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논술 자료함
육식의 종말 을 읽고
인류와 소의 아주 오래된 관계부터 시작하는 책은 덤덤하게 그래서 조금은 지루하게 소와 인간의 놀라운 관계에 대해 얘기한다.
전 세계 토지의 24%를 차지하고 기아에 시달리는 수억 명의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양의 곡식을 단숨에 먹어치우면서 날로 그 세력을 늘려가는 소 목축업. 현대로 올수록 쇠고기는 단순히 고기 덩어리가 아니다. 그것은 이념, 정치 경제가 복잡하게 얽힌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신에게 경배 드리는 제물로서 때로는 숭배 받는 신으로써 인간과 더불어 역사를 살아왔던 소들은 인간들이 자연을 경배가 아닌 정복의 대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단순히 맛있는 먹거리로 전락하고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부터는 부의 축적과 과시로 그리고 지배계급이 비지배계급을 착취하는 수단으로 변했다. 이제는 거기에 토지를 황폐하게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환경오염의 주요인이 되어 버렸다.
예쁘게 포장되어 우리에게 주어지는 햄버거에서, 부위별로 해체되어 조리목적에 맞게 썰어져 깔끔하게 포장되어 진열대위에 가지런히 놓여진 고기상품을 보면서 그 뒤에 숨겨진 음모를 깨닫기는 사실 어렵다. 그러나 육식에 숨어있는 많은 사연들을 우리는 이제 알아야 한다 거기에는 서부시대 행해진 버펄로와 인디언 말살정책이 들어있으며, 땅을 빼앗긴 채 가난하게 살아온 사람들의 분노와 이민자들에게 행해진 착취와 고통이 있으며 영문도 모른 채 사육장에서 소들이 겪었던 고통과 괴로움이 있으며 지구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이 들어있다. 한 쪽에서는 곡식이 모자라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하고 한 쪽에선 곡식으로 살찌운 육식을 과식해서 병들어 가는 이 아이러니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책은 우리에게 육식의 종말을 얘기 한다 그것은 단순히 육식을 하지 않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사고방식, 가치관의 변화를 말한다. 오랫동안 우리를 지배했던 기계적인 세계관이 아닌 생태적세계관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차가운 악’에 대한 각성과 대처를 의미 한다
우리는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잘 살아가기 위한 우리의 자세도 여기서 찾으면 될 것 같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자세를 낮추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것, 욕심 부리지 않고 세상과 소통하며 사는 것이 잘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나 하나 꽃 피어 / 조동하
나 하나 꽃 피어 풀밭이 달라지겠느냐고 말하지 말아라.
네가 꽃 피고 나도 꽃 피면
결국 풀밭이 온통 꽃밭이 되는 것 아니겠느냐
나 하나 물들어 산이 달라지겠느냐고도 말하지 말아라
내가 물들고 너도 물들면
결국 온 산이 활활 타오르는 것 아니겠느냐
**********************************************************************************
육식의 종말
해오름 논술교사 아카데미 25기 조경숙
육식의 종말을 읽게 된 이유는 평상시에 육식을 즐겨하는 식성 때문이다. 그 어떤 책에 비해서 알고자 하는 마음이 강하여 읽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책을 덮고 있는 이 순간 아니, 읽는 동안에 그 좋아하던 고기반찬을 집어 먹기가 힘들 만큼 충격이 컸다. 앞으로 우리가 잘 살아가기 위한 방법은 ‘육류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육식의 종말>의 저자인 제레미 리프킨은 말한다.
검사관들은 심한 열병을 앓는 소들이 도축장으로 들어오면 도살하지 않고, 체온이 정상 으로 내려갈 때까지 소에게 물을 뿌린 후에 도살한다.
소의 울부짖음이 들려오는 듯하다. ‘생각’을 할 수 있다는 존재가 사람이라고 했던가. ‘생각’ 과연 무슨 생각을 하고 있다는 건지? 인간처럼 잔인한 존재가 더 있을까? 동물들은 배고픔 외에는 함부로 죽이지 않는다고 하는데, 인간은 배고픔을 위해서, 더 나아가 욕심을 과하게 내어 이렇게 잔인해 질 수 있는지......
현대의 쇠고기는 실용주의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살아있는 표본이나 마찬가지다. 그 동 물의 영혼은 탄생 직후부터 무자비하게 억압되거나 말살당한다. 소는 뿔을 제거당하고 거세되고 호르몬과 항생제가 투약되고 살충제가 뿌려지고 시멘트판에 올려진다. 또한 적절한 몸무게가 될 때까지 곡물, 톱밥 ,찌꺼기, 오물을 먹으며, 트럭을 타고 자동화 된 도축장으로 운송되며 그 곳에서 도살된다. 그리고는 각 부분으로 해체되어 원래의 피조물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인간에게 유용한 생산물과 부산물로 합쳐지고, 형태를 이루고, 새롭게 개조된다.
이런 형태로 탄생된 대표적인 것이 우리 아이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햄버거일테지.
주부인 나로서는 이 부분에서 ‘음식혁명’의 필요성을 얘기하고 싶다.
햄버거, 피자, 탄산음료를 즐겨 먹는 아이들에게 감자, 고구마 쪄주기, 김치전 부쳐주기 등 간식거리를 바꾸어줘야 할 의무감을 갖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귀찮다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인스턴트 식품으로 젖어들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인스턴트 식품을 전혀 먹지 못하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책을 통하여 알게 된 사실들을 아이들에게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 준다면 절제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부모님이 없어도 스스로 판단해서 행동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동물이 죽고나면 근육 조직속의 글리코겐은 방부제와 젖산을 생산한다. 도살 직전에 놀 라거나 육체적으로 학대당하면 저장된 글리코겐을 다 써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분하거나 놀란 동물은 피를 충분히 흘리지 않기 때문에 죽은 고기는 핑크색이나 불같이 빨간색을 띠게 된다. 그다지 구미를 당기지 않는 고기처럼 보이는 것이다.’ 고기를 연하게 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화학적 방법이 사용되며 주위 온도를 조절하는 숙성방법이나 기계적 자극도 사용된다.
수요가 있으니 공급이 있겠지? 그 수요자로서 한 사람의 몫을 차지했었다. 아무런 문제의식을 갖지 않고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고 먹는데 뭐가 문제겠는가? 라는 생각으로 육류를 섭취했던 시간들이 솔직히 무섭기까지 하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소와 인간이 함께 잘 살아가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동물들이 자신들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이제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소를 자식처럼 생각해 왔다. 일을 해 주고 자식공부 시키기 위해서 목돈을 마련해 주던 소. 그런 소였기에 소를 귀하게 여겼다.
이렇듯 감정이 개입된 소와의 관계였다면 지금처럼 경제적인 이유로 잔인하게 소를 사육하고 도살하는 그런 과정들이 줄어들었으리라. 더불어 육류를 줄여나가는 방안과 짐승의 피를 부르는 장식품 사용을 자제하는 방안이어야 한다.
악어백, 여유목도리, 가죽지갑 등은 여성들의 장식품으로 많은 여성들이 선호하는 기호품들이다. 메이커로 치장하는 사람들을 부러워했었고 나 역시도 그런 부류 속에 들어가고자 애를 썼었다. 여기에는 수많은 동물들의 피가 스며들어 있음을 인지하면서 이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여성이 되고 싶다. 없어서 못 하는게 아니라, 이런 이유로 안 하는 것뿐이라고.
‘나의 행복이 타인(사람이든, 짐승이든)의 불행을 밟고 올라 선 것이라면 나는 결코 그 행복을 사양할 것이라고’ 늘 생각해 왔었는데...... 좋아한다는 이유로, 기운이 생긴다는 이유로 육류를 즐겨 먹었는데 포만감 뒤에 동물의 고통이 고스란히 젖어 있었다니.
인류와 소의 아주 오래된 관계부터 시작하는 책은 덤덤하게 그래서 조금은 지루하게 소와 인간의 놀라운 관계에 대해 얘기한다.
전 세계 토지의 24%를 차지하고 기아에 시달리는 수억 명의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양의 곡식을 단숨에 먹어치우면서 날로 그 세력을 늘려가는 소 목축업. 현대로 올수록 쇠고기는 단순히 고기 덩어리가 아니다. 그것은 이념, 정치 경제가 복잡하게 얽힌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신에게 경배 드리는 제물로서 때로는 숭배 받는 신으로써 인간과 더불어 역사를 살아왔던 소들은 인간들이 자연을 경배가 아닌 정복의 대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단순히 맛있는 먹거리로 전락하고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부터는 부의 축적과 과시로 그리고 지배계급이 비지배계급을 착취하는 수단으로 변했다. 이제는 거기에 토지를 황폐하게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환경오염의 주요인이 되어 버렸다.
예쁘게 포장되어 우리에게 주어지는 햄버거에서, 부위별로 해체되어 조리목적에 맞게 썰어져 깔끔하게 포장되어 진열대위에 가지런히 놓여진 고기상품을 보면서 그 뒤에 숨겨진 음모를 깨닫기는 사실 어렵다. 그러나 육식에 숨어있는 많은 사연들을 우리는 이제 알아야 한다 거기에는 서부시대 행해진 버펄로와 인디언 말살정책이 들어있으며, 땅을 빼앗긴 채 가난하게 살아온 사람들의 분노와 이민자들에게 행해진 착취와 고통이 있으며 영문도 모른 채 사육장에서 소들이 겪었던 고통과 괴로움이 있으며 지구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이 들어있다. 한 쪽에서는 곡식이 모자라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하고 한 쪽에선 곡식으로 살찌운 육식을 과식해서 병들어 가는 이 아이러니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책은 우리에게 육식의 종말을 얘기 한다 그것은 단순히 육식을 하지 않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사고방식, 가치관의 변화를 말한다. 오랫동안 우리를 지배했던 기계적인 세계관이 아닌 생태적세계관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차가운 악’에 대한 각성과 대처를 의미 한다
우리는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잘 살아가기 위한 우리의 자세도 여기서 찾으면 될 것 같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자세를 낮추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것, 욕심 부리지 않고 세상과 소통하며 사는 것이 잘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나 하나 꽃 피어 / 조동하
나 하나 꽃 피어 풀밭이 달라지겠느냐고 말하지 말아라.
네가 꽃 피고 나도 꽃 피면
결국 풀밭이 온통 꽃밭이 되는 것 아니겠느냐
나 하나 물들어 산이 달라지겠느냐고도 말하지 말아라
내가 물들고 너도 물들면
결국 온 산이 활활 타오르는 것 아니겠느냐
**********************************************************************************
육식의 종말
해오름 논술교사 아카데미 25기 조경숙
육식의 종말을 읽게 된 이유는 평상시에 육식을 즐겨하는 식성 때문이다. 그 어떤 책에 비해서 알고자 하는 마음이 강하여 읽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책을 덮고 있는 이 순간 아니, 읽는 동안에 그 좋아하던 고기반찬을 집어 먹기가 힘들 만큼 충격이 컸다. 앞으로 우리가 잘 살아가기 위한 방법은 ‘육류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육식의 종말>의 저자인 제레미 리프킨은 말한다.
검사관들은 심한 열병을 앓는 소들이 도축장으로 들어오면 도살하지 않고, 체온이 정상 으로 내려갈 때까지 소에게 물을 뿌린 후에 도살한다.
소의 울부짖음이 들려오는 듯하다. ‘생각’을 할 수 있다는 존재가 사람이라고 했던가. ‘생각’ 과연 무슨 생각을 하고 있다는 건지? 인간처럼 잔인한 존재가 더 있을까? 동물들은 배고픔 외에는 함부로 죽이지 않는다고 하는데, 인간은 배고픔을 위해서, 더 나아가 욕심을 과하게 내어 이렇게 잔인해 질 수 있는지......
현대의 쇠고기는 실용주의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살아있는 표본이나 마찬가지다. 그 동 물의 영혼은 탄생 직후부터 무자비하게 억압되거나 말살당한다. 소는 뿔을 제거당하고 거세되고 호르몬과 항생제가 투약되고 살충제가 뿌려지고 시멘트판에 올려진다. 또한 적절한 몸무게가 될 때까지 곡물, 톱밥 ,찌꺼기, 오물을 먹으며, 트럭을 타고 자동화 된 도축장으로 운송되며 그 곳에서 도살된다. 그리고는 각 부분으로 해체되어 원래의 피조물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인간에게 유용한 생산물과 부산물로 합쳐지고, 형태를 이루고, 새롭게 개조된다.
이런 형태로 탄생된 대표적인 것이 우리 아이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햄버거일테지.
주부인 나로서는 이 부분에서 ‘음식혁명’의 필요성을 얘기하고 싶다.
햄버거, 피자, 탄산음료를 즐겨 먹는 아이들에게 감자, 고구마 쪄주기, 김치전 부쳐주기 등 간식거리를 바꾸어줘야 할 의무감을 갖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귀찮다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인스턴트 식품으로 젖어들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인스턴트 식품을 전혀 먹지 못하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책을 통하여 알게 된 사실들을 아이들에게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 준다면 절제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부모님이 없어도 스스로 판단해서 행동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동물이 죽고나면 근육 조직속의 글리코겐은 방부제와 젖산을 생산한다. 도살 직전에 놀 라거나 육체적으로 학대당하면 저장된 글리코겐을 다 써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분하거나 놀란 동물은 피를 충분히 흘리지 않기 때문에 죽은 고기는 핑크색이나 불같이 빨간색을 띠게 된다. 그다지 구미를 당기지 않는 고기처럼 보이는 것이다.’ 고기를 연하게 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화학적 방법이 사용되며 주위 온도를 조절하는 숙성방법이나 기계적 자극도 사용된다.
수요가 있으니 공급이 있겠지? 그 수요자로서 한 사람의 몫을 차지했었다. 아무런 문제의식을 갖지 않고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고 먹는데 뭐가 문제겠는가? 라는 생각으로 육류를 섭취했던 시간들이 솔직히 무섭기까지 하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소와 인간이 함께 잘 살아가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동물들이 자신들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이제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소를 자식처럼 생각해 왔다. 일을 해 주고 자식공부 시키기 위해서 목돈을 마련해 주던 소. 그런 소였기에 소를 귀하게 여겼다.
이렇듯 감정이 개입된 소와의 관계였다면 지금처럼 경제적인 이유로 잔인하게 소를 사육하고 도살하는 그런 과정들이 줄어들었으리라. 더불어 육류를 줄여나가는 방안과 짐승의 피를 부르는 장식품 사용을 자제하는 방안이어야 한다.
악어백, 여유목도리, 가죽지갑 등은 여성들의 장식품으로 많은 여성들이 선호하는 기호품들이다. 메이커로 치장하는 사람들을 부러워했었고 나 역시도 그런 부류 속에 들어가고자 애를 썼었다. 여기에는 수많은 동물들의 피가 스며들어 있음을 인지하면서 이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여성이 되고 싶다. 없어서 못 하는게 아니라, 이런 이유로 안 하는 것뿐이라고.
‘나의 행복이 타인(사람이든, 짐승이든)의 불행을 밟고 올라 선 것이라면 나는 결코 그 행복을 사양할 것이라고’ 늘 생각해 왔었는데...... 좋아한다는 이유로, 기운이 생긴다는 이유로 육류를 즐겨 먹었는데 포만감 뒤에 동물의 고통이 고스란히 젖어 있었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