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논술 50기 최문영, 문찬미, 정현, 이은주


1. 텍스트를 읽고 다음 질문을 통해 작품을 분석해 보자.


1) 독해를 위해 꼭 확인해 볼 질문


Q4. 노랑 애벌레는 고치가 되기 전 무엇을 두려워 했는가?

->자기 안에 나비가 있다는 늙은 애벌레의 말을 듣고도 그 사실을 믿지 못하고 자기 확신이 없었다. 또한 죽어야만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에 두려워했다.


Q5. 호랑 애벌레와 노랑 애벌레는 서로 다른 길을 선택한다. 어떤 선택을 하였으며 그러한 길을 선택한 이유를 호랑 애벌레와 노랑 애벌레의 입장에서 이야기해 보자.

->호랑 애벌레와 노랑 애벌레 모두 자신의 존재 이유를 궁금해 하고 새로운 세계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으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면에서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호랑 애벌레는 목표달성과 도전, 경쟁에 더 의미를 두었고 노랑 애벌레는 남들과 다른 가치를 찾는 것에 목표를 두고 그 목표를 혼자 이루어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만들어 가는 것에 더 큰 존재 의미를 두었다.


Q6. 다음 소재들의 상징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보이지 않는 꼭대기 - 사회가 정해 놓은 목표, 타인이 정해 준 목표

호랑 애벌레 - 목표 지향적 인간, 도전하는 자, 시행착오를 겪는 이

노랑 애벌레 - 의미, 가치 지향적 인간

애벌레 기둥 속 애벌레 - 제도권안의 우리

늙은 애벌레 - 멘토, 조력자, 자기 안에서 가치를 찾은 이

고치 - 기다림, 인내, 고통, 성숙, 숙련과정

나비 -자기완성, 주체의 완성


2) 텍스트 주제를 논술 문제로 심화 및 확산하는 문제


Q1. 호랑 애벌레가 기둥을 점점 더 높이 오르게 되면서 “꼭대기에는 뭐가 있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 거지?”라는 등의 불안의 어두운 그림자가 마음을 자꾸 괴롭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앞날에 대한 불안감, 보이지 않는 미래에 대한 확신이 없기에 

 

Q2. 호랑 애벌레는 사랑하는 노랑 애벌레와도 헤어진 채 미련을 버리지 못한 애벌레 기둥을 다시 기어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그랬던 호랑 애벌레가 꼭대기에 거의 다다랐을 때 “이곳에는 아무것도 없잖아!”, “조용히 해, 이 바보야! 밑에 있는 놈들이 다 듣겠어. 우린 지금 저들이 올라오고 싶어 하는 곳에 와 있단 말이야. 여기가 바로 거기야!”라고 하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이 이야기를 듣고 호랑 애벌레는 무엇을 깨닫게 되었을까요?

->모두가 중요하다고 도달해야 할 곳이라고 여긴 그 무언가가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에


Q3. 자신은 이 작품의 누구와 비슷한가? 또, 이 작품에 등장하는 존재 중 가장 바람직한 삶을 영위하는 존재는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말해 보자.

-> 두 애벌에의 삶 모두 자기 삶을 잘 가꾸어 가는 존재라는 생각이 듬.

(개인적으로 이 부분은 바람직한 삶이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이야기를 나누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바람직한 삶이라는 것 또한 우리가 정해 놓은 또 다른 기둥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던 발문^^;;)


2. 토론문제


토론 1. 호랑 애벌레와 노랑 애벌레가 진정으로 찾고자 했던 참모습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나’를 잃어버리지 않고 나인채로 사는 것. 나의 모습과 내 삶의 의미를 찾는 일.


토론 3.

줄무늬 애벌레가 먹기보다 좀 더 나은 삶이 없을까 해서 찾은 것이 애벌레 기둥을 오르는 일이었습니다.

그 일은 줄무늬 애벌레가 여러 가지 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 것이 아니고, 뭔지 잘 모르지만 남들이 다 하니까 나도 해보자는 식으로 선택한 일입니다. 그러니까 기둥을 오르는 중간에 회의를 느끼고 내려오기도 하지만, 여전히 남들이 다 하니까 자기도 안하면 안 될 것 같고 해서 다시 기둥을 오릅니다. 그렇지만 결국 포기하고 다른 곳에서 고치를 만들고 나비가 됩니다.

우리 인간의 삶도 내가 스스로 선택한 삶을 살아가기보다는 남들이 다 하는 것을 쫓아서 하는 면이 많고, 스스로의 삶을 선택해야만 하는 시점이 되면 그때는 시간이 많이 흘러 중요한 때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의 삶이 너무 단조롭고 획일화 되어있는 면이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좀 더 다양한 삶, 스스로 선택하는 삶을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기둥의 맨 꼭대기는 왜 안 보이는 것이며,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을까요?

->스스로 선택하는 삶을 살려면 우선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한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싫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나에게 수많은 질문을 해보아야 한다.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 있어야만 어떤 문제가 주어질 때 판단하고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둥의 꼭대기가 보이지 않는 까닭은 기둥의 실체가 무엇인지 모르고 올랐고 이미 많은 기둥들(목표)에 도달했음에도 자신은 인지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이유를 생각해 보면 아직 성장하는 과정 중에 있는 자신이기에 (몸과 정신이 아직 덜 자란 애벌레의 상태) 그 꼭대기가 눈앞에 있어도 나비가 아니기에 볼 수 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토론 4.

애벌레 기둥에서 벗어나서 나비의 삶으로 자기 혁명을 이루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를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으로 나눠서 생각해보자.

->개인적 측면에서 보면 자기혁명을 이루는 삶을 살려면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데 그 결정이 나에게 미칠 영향을 (인정받지 못함, 실패의 두려움, 나와 같지 않다는 타인의 배척..)생각하면 위험과 불안 대신 안정과 편안함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 같다.

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여러 갈래의 길을 인정하지 않는 제도권 안에서의 자기혁명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고 사회가 만들어 놓은 프레임에 속하도록 사회 시스템이 움직이고 있기에 자기만의 색깔 찾기는 더욱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