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토론수업 어떻게 할까?

*수업열기

-시 낭독
<그렇게 나를 바라볼 수 있다면>
  왈가왈부한 가운데에도 나를 바라보는 모습이 바람직하다.

칼릴 지브란의 '대지의 신들' 중에서
-세 번째 신이 토론하고 있는 다른 신들에게 하는 말
세 번째 신이 주장하는 바 자신들의 말만 하고 자신들의 세계에 갖혀 있는 동안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을 놓치고 있다. 자기의 주장만 하지 말고 우주의 소리를 들어라.

장자<제물론>
是亦彼也  彼亦是也 (이것은 또한 저것이고 저것 또한 이것이다.)
-자기 입장에서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자기 입장에서 주장하는 것에서 벗어나라.
  자기 자신의 이해관계를 뛰어넘는 의사소통과정

*들어가기

토론 시 진정으로 지향하는 것이 무엇인가?
선생님들의 경험에 비추어 다양한 토론수업의 문제점과 성공/실패 사례를 나눔
- 학습지 형태의 논술교육
- 삶에 보탬이 되는 논술교육 필요
- 비판적 시각 필요
- 충분히 삶을 고민하고 자기 주장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이 중요

왜 토론수업을 해야하나?
- 논리적
    일반적 논술 수업에서 자기생각의 발전을 위해서 토론수업 필요
- 논점이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 특정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의식 이해

아이들에게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 왜? 어떤? 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으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원인과 구체화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논술문의 구성요소
- 원인, 결과
- 사회문제 해결방안
                      --->연계해서 질문

- 원인 해명 ---> 대안제시
- 사회현상 --->의미
- 직렬식 구성 ---> 논리 필연적인 과정을 통해 결론 도출
- 병렬식 구성 ---> 분류방식에 의함 ex) 개인(의식)/사회(제도), 긍정/부정, 단기/장기
글의 종류에 따라 역으로 추적해 들어가는 것이 가능

나쁜 토론주제란?
- 아주 포괄적인 토론주제
- 나열적인 토론주제
- 아이들 수준에서 생각하지 않은 주제
- 문제의식을 발전시키지 못하는 주제
- 단답형으로 이야기하게 하는 주제

*시청각자료

에니메이션-<최우선권>
파키스탄-인도사이의 지역분쟁 배경
-개인에게 있어서 국가는 무엇인가?
-일상적인 삶과 국가정치가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가?
   ex) 대추리 사건
-최우선적인 것이 무엇인가?
  국방 / 사람들의 삶

<마우스콘신>
계급적 대립상황 강조
쥐/고양이 ---> 우리나라 정치
-어떻게 대비를 하느냐가 중요

1. 토론수업 준비 - text 위주
                         - 주제 위주 --->연관성
2. 토론수업 펼치기 - 주제발문-부분적인 발문, 본질적인 발문
                            - 주체-교사, 학생(바람직)
                            - 토론주제의 수위(수준 파악)
                            - 토론 방식-아이들 결정 바람직
3. 마무리 - 결론(도덕적 결론 X) 매우 단순한 결론은 그 전의 모든 논의들이 사장됨.
     평가 - 토론의 방식
            - 토론의 내용
            - 참여도, 완성도
4. 과제- 에세이, 논술문

<나머지 설명이 안 된 부분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