, 경제적 문제와 관련이 있는 일에 대해 이분법적 기준을 적용한다.
  *삶의 조건에 따라 다른 흑.백 논리를 적용하게 된다. 자신의 삶과 연관이 되는 문제에는 민감하다.
   자기 합리화의 성향때문이다. 자기 주변의 것을 냉정하게 볼 수 있기는 어렵다.

**대중문화를 우리는 흔히 매스 컬처라고 하지 않고, 퍼퓰러 컬처라고 한다.                  
   *대중 문화--1. 삶의 양식
                     2. 예술
   *대중예술<------>대중문화: 대중의 삶의 방식이 대중의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대중의 문화가 대중의 삶의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순환적)
   *사회 현실이 만들어낸 일부의 욕망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부추겨지고 심화 확산 되어 대중의 욕망이 된다.
    매스미디어가 일방적으로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순환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 과정의 키워드, 즉 순환과정의 키워드는 '욕망'인 것이다.
  **빈부격차->자기의 차별화->소비의 차별화-브랜드 선호(명품), 소비의 시스템(웰빙모드)
    *웰빙의 확산 이유->부자의 소비 형태가 소비의 모범이 된다.
                                하류층의 웰빙--구조조정에서 발생(막노동 정서화)
                                         ㅣ
                                현실적 배경(신자유주의: 개인의 이익, 이기심 극대화)->웰빙 지향
                                          ㅣ
                               웰빙의 수요적 측면(이루어질 수 없는 꿈이니까 상품화 시킬 수 있다)

**매스미디어 메카니즘**
*매스미디어-대중문화->하나의 상품=차별화 전략-->잘 팔기 위한 차별화 전략(상품 효용성이 짧아짐)
-->매스미디어-상품메카니즘
*미디어는 메시지다->형식이 내용을 좌우한다. 형식에 의해 내용이 규정된다.
                             미디어의 형식->텔레비전이 왜 바보상자인가?
                                                   *텔레비전 자체의 문제-사고를 한정시킨다. 어떤 미디어를 접하느냐에
                                                                               따라 사고가 한정된다.
                                                   *방송사 경쟁으로 인해, 간접 광고가 활성화 됨->스타시스템 등장.
*스타에 열광하는 것이 왜 문제인가? 스타에 열광하는 과정에서 외모지상주의, 자아이상, 가치관이 학습된다.
-->스타-세대상
*고급 소비-광고 타겟
*욕망의 긍정적 반영-매체: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자신의 처지를 비참하게 느끼게 할까?
                                     실현 불가능한 이상일수록 상품가치가 높아진다.
*능력만 있으면 선택할 수 있는 제한된 자유->개성증진(개인의 자유 증진)->소비에 의한 개성
->인간이 개성적으로 산다는 게 가능한가? 개인의 가치관 표현이 개성인데, 그 개성이 사회의 가치관이었다면개인의 정체성 또한 사회적으로 규정된 자아에 불과한 것이다. 본질은 실존보다 앞선다.
*대중문화:사람들이 보여주고 싶은 걸 보여줘야 한다(욕망을 부추길 수밖에 없다)
             차별화가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사회의 탓이 아닌 개인의 탓으로 돌린다.
                                                                            
**매스미디어의 메카니즘에 대한 방안--원초적인 방법: 매스미디어를 차단하는 경우
                                                     욕망, 현실이 변영됐는지 감시하는 방법(미디어 감시)
                                                     새로운 형식의 미디어, 미디어 참여(청소년 영화제작, 단편영화)
                                                    **욕망이 고급화될수록 사회현실 수정가능(장기적 과제)
                                                    **제어의 메카니즘->상호견제
**상품, 소비로 인해 봉건적 사회를 무너뜨린 건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길드)

*대중문화를 주제로 수업하기**
@대중문화 자체에 대한 수업, 정치, 경제, 사회, 과학에 끼워넣기식 수업 가능

1. 구체적인 예가 필요하다.
    -영화, 드라마 등 한편을 선정한 후 분석하는 방법
    예)로보캅-세계화, 인간 자체 상품화, 신자유주의, 자영화에 대한 비판.
2. 트렌드 분석-->사회의 흐름 가치변화(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원인과 결과가 있다.)
3. 일상문화 분석->교훈, 도덕(상식적 수업) 되도록 피한다.
                          새로운 형식, 새로운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수업.
                         예)놀이공원--포디즘
                         *소비 학습--소비=행복: 행복이 학습된다.
                         예)여관문화: 봉건의식이 높고, 주택가격이 높아서다.
                      **어떤 문화가 형성되었다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되었다.
                     **일상문화: 한 사회의 가치, 규율, 통념, 체제를 알 수 있다.

**욕망을 부추기는 가운데, 현실의 비판적 시각이 드러난다.
   의미 있게 볼만한 대중문화는 있는데, 그 걸 알아 보는 눈이 없다. 천마를 알아 본 백악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