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대학으로 우뚝 선 신생 한동대의 교훈

                                                             한겨레 사설 (2007년 4월5일)

  
유네스코는 1992년부터 유니트윈이라는 프로그램을 가동해 왔다. 선진국 고등교육 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기관과 망을 형성해 지식 콘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단순히 교육 기자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통신·경제·경영·법률 등 선진적 지식을 제공해 개도국의 자립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취지가 이런만큼 선정 기준은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개도국 대학이 먼저 모둠을 이뤄, 원하는 분야의 능력을 갖춘 선진국 대학을 지정해 유니트윈 협약을 신청하면, 유네스코는 해당 대학의 수준과 능력을 평가해 주관 대학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어제 경북 포항의 한동대학교가 우리나라에선 처음으로 이 프로그램 주관 교육기관으로 지정됐다. 한동대는 물론 우리나라로서도 명예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해방 이래 유엔 등으로부터 하다못해 공책 연필에서 모든 교육 프로그램까지 지원받았던 우리 과거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상징적으로나마 교육 수혜국에서 교육 공여국으로 전환됐음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 그런 평가는 과분하다. 우리 정부나 교육계가 한 일은 거의 없다. 이번 지정은 국토의 한 귀퉁이에 자리잡은, 개교 12년째의 신생 한동대만의 노력으로 거둔 열매였다. 한동대는 그동안 전공을 넘나드는 통합교과형 교육, 정보통신·국제경영·국제법을 융합한 글로벌 인재양성 교육으로 나라 안팎의 신망을 받아왔다. 밖으로는 학생들이 아프간의 칸다하르대학 등에서 봉사활동을 해 왔고, 몽골의 재정경제대학 등과 공동학위 과정을 운영하는 등 국제화와 개도국 지원에 노력을 기울였다.

따라서 이번 일은 우리 교육계가 자랑삼기보다 반성의 계기로 삼는 게 온당하다. 오로지 대학 서열화에만 매달려 학생 교육은 등한시해 온 이른바 서울대 등 주요 대학엔 특히 그렇다. 이 대학들은 자신의 낮은 경쟁력을 오로지 정부의 간섭 탓으로 돌려 왔다. 성적 우수 학생을 사실상 독점해 왔으면서도, 대학에 자율권이 없어서, 혹은 고교 교육이 잘못돼, 대학 교육이 실패했다고 주장해 온 것이다. 전통과 서열을 자랑해 온 이런 대학이 신생 한동대 앞에서 무슨 말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김영길 한동대 총장은 이렇게 충고하곤 했다. “성적순으로 학생 뽑는데만 집중하지 말고 가르치는데 신경 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