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학년도 고려대 논술고사 문제


<논제> 다음 네 개의 제시문에 공통되는 주제를 말하고 제시문들 사이의 관계를 밝히시오. 그리고 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 (글 길이는 1600자 내외)


(1) 우리가 가진 근본 욕구들 중에는 도덕적 충동에 따라 행동하려는 욕구가 있다. 그러나 큰 조직에서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있는 자유를 불가피하게 억압받고, 조직의 규칙을 준수하도록 강요받는다. 그 규칙은 인간에 의해 고안되었지만 인간 자체는 아니다. 아무리 세심하게 만들어졌어도 거기에는 󰡐사람의 손길(human touch)󰡑과 같은 유연성이 없다. 조직이 크면 클수록 조직의 구성원은 도덕적 존재로서 자유롭게 행동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진다. 그들은 흔히 이렇게 말하게 된다. 󰡒미안합니다. 제가 하는 일이 옳지 않다는 것은 알지만 이건 제가 받은 지시 사항입니다.󰡓 이처럼 큰 조직들은 아주 불량하고 부도덕하게, 또는 아주 어리석고 비인간적으로 움직이기 마련이다. 이는 그 구성원들이 본래 그래서가 아니라 그들이 조직의 크기에서 오는 하중을 받기 때문이다.

   큰 조직 안에 있는 사람들은 바깥에 있는 사람들에게 비판을 받게 되지만 이런 비판은 마치 자동차가 배기가스를 배출한다고 해서 운전자를 나무라는 것과 같다. 천사라도 공기를 더럽히지 않고 차를 운전할 수야 없지 않겠는가? 결국 잘못은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있다기보다는 조직의 크기에 있는 것이다. 개인들로 하여금 도덕적 충동에 따라 행동하지 못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 사회는 부도덕하다. 조직이 지나치게 커지면 그런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 󰡐거대주의에 의한 합리화󰡑에 중독된 현대인들은 너무 커진 규모 속에서 좌절감을 느끼고 무기력해지는 것이다.



(2) 야구공은 큰 공인가 작은 공인가? 야구공은 탁구공에 비해서 크지만 축구공에 비해서는 작다. 강은 개울보다 크지만 바다보다는 작다. 야구공도 크다고 말할 수 있고, 강도 작다고 말할 수 있다. 개울만 보던 사람에게는 강이 커 보이지만, 바닷가에서 살던 사람에게 강은 작아 보일 것이다. 어른이 되어 어린 시절에 살던 동네에 갔을 때, 우리는 모든 것들이 너무 작아 보여 깜짝 놀라기도 한다. 어릴 때는 그렇게 커 보이던 대문이 이제는 작아 보인다. 그런가 하면 어린이들의 그림에서는 종종 사람의 얼굴이 몸보다 크게 그려진다. 아마도 어린이의 심리적 경험 속에서는 얼굴이 그만큼 크고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신라의 고승 의상 대사는 󰡒한 티끌 속에 온 우주가 들었다󰡓고 갈파했고, 영국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도 󰡒한 알의 모래 속에서 세계를 보고, 한 송이 들꽃 속에서 천국을 본다󰡓고 노래했다. 티끌이 곧 우주요 모래가 곧 세상이라면 큰 것과 작은 것의 구분은 무의미해진다. 오늘날 조그만 메모리칩 하나에 거대한 도서관을 담을 수도 있으니 그것이 큰 것인지 작은 것인지 어떻게 말할 수 있겠는가? 치열한 극소화 경쟁을 벌이고 있는 반도체 산업에서 새로 개발된 메모리칩이 더 작아진 것인지 더 커진 것인지 말하기 곤란하다. 외형이 작아져도 용량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조그만 나비의 날갯짓이 바다 건너 거대한 허리케인을 일으킨다는 󰡐나비효과󰡑에 대해서 말한다. 또 원자보다 작은 극소의 세계와 우주와 같은 극대의 세계가 매우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는 견해도 있다. 그렇다면 의상 대사와 블레이크가 노래한 바가 문학적 수사만은 아닐 것이다.




(3) 구체적인 삶의 현장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국가나 민족은 물론 지역과 도시까지도 지나치게 크고 추상적인 조직체로 보인다. 사르트르는 오늘의 사회가 󰡐잡히지 않는 전망󰡑을 이룬다고 설명한 바 있다. 즉 오늘날의 사회에서 어떠한 사람이나 집단도 독자성을 갖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나 다른 집단과의 관계에 의하여 제약을 받게 되어 있지만, 이 관계의 정확한 포착은 우리 손을 벗어나 계속적으로 도망가게 마련이라는 말이다.

   우리의 구체적인 삶을 제한하면서도 우리에게 구체적으로 잡히지 않는 현대사회의 기괴한 조직은 도시에서 잘 나타난다. 문화의 참 생명력이 우리의 구체적인 삶의 향상과 해방과 풍요화에서 온다면, 우리의 문화에 대한 생각도 󰡐잡히지 않는 전망󰡑을 넘어가는 것이라야 한다. 이렇게 생각할 때, 참으로 핵심적인 문화공간은 민족이나 도시보다도 더 작은 집단이어야 할 것처럼 보인다. 즉 우리가 보고 듣고 이야기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가능한 집단, 사회학자들이 󰡐대면집단󰡑이라고 부르는 사회공간이 우리의 문화적 성찰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문화공간은 하나의 확정된 물리적 구획으로보다는 여러 집단의 유기적인 상호관계 속에 구성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것은 대면집단을 중심으로 하여 한편으로는 개인적 자아의 내면공간에 이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 또는 도시로 번져나가고 국가나 민족 그리고 세계의 지평으로 둘러싸인다.

   소집단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구체적 삶의 공간으로서 구체적 인간관계가 성립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지역이나 도시는 이 소집단에 다양성과 객관성을 부여하는 필수적 요인이 된다. 도시든, 지역이든, 국가든, 이러한 것들은 소집단의 구체성의 원리가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성립되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만, 우리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테두리는 󰡐잡히지 않는 전망󰡑 또는 제약으로서만 작용하는 조직이기를 그칠 것이다.

(4) 북녘 바다에 곤(鯤)이란 물고기가 있다. 그 몸집은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크다. 그 물고기가 화(化)해서 새가 되는데, 이름 하여 붕(鵬)이라 한다. 붕의 몸집 또한 몇 천 리나 되는지 헤아릴 수 없이 크다. 그런데 이놈이 한 번 화가 나서 날았다 하면 그 날개는 마치 하늘을 가린 구름처럼 모든 것을 뒤덮는다. 괴이한 이야기만 적어 놓은 『제해(齊諧)』라는 책에서는, 󰡒대붕(大鵬)이 남녘 바다로 날아가려면 물 위를 삼천 리나 달려야 비로소 날아오르게 되고, 그런 뒤 다시 날개로 바람을 치면서 구만 리를 올라가서야 항로를 잡는다. 그러고는 그대로 육 개월을 날아 목적지인 남녘 바다에 도달한다󰡓고 말한다.

   몸집이 크면 그를 받아들일 공간도 커야 하고 정신이 위로 비상하려면 그 경지 또한 높아야 한다. 바람의 공간이 넓지 않으면 큰 새가 날 수 없다. 대붕이 바람을 치며 구만 리 창공을 날아오르는 것도 그래야만 푸른 하늘을 등에 지고 아무런 장애 없이 남녘 바다로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이치를 모르는 매미와 새끼 비둘기가 비웃으며 말하기를, 󰡒나는 뽕나무 그늘에서도 얼마든지 힘껏 날 수 있고 잠깐 사이면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는데, 무엇 때문에 구만 리나 날아올라서 남쪽으로 가는 것일까? 불과 두어 길 되는 공간에서도 뛰놀 수 있고 쑥대밭 사이에서도 자유로이 날 수 있으니, 이 또한 최대의 소요(逍遙)가 아닌가? 어째서 대붕처럼 날아야만 제일이란 말인가?󰡓라고 한다. 작은 지혜(小知)는 큰 지혜(大知)에 미치지 못하고, 짧은 시간(小年)은 긴 시간(大年)에 미치지 못한다. 하루살이가 밤과 새벽을 알 리 없고 여름벌레가 눈과 얼음을 알 리 없는 것이다. 이것이 큼(大)과 작음(小)의 차이이다. 새끼 비둘기가 어찌 대붕의 뜻을 알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