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 2006학년도 수시 1학기 면접고사 (학교장 추천 특별전형)
  
● 전공구술 - 문학부 · 사회과학부

[문제1] 아래의 글을 읽고 2문제 모두에 대해 답하시오.

세계화와 지역주의의 흐름 속에서 ‘동북아 중심국가’, ‘동북아 경제중심’, ‘동북아 시대’, ‘동아시아 통화기금’, ‘동아시아 공동체’ 등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동북아의 협력을 모색하는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역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풍성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국가들이 협력을 위한 구체적 합의에 도달하리라는 낙관적 전망을 내릴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혹자는 그 주된 이유를 동북아가 그동안 정치 · 군사 · 경제적인 갈등과 대립의 역사를 반복하면서 협력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했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동북아 국가들 간의 갈등과 대립과 관련하여 최근 관심사로 떠오른 것이 ‘역사충돌’ 또는 ‘역사전쟁’으로 불려지고 있는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논쟁’ 그리고 ‘일본 역사 교과서의 역사왜곡 문제’이다. 전자는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후자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학술적 논쟁을 넘어 외교적 문제로까지 비화하여 이 지역에서 미묘한 긴장과 대립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1. ‘공유하는 역사와 역사인식’이 동북아 협력의 토대가 된다고 볼 때, 동북 아 국가들이 ‘공유할 수 있는 역사’를 가지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2. 한국과 중국 간에 전개되고 있는 ‘고구려사 논쟁’이 양국간의 긴밀한 정치?경제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하는가?

[문제2] 아래의 글을 읽고 두 문제 모두에 대해 답하시오.

최근 우리 사회의 문화 현상 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신화’에 대한 관심의 증가이다. 이윤기의「그리스·로마 신화」시리즈를 비롯하여, 중국, 북유럽, 근동, 인도 등 여러 문화권의 다양한 신화들이 활발히 번역 소개되고 있다. 신화는 또한 전문 학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일찍부터 신화에 많은 관심을 보여 왔던 문학이나 예술 분야는 물론, ‘신화와 정치’, ‘신화와 역사’, ‘신화와 과학’ 등의 문제 제기가 보여주듯이, 제반 학문 분야에서 신화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신화가 일상적 차원에서도 영향을 미쳐서 신화적 소재가 컴퓨터 게임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1. 현대 사회에서 왜 ‘신화’가 다시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가?

2. ‘신화적 형상’들은 그 전형적인 특징들로 인하여 오늘날의 사회의 많은 현상들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래에 제시한 각각의 신화적 형상들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는 우리 사회 현상의 예들을 가능한대로 들어보시오.

- 디오니소스 : 술과 연극과 多産의 神 ; ‘융합(녹아들어 하나가 됨)’을 나타냄.
- 헤르메스 : 여행과 상업의 신, 신과 인간 사이의 매개자 ; (서로 이질적인 것 사이의) 연결, 이행, 변화를 나타냄.
- 프로메테우스 : 불의 신 ; 하늘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준 대가로 제우스로부터 벌을 받음. 인간들이 기술 문명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함.

  
● 전공구술 - 경제학부 · 경영학부

  
[문제1] 확률과 기대가치

기대가치란 미래에 일어날 낙관적 상황과 비관적인 상황을 모두 고려하여 예측된 미래의 가치를 말한다. 한 예로 올 가을 벼 수확량을 예측할 때 올 가을 날씨가 좋을 때와 좋지 않을 때의 벼 수확량과, 또한 올 가을 날씨가 좋을 확률과 좋지 않을 확률을 이용 하는 것이다.
● 올해 벼 수확량 예측량(기대가치) = (날씨가 좋을 확률) (날씨가 좋을 때 벼 수확량)
● 올해 벼 수확량 예측량(기대가치) + (날씨가 좋지 않을 확률) (날씨가 좋지 않을 때 벼 수확량)

A씨는 B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는 주주이다. 주식회사인 B기업은 일정 기간마다 주주들에게 기업의 성과에 따라 발생한 수익을 주식 배당금 형태로 나누어준다. A씨가 B기업으로부터 받을 다음 배당금의 액수는 다음 달 초에 발표될 이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신제품 개발의 성공 여부에 달려있다. 다음 달에 발표될 신제품 개발 결과가 성공으로 발표되면 B기업의 A씨에 대한 배당금은 ₩200,000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만약 이 신제품 개발 결과가 실패로 발표되면 B기업의 A씨에 대한 배당금은 ₩50,000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전문 주식 투자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B기업의 신제품 개발의 성공/실패 확률은 50% 대 50%라고 한다.


1. ‘투자에는 보통 위험이 따른다. 100% 안전한 주식 투자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투자가들은 이런 존재하는 위험 하에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위의 본 문제 설명에 있는 논리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2. 전문 주식 투자가들이 예측한 B기업의 신제품 개발의 성공/실패 확률과 예측되는 배당금을 이용해 A씨가 B기업으로부터 받을 다음 배당금의 예측액수(기대가치)를 계산하시오.

3. A씨가 받을 배당금 예측액수(기대가치)가 최소한 ₩100,000이 되려면 신제품 개발의 성공 확률은 최소한 몇 %가 되어야 하는가?

[문제2] 두 나라간의 적정 환율과 실제 환율

하나의 동일한 보편적 물품 또는 상품이 서로 다른 두 나라에서 각각 그 나라의 화폐로 얼마에 가격이 책정되어 있는가를 이용하면 두 나라 화폐의 교환 비율인 적정 수준의 환율을 계산해 낼 수 있다. 한 예로 동종의 IBM computer CD(Compact Diskette) 한 장이 한국에서는 ₩1,200에 팔리고, 같은 동종의 CD가 미국에서는 $1에 팔린다면 두 나라간의 적정한 환율은 ‘$1 = ₩1,200’으로 정해진다. ‘$1 = ₩1,200’의 의미는 미국 화폐 $1은 한국 화폐 ₩1,200과 같은 가치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에 판매되고 있는 동종의 자동차용 휘발유를 예로 들어보자. 이 자동차용 휘발유가 미국과 한국 양국 모두에서 가장 대중화된 보편적 상품이라고 가정하자.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이 자동차용 휘발유의 미국에서의 가격은 $2/리터(1리터당 $2)이고 한국에서의 동일한 휘발유의 가격은 ₩2,200/리터(1리터당 ₩2,200)이라고 한다.


1. 국가간에 환율은 왜 필요한가? 어떤 한 국가의 입장에서 볼 때 환율은 높은 것이 좋은가 낮은 것이 좋은가?

2. 위 문제의 두 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자동차용 휘발유 가격을 이용하여 두 나라간의 적정 환율을 구하시오.

3. 확인 결과 현재 두 나라간 실제 환율은 ‘$1 = ₩1,200’이라고 한다. 이 실제 환율, 즉 ‘$1 = ₩1,200’을 양 국가간 환율로 적용할 경우 미국과 한국 중 어느 나라 자동차용 휘발유 가격이 더 비싸다고 할 수 있는가?

2006학년도 수시 2학기 학교장/가톨릭지도자추천 특별전형

전공 구술 면접 문제

<문학부, 사회과학부, 커뮤니케이션학부 공통>

사자, 나귀, 여우가 한패가 되어 사냥을 나섰습니다. 많은 사냥감을 잡고 나서 사자는 나귀에게 그것을 갈라놓으라고 일렀습니다. 나귀는 사냥감을 똑같이 세 몫으로 나눠놓고 사자보고 하나를 고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화가 난 사자는 나귀에게 덤벼들어 잡아먹고 말았습니다. 그러더니 여우에게 가르라고 일렀습니다. 여우는 사냥감 거의 모두를 한데 모아 쌓아 놓고 변변치 않은 서너 점을 제 몫으로 남긴 채 사자보고 고르라고 일렀습니다. 이렇게 나눠 갖는 법을 누가 가르쳐 주었느냐고 사자가 물었습니다.
  “나귀에게 일어난 일이지요.”
  하고 여우는 대답했습니다.(󰡔이솝우화󰡕 중에서)

  
  1. 나귀와 여우의 행동 방식의 차이를 설명해 보자.


  2. 우리는 이 우화를 바탕으로 인간 세계의 어떤 측면 혹은 문제들을 설명할 수 있을까? 고려할 수 있는 경우들을 5 가지 이상 열거해 보자.


  3. 앞에서(물음 2) 언급한 것들 중에 한 측면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를 펼치면서, 그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자.
<경제학부, 경영학부 공통>

1911년에 국내 군소 수공업자들이 합동으로 주식회사 형태를 갖춘 민족제조 기업을 처음으로 설립한 이후 약 100년간 한국의 기업들은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기업들이 상업자본 중심에서 산업자본 형태로 변환되었고 정부는 대기업 중심으로 국민경제를 고도 성장시켰다.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기업의 경영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1) 주식회사의 주인은 누구인가? 주식회사의 이해 관계자들을 언급하고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관해서도 견해를 밝혀보라.

(2) 최근 정권에서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반복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에서는 분배를 강조한다. 이는 논리적으로 타당한가?

(3)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4) 국내 젊은이들 사이에 반 기업 정서가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어 부자들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가?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면 이러한 정서가 없어지겠는가?

(5) 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의 발전이 기업 고객들의 구매 행위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기업은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