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슬로건.JPG


[01] 여럿이 하는 즐거움

01. Text 흐름
 (1) 與民樂章은 맹자의 민본사상 
 (2) 임금은 백성의 평안을 위해 존재함 
 (3) (2)이 지켜지지 않으면 숙청가능하다 
 (4) 이것이 바로 정의 구현에 해당
 (5) 현자는 동락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양혜왕과의 문답 + 문왕과 걸왕의 대조적 사례)
 (6) 하지만, 현대인들은 독락(전, 혼술 + 혼노래 + 혼춤)을 추구한다 (차별성에 기반한 감각적 쾌감 -> 걸왕의 사례 <- 성공과시)
 (7) 부국강병(경제활성화)만으로 백성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 (五十步笑百步)
 (8) 따라서, 왕도정치는 민본정치이며, 여민락을 통치 이념으로 삼아야 한다. (함께 술 먹으면 좋네요 ㅋㅋ)

 (9) 이명박근혜 때의 모습 : 풍년이 들어 곡식이 흔한 해에는 개와 돼지가 사람들의 양식을 먹고 있는데도 나라에서는 이를 거두어 저장할 줄 모르고, 흉년에 굶어 죽은 시체가 길거리에 뒹굴고 있어도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들을 구휼할 줄 모릅니다. 사람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고서도 ‘이것은 내 탓이 아니라 흉년 탓이다’라고 합니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사람을 칼로 찔러 죽이고 ‘이는 내가 죽인 것이 아니라 이 칼이 죽인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10) 문재인 정권에 대한 희망사항 : (전쟁으로 인하여) 농사철을 놓치지 않으면 곡식은 먹고도 남음이 있으며, 촘촘한 그물로 치어稚魚까지 잡아버리지 않는다면 물고기는 먹고도 남을 만큼 많아질 것입니다. (봄여름같이) 초목이 자라는 시기에 벌목을 삼가면 목재는 쓰고도 남음이 있을 것입니다. 곡식과 물고기와 목재가 여유 있으면 백성들은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내기에 아무런 유감이 없을 것입니다.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내는 데 유감이 없게 하는 것 이것이 곧 왕도 정치王道政治의 시작입니다. 다섯 묘畝 넓이의 집 안에 뽕나무를 심어 누에를 친다면 쉰 살이 넘은 노인들이 따뜻한 비단옷을 입을 수 있습니다. 닭, 돼지, 개 등의 가축을 기르게 하여 (새끼나 새끼 밴 어미를 잡아먹지 못하게 하여) 그 때를 잃지 않게 한다면 일흔이 넘은 노인들이 고기를 먹을 수 있습니다. 한 집마다 논밭 백 묘씩 나누어주고 (전쟁 등으로) 농사철을 빼앗지 않는다면 한 가족 몇 식구가 굶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 후에 마을마다 학교를 세워 교육을 엄격히 하고 효도와 공경의 도리로써 백성을 가르치고 이끌어준다면 (젊은 사람들이 물건을 대신 들어주기 때문에) 반백이 된 노인들이 물건을 등에 지거나 머리에 이고 다니는 일은 없게 될 것입니다. 노인들이 따뜻한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일반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고 추위에 떨지 않게 하고서도 천하의 왕이 될 수 없었던 자는 지금까지 없었습니다. 

02. 선별복지와 보편복지 

"차별받고 자라면 차별을 더하는 사람이 되고, 
구타 당하고 자라면 구타를 더 하는 사람이 된다.
하지만, 정의롭게 대접받고 자라면 칸트보다 위대해 질 것이며,
칭찬 받고 자라면, 상대방을 더 배려하는 사람이 된다."

- 복지는 정치 및 통치의 수단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여민락의 관점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복지 혜택을 받는 특혜의 입장이 되면, 혜택을 받는 수혜자들은 굴종적 태로도 바뀌게 되기 때문이다. 사실, 선별적 복지라는 관점은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는 낙인 찍기 관점이며, 이 한국사회에서의 낙인 찍기는 아래의 서술에서 잘 느껴진다. 

 고아들에게 키스하는 연예인, 장애인을 목욕시키는 정치인 등등은 낙인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 통합의 의례를 잘 보여준다. ‘사회’를 대표하여 ‘소외된 이들’을 찾아가는 이 정상인들은 자기 앞에 있는 낙인자들을 아무나 덥석 껴안음으로써 자기가 그들에 대해 아무런 편견도 가지고 있지 않음을 과시하려 한다. 하지만 정상인들이 이렇게 낙인자들의 몸을 함부로 만질 수 있는 대상으로 취급한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관계의 불평등성을 드러내는 것이다.....낙인을 지닌 개인은 명랑하게 그리고 자의식 없이, 스스로를 정상인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존재로 받아들이도록 요구된다. 그러면서도 그는 정상인들이 그에게 당신은 우리와 동등한 존재라고 입에 발린 말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알아서 피해야 한다."
<사람 장소 환대> by 김현경

- 보편적 복지 [Universal Welfare] :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복지급여를 제공하는 것
(1) 보편적 복지는 형평성과 사회적 평등수준을 높인다. 우리 사회는 그동안 성장이 최우선인신자유주의 경제체제와 최소 복지의 잔여주의 선별적 복지체제를 고집해왔다. 하지만 노동 시장의 양극화와 그로 인한 고용불안정, 보육/주거/노후/의료 등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을 보았을 때 우리 사회의 복지 방향은 잘못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보편적 복지는 사회적 재생산의 수단이다. 사회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복지를 실현해 사회 계층간 갈등과 극간을 줄이고 이를 통해 사회적 재생산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3) 보편적 복지는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이 된다. 상대적 박탈감과 상대적 빈곤율이 높은 대한민국 사회에서 보편적 복지를 통해 국민들에게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별적 복지를 통해 빈곤층에게만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 사회 전반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 전체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4) 보편적 복지를 기반으로 기존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국가가 국민에게 일정 수준의 안전망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재생산이 가능하고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5) 재원확보를 위한 ‘사회적 논의와 타협’이 선행되어야 한다. 감세철회가 해답은 아니다. 보편적 증세의 필요성 역시 인식해 사회적인 논의가 선행되어야 보편적 복지를 실현할 수 있다.

- 선별적 복지 [Selective Welfare] : 저소득층 등 복지급여를 꼭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만 혜택을 주는 것
(1) 재정적 상황을 고려한 효율적인 복지가 필요하다. 소득이 높은 가정의 자녀에게까지 무상복지를 하는 것은 경제성장률이 둔화된 현 우리 사회 상황을 고려했을 때 재정적으로 효율적인 복지정책이 아니다. 선별적 복지를 통해 사회 복지의 전반적 효율을 향상시켜 복지의 사각지대를 감소시켜나가며, 이를 통해 가장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층 계층을 줄여나갈 수 있다.
(2) 선별적 복지가 소득재분배에 더 효과적이다. 각 연구원의 결과에 따르면 소득하위 70%까지 혜택을 제공하는 선별적 복지에서 지니계수가 가장 낮음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시행하는 분야에 있어서도 올바른 선별이 필요하다. 고용과 성장의 측면을 고려하여 정책시행의 규모와 속도조절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3) 보편적 복지는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한다. 국민 대다수가 원하는 고소득 계층의 조세 부담을 통한 국가 재정 확대는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 낼 수 없으며, 이는 복지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사회적 연대의식을 저해하는 일에 불과하다. 또한 무리한 복지 예산추징 인한 사회 서비스의 질 저하를 야기하며, 사회구성원들을 점점 복지병에 국가의존형으로 만든다.
(4) 선별적 복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한국형 복지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입시 과열문제, 대기업 사회 대부분 분야 독점 문제와 불안한 노동시장과 같은 우리나라의 특수상황을 고려한 정책을 수립해야 함을 나타낸다. 과도한 지방채발행과 정쟁대립에서 벗어나서 정교하고 발전적인 선별적 복지를 시행하여 증세에 대한 부담감은 덜어내고 사회적 신뢰도는 회복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03. 관련 내용 기출 현황
- 2014 경희대 모의 : 공공복지 
- 2013 성균관대 수시 : 경제 성장과 사회 이동 및 복지 시스템 분석 
- 2010 숭실대 수시 : 사회 병리현상 
- 2010 연세대 수시 : 공공성과 분배
- 2009 서강대 수시2-1(경제 경영) : 인센티브에 의한 인간 행위, 약자보호정책에 대한 태도
- 2009 연세대 정시 : 자본주의의 발전과 창조를 위한 파괴 
- 2009 숙명여대 수시 : 세계화 찬반론 

04. 보충학습 - 정의의 관점

서양 사상 도식도.JPG

(1) 공리주의 by 벤담과 밀

- [양적 공리주의 by 벤담] 자연은 인류를 두 군주의 지배 아래 두었다. 하나는 쾌락이며 다른 하나는 고통이다. 행복이란 다름 아닌 쾌락이고, 고통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윤리적인 행위란 쾌락과 행복을 가져오는 행위이다. 쾌락과 행복이 크면 클수록 그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더욱 크며, 삶들이 더 많은 쾌락과 행복을 얻으면 얻을수록 그 행위는 더욱 가치있다.    
- [질적 공리주의 by 밀] 어느 누구도 동물적 쾌락을 완전하게 만끽하기 위해서 자기를 하찮은 동물로 전락시키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최대 행복의 원리에 의하면 행위의 궁극 목적은 양과 질이라는 두 측면 모두에서 가능한 한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충분하게 향유하는 것이다.         
- 밀은 쾌락은 선이고 고통은 악이며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도덕과 입법의 기본원리라는 벤담의 기본 입장을 충실히 계승하였다. 그러나 밀은 몇 가지 점에서 벤담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벤담이 모든 쾌락을 동질적인 것으로 본 데 비해, 밀은 쾌락에 질적인 차이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둘째, 벤담이 인간의 주된 특성을 이기심으로 본 데 비해, 밀은 인간에게 동정과 인애에의 충동(자비심)도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그래서 그는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내적 제재를 강조하였다. 내적 제재란 양심의 가책을 의미하며, 이런 양심의 기초는 동료들과 일체가 되려고 하는 사회적 감정에 있다.

(2) 도덕적 의무주의 by 칸트 

- 나는 나의 준칙이 동시에 보편 법칙이 되기를 바랄 수 있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결코 행위 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 볼 수 있다. 곤경에 처할 경우에 앞으로 지킬 의사도 없으면서 거짓 약속을 해도 좋은가? 이런 질문이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면, 하나는 거짓 약속을 하는 것이 타산에 맞는가라는 물음이고, 다른 하나는 거짓 약속을 하는 것이 옳은가라는 물음이다. 거짓 약속이 의무에 부합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질문해 보는 것이다. 나는 나의 준칙이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나 자신에게 보편법칙으로 적용되어도 좋다고 생각하는가? 이럴 경우나 자신은 거짓말을 하고 싶을지 모르나 거짓말 하는 것이 보편법칙이 되는 것은 결코 원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 칸트는 인간이 고유한 도덕법칙을 가지고 있는 존엄한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가 말하는 도덕 법칙이란 그 자체로서 유일하게 선한 선의지가 따르는 법칙이며, 실천 이성이 우리 자신에게 부과한 자율적 명령이다. 이러한 도덕법칙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어떤 상황에서도 예외 없이 따라야 하는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정언명령이다. 그리고 인격을 갖춘 모든 이성적 존재자의 행위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법칙이다.

(3) 정의론 by 롤스

- 칸트 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 보편주의, 인간 존엄성 정신
- 특징 : 자유ㆍ평등ㆍ합리적 개인이 공정한 계약 상황에서 사회 정의의 원칙을 자율적으로 선택
- 절차적 정의 : 자유, 명예, 부와 같이 누구에게나 중요한 기본적 가치를 모두에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는 절차를 중시함
- 조건부적 의무 : [01] 칸트 사상의 한계인 도덕적 의무 간의 상충 문제 해결 [02]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의무(도덕적 의무가 상충할 경우 더 약한 의무는 사라지고 더 강한 의무가 우리의 실제적 의무로 드러나게 되기 때문에 더 직관적인 의무가 우선함) [03] 칸트의 정언명령과 달리 절대적이지 않음(절대적으로 보이는 도덕 원칙도 상식과 직관에 따라 유보될 수 있음) [04] 단일한 기준이 적용되지도 않음 [05] 약속 지키기, 성실, 호의에 대한 감사, 선행, 정의 자기 계발, 해악 금지. 이 일곱 가지 의무들은 서로 충돌하기 전까지는 우리에게 조건부로 의무가 된다. 그러나 의무끼리 충돌하게 되면 그 상황에서 직관적으로 더 중요한 의무를 따라야 한다. 로스는 언제 어디서나 지켜야 하는 절대적 의무는 없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조건부적 의무는 오늘날 생명 의료 윤리 등 인간의 생명과 죽음을 다루는 분야와 같이 의무 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4) 복습문제 (윤리와 사상 - 고3 평가원 기출 선지 정오판별 Quiz)

[2017/9평/10번/기출]
① [T/F] 1등급 : 밀은 타인을 배제한 개인적 행복을 도덕원리로 삼을 수 없다고 본다.
[2017/9평/10번/기출]
② [T/F] 1등급 : 밀은 보편적 도덕 원리를 통해 행위의 도덕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본다. 
[2015/9평/7번/기출]
③ [T/F] 1등급 : 밀은 쾌락의 질적 차이에 근거하여 공리의 원리를 부정한다. 
[2015/수능/9번/기출]
④ [T/F] 1등급 : 벤담은 개인들의 이익의 총합을 넘어서는 공익이 있다고 본다.  
[2016/수능/9번/기출]
⑤ [T/F] 1등급 : 벤담은 개인이 갖는 쾌락과 사회 전체의 선은 양립 불가능하다고 본다.  
[2017/6평/7번/기출]
⑥  [T/F] 2등급 : 벤담은 인간은 본성적으로 자신의 행복을 증진하려고 한다고 본다.  
[2016/9평/12번/기출]
⑦ [T/F] 2등급 : 칸트는 그 자체로 선한 것은 선의지 밖에 없다고 본다.
[2015/9평/15번/기출]
⑧ [T/F] 3등급 : 칸트는 의무이기 때문에 하는 행위는 도덕적 가치가 없다고 본다.                               
[2015/6평/10번/기출]
⑨ [T/F] 3등급 : 칸트에게 있어 도덕적 행위는 도덕 법칙에 대한 존경심에서 행동한 경우 이다.               
[2017/9평/10번/기출]
⑩  [T/F] 2등급 : 칸트는 도덕 원리가 개인의 행복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2017/6평/3번/기출]
⑪  [T/F] 1등급 : 칸트는 모든 준칙은 보편성을 가지며 도덕 법칙의 예외는 없다고 본다.                          
[2016/수능/9번/기출]
⑫  [T/F] 2등급 : 칸트는 선의지는 인간의 일반적인 자연적 경향성에 근거해야 한다고 본다.                     

(5) 마이클 샌델 - 벤담의 공리주의 강의  (한국의 윤리 사상 과목 수준과 하버드를 비교해보세요)
- 해오름 정리판 : 정의란 무엇인가? http://heorum.com/zbxe/grownup_HighEssay_board/65043

[02] 사피엔스 발표 정리

(08) 역사에 정의는 없다 : 인간은 상상의 질서를 창조하고 문자체계를 고안해내어 대규모 협력망을 구축하였지만 그 협력망들의 출현은 많은 사람들에게 의심스럽고 불안한 축복이었다. 그 그물을 지탱하는 상상의 질서는 상류층과 하류층, 인종차별, 남녀 사이의 위계질서, 가부장제 등으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사회정치적 차별에는 논리적, 생물학적 근거가 없으며 우연한 사건이 신화의 뒷받침을 받아 영속화한 것에 불과하다.

(09) 역사의 화살 : - 역사의 화살은 한 방향으로 통일을 향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역사의 방향을 정찰위성의 시점, 즉 천 년이라는 단위로 스캔하는 시점을 취하면 역사가 통일을 향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이 명확하다. 전 지구 문화가 균일하지 않지만 이들은 모두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에게 무수히 많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보편적 질서는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인데, 세 가지 보편적 질서-화폐 질서(경제), 제국의 질서(정치), 종교의 질서-는 인류의 잠재적 통일을 내다볼 수 있게 했다.

(10) 돈의 향기 : 대부분의 사회는 많은 수의 전문가를 연결시키는 좀 더 쉬운 방법인 ‘돈’을 개발했다. 돈은 물질적인 실체가 아니라 심리적인 구조물이다. 그것은 물질을 마음으로 전환함으로써 작동한다. 돈이 서로 모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편적인 신뢰를 쌓게 해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신뢰는 인간이나 공동체, 혹은 신성한 가치가 아니라 돈 그 자체 그리고 돈을 뒷받침하는 비인간적 시스템에 투자된다.

(11) 제국의 비전 : 기원전 200년경 이래로 인간은 대부분 제국에 속해 살았다. 미래에도 대부분 하나의 제국 안에서 살게 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번 제국은 진정으로 세계적일 것이다. 전 세계를 지배하는 제국이라는 환상이 실현될지 모른다. 이러한 주장은 현재 인류가 보편적 가치의 실천, 범지구적인 문제에 봉착 그리고 경제적 통합이라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식이 우리가 그동안 길들여진 제국이기 때문이다. 우리 눈앞에서 형성되고 있는 지구제국은 특정 국가나 인종 집단이 지배하는 것이 아니다. 옛 로마 제국과 비슷하게 이 제국은 다인종 엘리트가 통치하며, 공통의 문화와 이익에 의해 지탱된다.

- 발표 순서

12. 종교의 법칙 (전)
13. 성공의 비결 (조)
14. 무지의 발견 (신)
15. 과학과 제국의 결혼 (김)
16. 자본주의 교리 (황)
17. 산업의 바퀴 (송)
18. 끝없는 혁명 (전)
19. 그리고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다 (조)
20. 호모사피엔스의 종말 + 21. 신이 된 동물 (조)

[03] 오늘 얻은 인식의 지평확대 개념들 


6월 민주항쟁.JPG


 1987년 6월 민주항쟁은 권위주의체제로부터 민주주의체제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통상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일대 전환으로 평가된다. 물론 6월항쟁에도 불구하고 민주화세력 주도의 정부 수립에는 실패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결과 권위주의세력의 영향력은 여전히 온존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러한 평가는 상당 정도 절하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월항쟁은 새 정부의 등장이 실질적으로 아래로부터의 국민 의사에 따라 결정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민주화 이행을 가능하게 했음은 엄연한 사실이다.

 우리는 6월 민주항쟁의 의미에 대해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나는 그 의미가 해방 이후 한국사회의 근대화 또는 근대적 발전이라는 견지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여기에서 근대화란 단순히 산업화만을 의미하는 협의의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해방 직후의 국가형성,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 등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라 할 수 있는데, 6월항쟁의 의미는 바로 이러한 광의의 의미의 근대화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사회의 근대적 발전 속에서 6월항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하는 것이다.

 익히 아는 바와 같이, 해방 직후 남한 국가의 형성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 냉전 심화의 상황 속에서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위로부터 반공체제가 강제적으로 부과되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국가형성의 이 같은 성격으로 인해 한국 민주주의 발전은 처음부터 구조적으로 제약되지 않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이승만의 반공독재와 이에 뒤이은 박정희 개발독재는 반공과 경제발전의 기치 하에 한국 민주주의의 진전을 지체시켰다.

 즉 해방 이후 반공국가의 형성과 이에 바탕을 둔 반공독재 및 개발독재의 전개는 한국사회의 근대화를 ‘민주주의가 결핍된 근대화’로 만들었던 것이다. 물론 미군정에 의해 자유민주주의의 제도가 주어진 바 있었고, 4․19혁명이 한국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최초의 아래로부터의 계기를 제공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한국 민주주의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한국 민주주의의 본격적 전개를 야기시켰던 것은 60-70년대 반독재 민주화운동의 뒤를 이어 마침내 1987년에 분출했던 6월항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한국의 6월항쟁은 위로부터 그 제도만이 형식적으로 주어졌을 뿐, 냉전과 권위주의로 인해 아래로부터의 진정한 민주주의가 가능하지 않았던 한국적 상황에서 진정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만들었던 민주혁명적 계기라 할 수 있다. 또한 6월항쟁은 한국사회의 비민주적․물량적 근대화가 비로소 민주주의라는 가치와 결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6월항쟁은 한국에서 비로소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이에 따라 민주주의적 근대화가 가능하도록 만들었던 계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6월항쟁이 갖는 이 같은 의미에도 불구하고 민주화 이행 이후 그것이 기대했던 만큼의 민주주의 발전을 가져왔던 것은 아니라는 점 또한 기억할 필요가 있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은 6월항쟁이 비록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그 이행의 결과는 ‘보수적 민주화 이행’에 그쳤다는 점이다. 그것은 당시 양 김씨의 분열에 따른 민주화운동진영의 분열로 인해 민주화 이행 과정에서 구(舊) 권위주의세력이 합법적으로 집권하게 됨으로써 권위주의 유산의 실질적인 청산은 이루어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민주화 이행이 최소한의 절차적 민주주의에 그침으로써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는 실질적 민주주의의 진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우리는 민주화 이행에도 불구하고 지역주의정치의 전면 등장 속에서 노동의 정치참여 또는 진보적 정치세력의 제도권 정치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반공주의에 의해 구조화된 채 보수세력 또는 보수적 중도세력만이 제도권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반쪽의 보수적 정치지형은 민주화 이행 이후에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1987년의 민주화 이행과 관련하여 우리가 지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그것이 경제적 민주주의를 크게 강화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미 민주화 이행의 타협 과정에서부터 노동문제를 포함한 경제적 사안에 대한 논의는 배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행 이후에도 복지 등 경제적 민주주의의 문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오히려 어떤 점에서 경제적 민주주의의 문제는 경제적 세계화의 영향 속에서 더 악화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과거 산업화 과정에서 불평등을 감수하지 않을 수 없었던 많은 사람들이 세계화의 과정에서 다시 한번 경제적 불이익을 강요받게 될 때, 경제적 불평등은 더욱 악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점에서 6월항쟁의 의미를 되집어본다면, 그것은 탈권위주의의 한국 민주주의가 비로소 본격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만들었던 전환적 계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민주화 이행 이후의 민주주의의 커다란 발전으로 이어졌던 것은 아니라는 점 또한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지금의 시점에서 되돌아보는 6월항쟁은 한편으로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수많은 헌신과 열정을 새삼 기억하게 만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이후 역사 발전으로 제대로 이어내지 못했던 아쉬움의 감회 또한 함께 남긴다.

[출처 : 2005년 6월 9일 한겨레 by 정해구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5공화국 암기사항들.JPG

[6월 민주항쟁 결과 -> 6.29 선언 주요 내용] [1] 1988년 2월,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통한 평화적 정부 이양 보장 [2] 대통령 선거법 개정을 통한 공정한 경쟁 보장 [3] 김대중 사면 복권과 시국 관련 사범 석방 [4] 지방 자치 및 교육 자치 실시 [5] 정당의 건전한 활동 보장

02. 전주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JPG


 을사늑약(1905년)이후 대거 전주에 들어오게 된 일본인들이 처음 거주하게 된 곳은 서문 밖, 지금의 다가동 근처의 전주천변이었다. 서문 밖은 주로 천민이나 상인들의 거주지역으로 당시 성안과 성밖은 엄연한 신분의 차이가 있었다. 성곽은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양곡수송을 위해 전군도로(全群道路)가 개설(1907년)되면서 성곽의 서반부가 강제 철거 되었고, 1911년말 성곽 동반부가 남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됨으로써 전주부성의 자취는 사라졌다. 이는 일본인들에게 성안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로 서문 근처에서 행상을 하던 일본인들이 다가동과 중앙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1934년까지 3차에 걸친 시구개정(市區改正)에 의하여 전주의 거리가 격자화되고 상권이 형성되면서, 서문일대에서만 번성하던 일본 상인들이 전주 최대의 상권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1930년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세력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였다. 1930년대에 형성된 교동, 풍남동의 한옥군은 일본식과 대조되고 화산동의 양풍(洋風) 선교사촌과 학교, 교회당 등과 어울려 기묘한 도시색을 연출하게 되었다. 오목대에서 바라보면 팔작지붕의 휘영청 늘어진 곡선의 용마루가 즐비한 명물이 바로 교동, 풍남동의 한옥마을인 것이다.

Jeonju, city of discoveries

 There’s no better way to experience Korea than by spending a night in a village of traditional houses that have been restored to preserve the Korean traditional lifestyle and culture. Jeonju, located about 250 kilometers south of Seoul in North Jeolla Province, is the perfect place for a getaway tinged with old-fashioned charm.
 
Cultural Heritage: Jeonju’s Hanok Village 

 Jeonju has kept Korean tradition alive for centuries, and even today has an extensive collection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called Hanok, in its Hanok Village district.  This pleasant retreat offers the beauty of both tradition and nature. Jeonju’s Hanok Village attracted over three million visitors this year, a ten-fold increase in a decade. In July, the city won the first Korea Tourism Awards, jointly organiz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ver 900 Hanok have been converted into residences, restaurants, accommodations, craft rooms and art centers.  The area also has a wealth of historic sites such as Gyeonggijeon Shrine, Pungnam Gate and several Buddhist temples. Hanok accommodations range from a few decades to hundreds of years old. They have been renovated for the convenience of guests, but traditional forms and styles are retained through furnishings and decoration. Some accommodations offer program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including tea ceremony, pottery making and folk games. The main streets of Pungnam-dong and Kyo-dong in downtown Jeonju are a lively mix of antique, craft, pottery and textile stores, adding to the traditional vibe. There are also a wide range of cultural facilities like the Jeonju Traditional Cultural Center amid the narrow, winding old streets in Jeonju’s well-preserved downtown area. Jeonju is also host to a variety of festivals both large and small. The largest annual events include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Jeonju Hanji Festival, along with smaller festivals celebrating Korea’s folk traditions, such as the Jeonju Dan-o Festival in May and the Jeonju Daesasup Festival.

Culinary Delights

 Jeonju offers a wide array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beverages, and is internationally known for the excellence of its cuisine. Jeonju’s signature dish is its bibimbap, a bowl of rice, vegetables, and raw beef served with bean sprout soup. Although bibimbap is common all throughout the country, Jeonju’s specialty version is the most renowned and widely regarded as the most delicious. For those looking for something lighter, Jeonju has many teahouses tucked away in the Hanok village, where guests are sure to find something warm and soothing. After a long day of sightseeing and enjoyment, be sure and visit Jeonju’s ”makgeolli street” in the Samcheon-dong area. Dozens of traditional taverns there serve up makgeolli, a thick, milky brew with low alcohol content. Each round of makgeolli is accompanied by different side dishes.

Slow City, Jeonju

 Jeonju officially joined the Cittaslow Network on November 27 as a “slow city.” The slow city movement originated in Italy in 1999, and advocates moving away from the frantic pace of modern life to a gentler, slower style of living.

                                                         <By Hwang Dana / Korea.net Staff Writer>

03. 여민관 vs 위민관 -> 정권의 정치 철학을 보여준다

청와대 구조.JPG


 노무현 대통령 시절인 2004년 12월, 청와대에 3개 동의 비서실 건물이 새로 들어섰고 ‘여민관’(與民館)으로 명명됐다. 여민, 국민과 더불어 즐거움을 같이한다는 뜻이다. <맹자> ‘양혜왕장구 하편’에 나오는 ‘여민동락’(與民同樂)에서 유래했다. 왕이 자기만 즐기면 백성들이 반발하지만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하면 백성들도 함께 기뻐할 것이란 뜻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9월, 여민관을 위민관(爲民館)으로 바꿨다. 위민, 백성을 위한다는 뜻이다. 세종의 위민정치를 본받겠다는 명분이었는데, 실은 ‘참여정부 흔적 지우기’의 일환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틀 만에 위민관을 여민관으로 되돌렸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위민은 국민이 객체가 되는 개념이고 여민은 국민과 함께한다는 뜻”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여민은 국민을 주체로 바라보는데 위민은 국민을 대상으로 본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부를 ‘더불어민주당 정부’라고 부른다. ‘촛불시민’의 힘으로 만들어진 정부이니 ‘더불어 정부’란 이름이 제법 어울린다. ‘더불어’는 아무래도 ‘위민’보다 ‘여민’에 더 가까운 단어다. 이런 차원에서 보면 위민관보다 여민관이 나을 수도 있겠다. 정권이 바뀌면 전임자가 만든 이름을 바꾸고 전 정권의 흔적을 지운다. 위민관은 그래서 탄생한 이름이었다. 후임자는 그것을 또 바꾸고 흔적을 없앤다. 여민관이란 ‘본명’을 되찾는 일이 행여 이런 악순환의 연장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여민이나 위민이나 뜻은 다 훌륭하다.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같이해도 좋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펴는 것도 나무랄 게 없다. 그런데 위민을 내세우고 친서민을 강조한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은 백성들보다 토건업자들 배를 더 불렸다. 문패보다 더 중요한 건 그 속에 담긴 뜻을 제대로 구현하는 일이 아닐까 싶다.               
<20170514 한겨레 / 임석규>

 그리고, 문패를 구현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문패와 연결되는 정치철학을 이해하는 눈도 필요하다. 이명박 정권의 문패인 위민관은 봉권왕조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정부 주도의 사업 - 그 유인촌이 열연했던 "야망의 세월"의 내용과 같은 정부주도 대규모 사업만이 두 자리수 정보처리량을 가진 2MB 눈에 들어왔을 것이다. 이에, 각하를 모시는 MB 정권 참모들은 (Mega Business로도 이해되네요 ㅋㅋㅋ) 대규모 토목공사의 경제학적 기반을 낙수이론에서 가져왔다. 낙수이론 그리고 경제민주화로 연결되는 고리는 다음과 같다.

 이명박 정권은 경제가 발전하여 먼저 기업들이 부자가 되면, 그 성과가 아래로 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른바 '낙수이론 효과'이지요. 비록 기업과 노동자가 성장의 결과를 불평등하게 나눠 갖더라도, 경제 전체의 규모가 커지면 노동자가 차지하는 몫도 늘어난다는 겁니다. '파레토 개선'이라고 하지요? 하지만, 현실은 이명박 정부의 주장과 달랐습니다. 기업들이 성장해도 낙수효과는 없었지요. 법인세를 깍아준 덕에 기업들의 이윤은 엄청나게 늘어났지만, 노동자의 실질임금은 전혀 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성장보다 분배다. 분배를 통해 성장하자. 대기업의 횡포로부터 중소기업을 보호하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경제민주화의 슬로건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개념을 새누리당이 냅다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심지어 당의 상징 색을 아예 빨간색으로 바꿔버렸지요. 진보정당들도 빨갱이라고 욕먹을까봐 감히 못 쓰는 색을 과감히 가져다 썼습니다. 
                                                                    <좋은 정치란 무엇인가 : 진중권 편>

  그리고 그 경제 민주화의 연장선에 걸려있는 '대기업의 횡포를 막자'라는 이슈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회에 이어지고 있다. 

04. 요정에서 근검절약을 발휘하는 이명박

유인촌.JPG


 당시 현대건설사장 이명박을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가 히트를 침. 주연배우는 유인촌. 그래서 이명박이 고맙다고 요정에 델구감. 이명박이 당시에 현대사장이었지만 정계쪽에 영향력도 없었고 50살밖에 안된 핏덩이 사장이라서 요정에서 예약을 안받아주려했다고함 근데 유인촌 온다니깐 혹해서 예약을 받아줌. 암튼 예약하고 요정에 입갤했는데, 서빙하는 여종업원이 1인당 1명씩 붙는데 돈아까워서 이건 대뜸 2사람당 1명으로 깎았다고함 요정측에서는 어쩔수 없이 깎아줌 저녁먹고 밴드 불러서 놀기 시작하는데 여종업원인지 같은 여동료인지가 술에 떡이되니깐 가카께서 이년을 부축하고 주물주물거렸다함 대놓고 주물주물거리는데 다들 그냥 모른척 암튼 다들 술이 떡이되도록 놀았는데 원래 요정은 저렇게 노는게 아니라 밴드비에서 문제가 생김 저녁먹고 간단하게 노는게 일반적인데 너무 놀아서 밴드비가 많이나옴 약 30만원 근데 끝까지 정산안하고 중간중간 팁으로 15 6만원줬는데 그거로 퉁쳤다함 그래서 그 밴드에서 일하던 분이 제보???? 이후 파장하고 다 집에 갔는데 유인촌이 집에 가다말고 돌아와서 여종업원이랑 ....
<나는 꼼수다 20회> 

 유인촌이 이명박과 인연을 맺은 것은 드라마 <야먕의 세월>의 주인공을 할 때부터다. <야망의 세월>에서 이명박 역할을 멋드러지게 소화해내며 '이명박 신화'의 기초를 세운 그는 20년 동안 물심양면 이명박을 후원하면서 이명박과 절친한 사이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명박이 한나라당 대권 후보로 등장하고, 유인촌이 유세연설에 동참하는 것을 보며 많은 방송가 사람들이 "이명박이 대통령이 되면 유인촌이 문화부 장관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입을 모아 예견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방송가 예견대로 MB의 시대에 유인촌은 배우 직함을 떼어버리고 "문화부 장관"으로서의 위세를 누렸다. 문화부 장관으로 취임하자마자 "노무현 정권의 인사들은 모두 자진해서 사표써라." 라며 MB 정권의 문화부 수장으로서 제 역할을 톡톡히 했던 그는 올림픽 시진 호화 연예인 응원단 문제와 욕설파문 등으로 본인의 수준을 들어낸바 있다. 

05. 사민주의 지킨 북유럽 5, 성장, 분배 다잡아


북유럽 5개국.JPG

"국가는 시민을 챙기는 가장의 역할"

 

 최근 몇년 동안 스웨덴과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북유럽 국가의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이 상한가를 치고 있다. 최근 분리독립 주민투표를 스코틀랜드 자치정부는 영국에서 독립해야 하는 근거로 북해 유전 수입을 기반으로 미래 세대 기금을 모으고 있는 노르웨이 사례를 내세웠다. 여기에는 2010유럽을 강타한 재정위기에도 성장과 분배 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북유럽 ‘사민주의 복지국가’ 모델에 대한 부러움이 자리한다. 북유럽 5개국(노르딕·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아이슬란드) 특유의 끈끈한 대정부·사회 신뢰 분위기가 각종 현안마다 온갖 갈등이 분출되는 한국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던지는 이유다.

 

북유럽 5개국 지수.JPG


성장과 분배 다잡은 노르딕 국가들

 

 영국 BBC방송과 시사주간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18스코틀랜드 독립투표 부결 직전 노르웨이를 찾아 현지 민심을 훑었다. 스코틀랜드 자치정부가 독립을 위한 주된 이유로 내건 ‘노르웨이와 같은 국부 확보’가 과연 가능할 것인가에 관한 르포 기사였다스코틀랜드 자치정부는 주민투표 이전 “영국 중앙정부에 빼앗기고 있다”는 북해 유전 수입에 대해 “우리의 정당한 권리를 행사한다면 3 내에 노르웨이와 같은 복지국가가 있다”고 독려했다영국 언론들 결론대로 스코틀랜드와 노르웨이의 사정은 너무도 달랐다. 노르웨이는 북해 유전 수입에서 거둬들인 8000억달러( 854조원) 미래 세대를 위한 예비자금으로 보관해둔 상태다노르웨이 정부는 은퇴·실업·보육수당 지급에 따른 만성적인 세수 부족에 허덕이고 있는데도 천문학적인 기금에선 매년 4% 지출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에 대한 노르웨이인들의 신뢰는 절대적이다알렉산데르 카펠렌 노르웨이경제대학 교수는 “국민은 정부가 국고를 허투루 쓰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노르웨이만이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근 펴낸 ‘각 정부 신뢰도 조사’(2012 기준) 따르면 북유럽 주민들의 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노르웨이 국민의 대정부 신뢰도는 71% OECD 34 회원국 가운데 3, 스웨덴(65%) 4, 핀란드(62%) 6위를 차지했다. OECD 평균 신뢰도가 43%이고 한국은 이보다 훨씬 적은 25%(28)라는 점을 감안하면 자국정부를 향한 노르딕인들의 믿음은 굳건해 보인다이번 조사에서 각각 61% 55% OECD 국가들 가운데 7, 9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내부 상황도 우리로선 부러울 수밖에 없다. 덴마크는 지난해 유엔 ‘세계 행복 보고서’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한 나라다. 덴마크에선 대학까지 교육비 의료비가 전액 국비로 충당되고 실업급여 역시 월급과 비슷한 수준으로 2 동안 지급된다.

 

신뢰 사회자본이 경쟁력의 기본

 

 완벽에 가까운 사회안전망을 자랑하는 북유럽 국가들의 성공모델은 좌우 이념과 상관없이 “정부는 가족공동체처럼 조직돼야 한다”는 1930년대 스웨덴식 사민주의에서 비롯했다는 전문가들 평가다. 이들 국가는 2000년대 신자유주의 경쟁체제 이후 본격화한 ‘성장과 복지’ 양자택일 분위기에서도 “성장과 복지는 결코 대립하지 않는다”는 사민주의 원칙을 견지해왔다엄격한 재정지출과 공기업 민영화 건실한 재정을 바탕으로 모바일게임 앵그리버드와 같은 지속적인 성장동력에 대한 투자, “공짜 점심은 없다”는 식의 ‘일하는 복지’ 원칙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고 삼성경제연구소는 분석했다무엇보다 사회 자본에 대한 노르딕 국가의 아낌없는 투자를 빼놓을 없다. 사회자본이란 개인·제도·정부에 대한 신뢰 배려 정치·경제 공동체 귀속감 등을 의미한다. 사회경제학에서는 이러한 사회자본이 경제발전의 근간이라는 이론이 제기돼왔다. 지난 5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사회자본 수준은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인 29(5.07)였다노르웨이 6.66(1), 스웨덴 6.53(13), 덴마크 6.45(6) 물론 공동체 의식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영국(6.16·14), 미국(5.94·17)에도 뒤졌다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의 사회자본 확충을 위해선 가장 먼저 공적 신뢰(행정·사법·교육·안전 시스템) 향상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정부 개혁과 사법질서 확립, 사회 전반에 걸친 부패 방지 사회적 계약을 중시하는 풍토 조성 국가시스템 전반의 개조를 통해 “개인 또는 공동체의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0141009 세계일보 / 송민섭, 박진영 기자>


06. 독일의 히든 챔피언

독일 히든 챔피언 01.JPG

국가별 히든 챔피언.JPG

[한국에서 히든 챔피언이 만들어지지 못하는 이유 - 설문]

한국 히든 챔피언이 힘든 이유.JPG


 - 설문 조사 결과의 장애물에 해당되는 이유들은 대기업의 정계 로비의 결과이자 대기업의 문어발식 하방 통합의 결과라고 생각되네요. 공정거래 위원장 자리가 어느때보다 더 중요한 시점이네요. 


07. 한성대 무역학과 김상조 교수님 - 공정거래 위원장 인사청문회

한성대에서 김상조.JPG
(1) 왜 그렇게 반대하나? ‘재벌 개혁’을 내세우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첫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삼성 저격수`로 불리는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를 내정했다. 김 후보자는 근래들어 현실론적 재벌개혁론을 주장했다. 또 타깃을 삼성 현대차 SK 롯데 등 4대 그룹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공정위의 기능 중 대기업 전담 조사 조직을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이른바 국민정부, 참여정부 시절 존재했던 `재계의 저승사자`로 불리던 조사국 부활 카드다. 그는 대선 기간 동안 “과거 공정위 조사국 조직처럼 (대기업) 조사 기능을 강화하고 기업 갑질과 소상공인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공정위는 시행령 개정을 통해 대기업 전담 조직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일종의 별동대 형식으로 신속하게 30~40명의 인력을 대거 투입해 범 4대 대기업 그룹을 중심으로 총수일가의 사익편취 문제, 부당 내부거래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전망이다. 

 특히나 불공정행위를 판단할 수 있는 시장 분석 기능도 핵심으로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가 매번 법원에서 패소한 것은 법 위반 사실을 확인하더라도 시장경쟁을 훼손하지 않앗다는 로펌의 논리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해서다. 그는 이데일리와 최근 인터뷰에서 “대기업 집단의 불공정행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뒤,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조사에 들어가야 한다”면서 “시장 지배력이 상당한 범 4대 대기업 그룹을 중심으로 집중 조사하되, 이미 경쟁력을 상실한 나머지 대기업집단에는 법 준수 시그널을 보내면 된다”고 했다. 추가적인 공정거래법 개정보다는 법 집행에 방점을 찍을 전망이다. 이미 공정거래법은 충분히 만들어졌다는 판단이다. 반면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완화됐던 시행령 이하 하위 규정에 대한 수준도 다시 원상복구할 방침이다.  

 대표적인 게 과징금 강화다. 지난해 8월 대규모유통업법 과징금 고시를 개정해 부과 기준을 전체 납품대금에서 관련법 위반 금액으로 완화한 것이 대표적이다. 과징금 부과 실효성을 높이는 취지라는 게 공정위의 설명이었지만, 과징금 깎아주기라는 비판을 받았던 게 사실이다. 김 후보자는 당시 “악마는 디테일에 있는데 정부가 지난한 법개정보다는 시행령, 고시, 지침 개정 등으로 은근 슬쩍 규제를 완화한 게 많다”면서 “이를 재점검하고 합리적 수준으로 올려 공정위 직원들이 제대로 시장 경쟁을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을 만들겠다”고 했다. X

(2) 한성대 학생 사진에 대한 어떤 시민의 평가 : 청문회가 얼마나 좋았냐면 생전 모르던 김상조 교수님을 조금이라도 알게 되어서. 한국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가 얼마나 훌륭한 분인지 배우게 되어 나는 청문회가 고맙다. 청문회에서 그렇게 시달린 바로 다음날 아침 9시부터 늦은 오후까지 학생들 보강해주셨단다. 토요일 아침부터 보강해주는 교수나 또 그 보강을 듣겠다고 등교하는 학생이나 김상조 교수님은 보강해주실 때 출석은 부르지 않을 테니 안 나와도 된다고 하신다던데, "어제 일로 너무 힘들어 보이셨지만 그래도 수업 때 잘 웃어주셔서 더 맘 아픔"이라고 쓰며 교수님과의 사진을 올린 이 학생도 예쁘고 그 뒤에 안경 쓴 남자도 멋지고 이렇게 악랄하게(?) 철두철미한 교수님을 나랏일에 안 부려먹으려고 안달인 의원들은 도대체 누구신가? 자신들은 특혜취업 / 위장전입 / 논문표절 / 세금탈루 부분에서 자유하지 못하신  자유당 의원 나리들. 이렇게 생전 알지 못했던 의원분들의 비리를 하나하나 파헤친 네티즌들. 대다나다. 언론사 기자들이 할 일을 네티즌들이 대신 해주고 있는 한국. 무식한 내가 이것저것 배우게 되어 청문회가 고맙다 청문회가 아니었으면 공정거래 위원장 후보가 얼마나 훌륭한 분인 줄도 몰랐을 거고 그를 깎아내리려는 의원 나리들이 과연 얼마나 덜 훌륭하신지도 몰랐을 터이니 고마울 뿐이다

08. 거대 담론이 미시적 담론으로 전환된 사회

(1) 학습준비물 지원제도 : 학습준비물 지원 제도는 학습준비물 마련에 따르는 학부모의 불편과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제도로, 각 초등학교는 매년 학습준비물 지원 예산을 확보하여 학생들의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해 오고 있다. 특히, 학년 초 신입생 학용품을 학교가 미리 준비하여 초등학교 문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새내기 학부모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교육청은 이 제도가 정착됨에 따라 내구성 소모품(가위, 자, 악기류 등)의 구비율이 높아져 적은 비용으로도 더 많은 학습준비물을 지원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언제나 완벽한 제도가 존해할 수 없듯이 ...

1. 전국의 영세한 문구점들은 생존의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주5일제 수업과 학생 수 감소라는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대형마트의 무분별한 출점으로 인해 학교 인근의 영세한 문구점들은 고통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아이러니하게도 무상교육 차원에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하고 있는 학습준비물 무상 지원제도가 일부 대형 문구납품업체들에게만 혜택이 돌아가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10년 전 25,000개에 달했던 전국의 문구점은 매년 1,000여개씩 줄어들어 이제는 약 15,000개만 남아있습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는 전국 평균에 비해 감소세가 더욱 가파른 상황입니다. 문구점들의 감소는 주요 소비자인 학생들에게도 불편을 초례하게 됩니다. 만일 문구점들이 학교 인근에서 사라진다면 학생들은 등굣길에 급하게 필요한 준비물과 학용품을 구입하려고 해도 구입이 불가능해질 것입니다. 연필 한 자루, 노트 한권을 사려해도 대형마트나 대형 사무용품점을 찾아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입니다.
 
2. 현행의 학습준비물 지원제도 자체에도 큰 문제점들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일선의 학교들은 학습준비물을 일괄구매하면서 주로 전자입찰의 방법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 최저가 입찰이 일상화되고, 비문구업에 종사하는 납품전문 업체 및 몇몇 대형업체들이 납품을 독식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인해 학교인근의 영세한 문구점들은 생업의 피해를 겪을 뿐 아니라, 무상지원제도의 혜택을 받아야 할 학생들 역시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최저가 입찰을 통한 과다 경쟁으로 값싸고 질 떨어지는 준비물이 일선 학교들에 공급되고 우리의 학생들은 개개인의 개성이 무시되고 양적으로도 부족한 일괄지급 형태로 준비물을 공급받고 있습니다.
 
3. 그간 관련업계는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교육부를 통해 문제 해결책 마련을 요구했으나 학습준비물 예산 지원 주최가 지방 교육청이라는 이유로 대책마련에 소극적인 상황입니다. 다행히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은 관련업계의 요구를 받아들여 일부의 제도 개선의 노력이 있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한 상황입니다. 이에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서울시교육감 후보로 출마한 조희연 후보 캠프와 그간 영세 문구업계를 대변해온 전국문구점살리기연합회는 이러한 현실을 인식하고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가야 할 학습준비물 무상지원제도를 강화하면서 더불어 학교 인근의 영세한 문구점과 상생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의 정책협약을 체결하여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다짐할 예정입니다.

 4. 이번 정책 협약을 통해 조희연 후보 캠프와 연합회는 △기존의 학습준비물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준비물의 명확한 범위와 품목을 규정하고 이에 필요한 실제 예산을 집행 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할 것입니다. △철저한 감사를 시행해 예산 전용을 방지하여 학생들에게 돌아가야 할 복지의 혜택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현행의 입찰을 통한 일괄구매 방식에서 탈피해 일정 금액에 한해 일선의 학교들이 학교인근 영세 문구점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책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또한 입찰의 경우에도 현재와 같이 대기업 및 지역 대형업체, 비 문구 업체들이 입찰을 독식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며, 최저가 입찰을 통해 저가의 질 나쁜 제품들이 유통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엔 △시민단체들과 연계하여 친환경 상품이 학생들에게 공급되도록 제도적 보완책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골목상권(문구점) 살리기 정책협약식 개최>

(2) 지역 경제 살리기 위한 방법

- 단기처방책 : 지역 축제는 지역을 차별화하고 축제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낙후된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한다. 지역의 특색을 고려하여 성공적으로 개최된 지역 축제들은 예산 투자 대비 약 20뱅의 경제적 수익 창출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처럼 지역 축제는 외부 관광객 유치를 통해 지역 이미지를 개선하며 지역 경제를 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단기적인 수익에 집착한 나머지 지역 간 차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이로 일회성의 행사로 채운 지역 축제가 대부분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지역 축제를 통해 수익의 규모뿐 아니라 지속성도 높여야 한다.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지역경제를 살리는 작은 아이디어.JPG
What's possible : Spread 'buy local' message through students 

- 장기처방책 : In 1995, a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in Miner County, South Dakota, started planning a revival. They wanted to do something that might revive their dying community. Miner County had been failing for decades. Farm and industrial jobs had slowly dried up, and nothing had replaced them. The students started investigating the situation. One finding in particular disturbed them. They discovered that half of the residents had been shopping outside the county, driving an hour to Sioux Falls to shop in larger stores. Most of the things that could improve the situation were out of the students’ control. But they did uncover one thing that was very much in their control: inviting the residents to . They found their first slogan: Let’s keep Miner dollars in Miner County. 

<2017년 고1 6월 전국연합모의고사 영어 32번>

(3) 왜 미시적 담론이 중요해 졌을까?

 위의 글들에서 보시는 것처럼, 지역 상권은 대기업 관련 규제 제도들 혹은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에 따라 쉽게 바뀌어질 수 있습니다. 거대한 이데올로기적 고민 [거대 담론] 에서 벗어나 소소한 것들에 대한 인식 [미시적 담론] 이 전체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시민사회가 되면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구분이 애매해지게 되었다 by 마니샘) 그러니까, 이 지점에서 미셀 푸코의 [미시적 담론]과 연결되는 것 같네요. 그런데, 푸코나 하버마스는 아직 완전히 정리되지 않아서, 제 무지를 아래의 퍼온 글로 대체합니다. (앞으로 수업시간에서 더 다루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파놉티콘.JPG


여자, 아이 등 '타자'에 대한 지식 해부

 프랑스 사상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일상 속 권력을 해부할 이론적 무기를 제공하고, 정보사회의 진전이 가져온 디스토피아를 예견했다. 그는 또 타자를 새롭게 발견하게 함으로써 소수자 인권과 정치의 중요성을 깨닫게 했다. 사상가의 진정한 힘은 뭘까. 그것은 인간 사유의 틀을 바꾸는 데 있다. 예를 들어 20세기 전반기 사상가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이들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막스 베버가 손꼽힌다. 프로이트를 통해 인류는 무의식을 발견하게 됐고, 베버를 통해 합리성을 인식하게 됐다. 20세기 후반기 사상가로 가장 주목받은 이들은 미셸 푸코와 위르겐 하버마스라는 데 동의하는 사람들이 결코 적지 않다. 푸코를 통해 타자란 누구인지를 생각하게 됐고, 하버마스를 통해 소통하는 주체를 성찰하게 됐다.

 푸코는 철학자이자 역사학자인 동시에 사회학자다. 푸코의 사상은 한마디로 ‘타자’의 사회이론이다. 타자란 남자와 여자, 어른과 아이, 정상인과 비정상인, 서구인과 비서구인 등 이제까지 철학적으로,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배제돼 온 후자의 그룹을 말한다. 타자의 사회이론이란 이러한 타자를 다뤄온 지식들을 비판적으로 해부하는 학문적 시도를 뜻한다. 타자를 연구하기 위해 푸코가 활용한 방법론은 ‘지식의 고고학’과 ‘권력의 계보학’이다. 고고학이 특정한 시대에서의 담론의 형성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그 담론의 전환을 다루는 방법을 말한다면, 계보학은 이러한 형성 및 전환의 조건 가운데 담론(지식)과 권력의 관계를 탐구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고고학을 방법론으로 하여 다룬 저작들이 <광기의 역사> <말과 사물>이라면, 계보학을 방법론으로 하여 다룬 저작들이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1975), <성의 역사 1>이다.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달린 <감시와 처벌>은 푸코의 저작들 중 사회학적 함의가 가장 두드러진 책이다. 여기서 사회학적이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푸코가 권력의 계보학을 본격적으로 분석했다는 게 하나라면, 현대 감시사회의 기원을 정밀하게 추적하려 했다는 게 다른 하나다.

 푸코는 권력의 미시적 차원을 주목한다. 그에 따르면, 권력은 사회 제도와 관련된 전략 및 효과이며, 미시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관계이자 상호작용이다. 권력이 행사되기 위해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지식(담론)이 요구되고, 이 인간과학 지식이 권력의 미시적 작동에 정당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그의 통찰이다. 1960년대 지식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에서 나아가 지식이 권력의 생산•재생산에 기여하는 바를 밝히는 계보학적 탐구를 시도한 책이 바로 <감시와 처벌>이다. 이 저작은 감옥을 사례로 근대 인간과학 지식에 따라 정상과 비정상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규율과 훈련에 기반한 일상생활이 어떻게 조직되는지, 결국 지배에 순종하는 신체를 가진 근대적 ‘개인’이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생동감 있게 분석한다.

 파놉티콘(panopticon 일망감시장치)’은 권력의 미시적 작동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공리주의자 제러미 벤담이 고안한 파놉티콘이 갖는 특징은, 감금된 사람의 경우 감시하는 사람을 볼 수 없지만 감시자는 감금자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푸코가 주목한 것은 파놉티콘 아래서 감금자의 경우 감시자의 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언제나 감시당하고 있다는 불안과 공포를 겪게 되고, 결국 자신을 스스로 감시하게 하는 권력의 효과가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감옥체제야말로 근대사회가 갖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는 게 푸코의 주장이다. “감옥이 공장이나 학교, 병영이나 병원과 흡사하고, 이러한 모든 기관이 감옥과 닮은 것이라 해서 무엇이 놀라운 일이겠는가”라는 푸코의 진술은 <감시와 처벌>이 감시사회로서의 현대사회에 대한 분석을 겨냥하고 있음을 선명히 보여준다.

 푸코가 현대 사상에 미친 영향은 넓고 깊다. 앤서니 기든스는 <현대 사회학>에서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사상가로 주저없이 푸코와 하버마스를 들었다. 하버마스가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에서 푸코에게만 두 챕터를 할애한 것은 푸코 사상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증거하는 징표다. <감시와 처벌>을 포함해 푸코가 미친 사상적 영향은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푸코는 주체의 새로운 이론화를 시도했다. 그에게 주체란 스스로 창조한다기보다는 담론에 의해 구성되는 존재다. 그는 규율되고 훈련되는 신체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선사했다.
 둘째, 푸코는 계몽주의의 그늘을 비판했다. 이러한 비판은 문학과 예술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심원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푸코는 일상 속 권력을 해부할 이론적 무기를 제공했다. 가부장주의 등 생활세계에 내재한 권력에 대한 비판은 푸코를 통해 더욱 정교해지고 풍부해졌다. 
 넷째, 푸코는 정보사회 연구에 날카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파놉티콘에 대한 푸코의 통찰은 정보사회의 진전이 가져온 디스토피아를 예견하게 했다. 
 다섯째, 푸코는 타자를 새롭게 발견하게 함으로써 소수자 인권과 정치의 중요성을 깨닫게 했다. 여성, 외국인 노동자, 동성애자 등의 권리를 요구하는 다양한 신사회운동들은 푸코 사상으로부터 이론적 자원을 가져왔다.
   
 19세기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점에서 푸코는 아마도 유일한 20세기 철학자일 것이라고 말한 이는 질 들뢰즈였다. 푸코는 20세기 사상가였던 동시에 21세기 사상가다. 21세기가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인류가 대면하고 있는 난민 문제부터 정보사회의 그늘에 이르기까지 주요 사회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적절한 해법을 강구하기 위해선 푸코 사상만큼 날카롭고 유용한 문제틀을 찾기 어렵다. 오늘날 대다수 나라에서 대학에 입학한 젊은이들에게 푸코의 책을 읽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감시와 처벌>은 철학자 이광래 강원대 명예교수와 불문학자 오생근 서울대 명예교수에 의해 각각 우리말로 옮겨졌다. <감시와 처벌>을 읽기에 앞서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 취임 강연인 <담론의 질서>(이정우 옮김)와 콜린 고든이 편집한 푸코 대담집인 <권력과 지식>(홍성민 옮김)을 읽어보는 것도 좋다.

 우리 사회에서 푸코 사상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민주화 시대였다. 당시 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젊은 철학/사회학/정치학 연구자들이 푸코의 사회이론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경험을 중시하는 영미식 사유와 관념을 중시하는 독일식 사유에 맞서 구조•담론•권력•신체•섹슈얼리티 등을 주목하고 새롭게 이론화하는 푸코식 사유는 아카데미 영역이 제공할 수 없는 새로운 지적 자극과 상상력을 선사했다. 1989년 동구 사회주의의 몰락 이후 푸코 사상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당시 푸코의 영향을 잘 보여주는 것이 시회운동 담론이었다. 1990년대 우리 사회를 이끈 다양한 시민운동들은 그람시, 푸코, 하버마스의 사상으로부터 이론적 자원을 빌려 왔다. 푸코의 사회이론은 특히 여성운동, 인권운동, 소수자운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푸코 사상의 국내 수용에 대해선 지식사회의 변화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1980년대에 대학원을 다녔던 젊은 연구자들이 공부를 마치고 대학에 자리를 잡으면서 각종 교양 과정에서 푸코를 가르치기 시작한 것도 1990년대였다. 예를 들어 사회학의 경우 가장 널리 읽힌 개론서인 기든스의 <현대 사회학>은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두 명의 사상가들로 푸코와 하버마스를 소개하는데, 이러한 텍스트들을 통해 푸코는 대학 등 지식사회 안에서 자연스럽게 주류 담론으로 안착했다. 푸코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1990년대 초반부터 1997년 외환위기까지 진행된 이른바 ‘문화의 시대’였다. 당시 포스트모더니즘을 둘러싼 논쟁들이 진행되면서 푸코와 자크 데리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한 사상가들로 소개되고 토론됐다. 우리 사회에서 푸코 사상의 전성시대는 바로 이 시기였다. <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 1•2•3에 이르기까지 푸코의 주요 저작들이 모두 우리말로 옮겨졌고, 지식사회 안팎에서 상당한 관심을 모았다. 흥미로운 것은 푸코에 대한 이러한 높은 관심이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1980년대 이후 푸코가 그람시와 함께 기성체제에 맞서는 대항 담론의 구심을 이뤘다. ‘푸코 열풍’은 가히 지구적 현상이었다. 
<20160713 경향신문 21면 김호기>

09. 문자행동 - "감시하되 지배하려 말고 질책하되 조롱하지는 말자". 

문자행동.JPG


 "개인적으로 전 좋은 발상이라 생각했는데, 반대 의견을 조사해보니, ... 냄새가 나지만 뭐라고 비판할 수 없다는 ... 문자 행동에 대한 반대글에 대한 반론을 댓글로 적어주세요." 

(1) Fact :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1일 정치권 논란이 된 이른바 '문자폭탄'과 관련, "단지 명칭 때문에 국민들의 귀한 의견이 폄하되고 조롱받는 것을 그냥 두고 볼 수는 없다"며 용어 변경을 주장했다. 손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문자폭탄이라는 명칭, 매력적이지만 자극적인 이 브랜드의 문제는 폭력적 이미지가 우선한다는 데 있다"며 "극히 일부 문자의 내용이 과격할 경우 그 폐해는 문자를 보낸 모두에게 덧씌워진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단지 '문자폭탄'이라는 명칭 때문"이라며 "문자를 폭력으로 규정하는 이 명칭의 부정적 이미지는 이해가 상충되는 집단으로부터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고 야당의 문자폭탄 비판을 공세로 규정했다. 손 의원은 이후 추가로 글을 올려 "제가 제안하는 '문자폭탄'을 대신하는 브랜드는 '문자행동'"이라며 "'문자를 보내는 행동', '문자로 행동하다', '자신의 생각을 문자로 보내는 행동에 옮기다'라는 뜻"이라고 했다. 그는 "문자행동은 칭찬도 질책도 가능하다. 문자행동은 혼자서도 할 수 있고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함께할 수도 있다"며 "문자폭탄은 문자의 '양'을 이야기하지만 문자행동은 용기 있는 '실행'을 말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자폭탄은 제3자의 부정적인 '형식'이고 문자행동은 문자를 보내는 자가 책임지는 '내용'"이라며 "문자가 폭탄을 만들어서 문자폭탄이 됐다면 행동이 문자를 보내서 문자행동이 됐다"고 부연했다.

(2) 찬성 http://blog.naver.com/tong_mandoo/221019046521 : 핸드폰 번호를 공개한 적도 없는데 어떻게 번호를 손에 넣은 건지 자기들은 선거 때만 되면 뽑아 달라며 시도 때도 없이 단체 문자를 날려대면서. 공개된 국회의원의 핸드폰 번호로 시민들이 정치적 의사 표현을 하기 위해 한 자 한 자 찍어 보내는 문자를 '문자테러'니 '문자폭탄'이라면서 폄하하고 폄훼하는 게 기가 막히고 못마땅했다. 표만 필요하고, 의견은 필요없다는, 그야말로 도둑놈 심보다. 5월 30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한 정의당 노회찬 의원과 진행자 김어준은 문자폭탄 논란에 대해 인상적이면서도 공감 가는 이야기를 나눴다. 김어준은 "정치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방법을 시민 스스로 학습한 것"이며 "정치인들이 이 현상을 못 따라잡고, 특정한 세력이 일시에 보내는 폭탄처럼 여기는 것 같은데 그게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노회찬은 "문자는 본인만 보지만 트위터는 모든 사람들이 다 보는 상황"이라며, 자신의 트위터에 비난이나 욕설 등을 하더라도 "어느 누구도, 단 한 명도 차단하지 않는다. 그 얘기는 무슨 얘기든 다 듣겠다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 "주먹을 날린 것도 아니고, 돌멩이를 던진 것도 아니고, 문자를 보낸 것은 상당한 문명적 행위"라고 시민들의 문자 참여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에 반대 의견을 밝혔다. 이에 김어준은 "문자폭탄이라는 용어 자체를 바꿔야 한다"며, "내용 기준으로 보자면 '문자항의'인 것이고 행위에 의미를 보자면 '문자참여'인 것이고 그리고 숫자가 많다면 '문자세례' 정도로 불러야 되는 게 아닌가"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리고 어제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자폭탄' 말고 '문자행동'이라 하자는 의견을 제안했다. 좋은 생각이다. 아주 마음에 든다. 뭐라고 부르는 게 뭐가 중요하냐 할 수도 있지만 뭐라 부르는지는 사실 중요한 일이다. 

(3) 반대 http://blog.naver.com/twojan/221019754386 : 문자폭탄 문자행동 찬성, 문자테러 반대? 문자폭탄이 <표현의 자유>입니까? 문자행동이 <참여민주주의> 입니까?? 표현의 자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라면서 강매(强買)하거나 강요 (强要)하면 됩니까? 표현의 자유! 찬성합니다! 그러나 반드시 읽어야 하는 메세지 강요는 반대합니다! 표현의 자유!! 개인 블로그나 일기장에 하십시요. 문자폭탄이 표현의 자유라면 대선기간 국민의당 <문모닝>도 표현의 자유..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의 <하자 심한 물건> 발언도 표현의 자유 아닙니까? 근데 왜 비난 하십니까? 문자폭탄 보낸 사람들 법적대응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문자폭탄 문자테러 문자행동 못하게 법률제정해야 합니다. 표현의 자유와강요는 다른 철학입니다. 뉴스는 안보면 되고.. 블로그는 안읽으면 되지만 메세지는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아무리 바른 표현이라 할지라도 메세지 강요된 단톡방 초청 더하기 욕설 비난 비하는 잘못입니다. 외국사례를 들어 표현의 자유 운운하는가본데 면적 99 제곱킬로미터 인구 5천만 하루 안에 대선후보들이 전지역을 돌 수 있는 작은 나라이고 몇명만 거치면 대한민국 국민이 전부 친구가능합니다. 심지어 관습이나 윤리도 외국과 다른것들이 많습니다. 표현의 자유?? 대한민국 교육안에서 아이들이 토론 수업이 가능한 수업 몇개나 됩니까? 한밤중까지 학교 자습, 학원수업 대화나 토론 가능합니까? 외국과 비교될 수 있는 문화가 있고 비교될 수 없는 문화가 있습니다. 문자폭탄을 표현의 자유 운운하는 사람들은 기득권들입니다. 소수의 의견을 묵사발 내버리는 편견의 철학입니다. 문자폭탄 문자테러 문자행동은 결코 표현의 자유 될 수 없습니다. 이낙연 총리과 정청래 표창원 하태경 노회찬 손혜원 의원님 엉뚱한 전화번호로 문자폭탄 보내지 않게 페이스북 전화번호 공개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국회의원들 전화번호 바꾸면 이전번호는 반드시 최소 5년간 묶어두어야 합니다. 엉뚱한 피해자 발생하지 않겠습니까? 진짜 문자폭탄 찬성하시는 분들 법적대응 반대하시는 분들 전화번호 제대로 공개하시기 바랍니다. 찬성하시는 분들에겐 저도 문자 보내고 싶습니다. 통신 기본료 없애고 문자 건당 요금 지불합시다 !!

10. 유럽의 통합과 분열은 모두 영국에서부터

영국이 문제다_EU.JPG
브렉시트 찬반.JPG


 영국의 탈퇴 결정으로 붕괴 위기를 맞은 EU는 그동안 전 세계에서 지역통합의 교본과 같은 체제였다. EU의 역사는 1946년 당시 영국의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이 스위스 취리히 연설에서 유럽에도 유엔(UN)과 유사한 기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한 것에서 태동했다고 볼 수 있다. 애초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을 주축으로 해서 12개 회원국으로 출발한 EU는 이후 유럽통합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지속해서 확장을 추진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 동유럽 국가들이 대거 가입하면서 28개 회원국으로 몸집이 커졌다. 5억800만 명(2014년 기준)의 인구를 보유해 중국, 인도에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규모다. 하지만 사상 초유의 회원국 탈퇴라는 이번 브렉시트로 인해 다시 27개국으로 줄어들게 됐을 뿐만 아니라 '이탈 도미노'라는 새로운 위기에 직면했다. 도날트 러스크 EU 정상회의 의장은 "영국 탈퇴 이후 EU가 27개 회원국으로 계속 통합체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EU 위상은 손상이 불가피해졌다.

11. 신기한 고래기름의 용도

하트오브더씨.JPG


 1819년 포경선 에식스호는 낸터킷 섬에서 출발해 고래잡이에 나선다. 하지만 15개월 뒤 남태평양 한가운데서 길이 30m 무게 80톤의 향유고래의 공격을 받으면서 10분 만에 침몰한다. 21명의 선원이 남아메리카 서쪽 7200㎞에서 표류한다. 마실 물도, 먹을 것도 떨어진 상태에서 이들은 무려 94일을 버틴다. 최종 생존자는 8명. 22년 뒤인 1841년 포경선을 탄 허먼 멜빌은 에식스호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쓴 소설이 <모비딕>이다. 

 론 하워드 감독의 <하트 오브 더 씨>는 멜빌이 소설 <모비딕>을 쓰게 된 과정을 담는다. 원작은 2000년 나온 동명의 논픽션이다. 멜빌은 조난당한 에식스호에서 살아남은 선원 니커슨을 찾아 그로부터 사건의 뒷얘기를 전해듣는다. 당시 일등항해사는 오웬 체이서다. 멜빌은 소설 <모비딕>에서 ‘에식스호’는 ‘피쿼드호’로, ‘오웬 체이서’는 ‘스타벅’으로 각각 명칭을 바꾼다. 130여년 뒤 두 명의 교사와 한 명의 작가는 항구도시 시애틀에서 자그마한 커피전문점을 연다. 소설 <모비딕>을 좋아했던 이들은 가게 이름을 ‘스타벅스’로 짓는다. ‘스타벅스’의 이전 이름도 ‘피쿼드 커피’였다.

 허먼 멕빌의 위대한 소설 백경<Moby Dick>의 무대간 된 곳은 보스턴에 인접한 공업도시 뉴베드퍼드(New Bedford)이다. 영화로도 제작되어 주인공 에이허브 선장 역을 맡은 그레고리 펙은 죽음을 무릅쓴 한 인간의 모습을 잘 표현했다. 1850년대 인구가 2만명에 달했던 뉴베드퍼드는 당시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동네였다. 돈은 고래기름에서 나왔다. 당시 농장 하나의 가격은 평균 2천 5백 달러, 제조업 공장 하나를 시작하는 데는 5천 달러가 들었다. 반면 포경사업에는 2~3만 달러가 들었다. 큰 향유고래 한 마리를 잡으면 85배럴의 기름과 다른 부위들을 팔아 3천 달러 정도를 손에 넣을 수 있었다.

 땅에서 나오는 기름인 석유가 생산되기 전에는 고래기름(whale oil)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당시 기름은 동력이 아니라 주로 램프에 사용되었다. 고래는 버릴 것이 없다. 향유고래의 기름은 연기가 없고 빛이 밝아, 가로등이나 실내등에 적합했다. 수염고래의 입천장 양쪽에 빗살 모양으로 나 있는 섬유성 각질판 수염은 강도와 유연성이 뛰어나 우산살과 여성용 코르셋심을 만드는 데 적격이었다. 향유고래의 장에서 생성되는 용연향은 향수를 만드는 원료였다. 무게로 따지면 금보다 비쌌다.

 미국에서 고래잡이는 어떤 경제활동보다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미국 독립전쟁 (1775~1783) 직전만 해도 고래 관련 상품은 식민지 미국에서 영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주요 품목이었다. 규모는 모피 수출을 앞질렀다. 고래잡이는 자본을 축적하고 리스크를 분산한다는 점에서 현대 자본주의의 면모를 갖춘 산업이었다. 미국의 자본이 주로 농기구나 가축의 형태로 집과 농장에 흩어져 있던 19세기 후반, 포경업은 자본을 집중시키는 투자방식을 취했다. 게다가 조직적이었고 끊임없는 기술혁신이 이어졌다.

 당시 미국은 새로운 사상인 자유방임적 자본주의 덕분에 급부상했다. 게다가 퀘이커교도의 문화는 돈벌이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퀴이커는 17세기 중반 영국과 식민지 아메리카에서 일어난 청교도운동으로, 퀘이커교도들은 검소한 생활을 했으며 조그만 자영업을 큰 사업으로 발전시켰다. 사업이 파산했을 때도 깔끔한 마무리를 한 결과 성실성을 인정받게 되어 이웃들이 안심하고 돈을 맡기게 되었고, 많은 지방 은행들을 세우게 되었다.

 포경업자들은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자금과 운영 면에서도 뛰어났다. 포경은 자본집중산업인 만큼 리스크도 매우 컸다. 그래서 포경업자들은 위험을 분산시켰는데, 포경선을 내보낼 때마다 스스로 중개인이 되어 오늘날의 벤처 프로젝트처럼 주식을 팔아 자금을 모았다. 자신이 지분을 갖고 있는 회사에 보험도 들고 여러 단계의 거래마다 수수료를 챙겼다. 따라서 고래를 못 잡으면 투자자는 손실을 입을지언정 중개인들은 본전 아니면 작은 이익이라도 거뒀다. 무엇보다도 포경업자들은 리스크는 선원들에게 떠넘기고 이익을 챙긴 것이다. 또 이들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선정과 선원들에게 임금 대신 순이익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지급했는데 오늘날의 스톡옵션과 비슷했다. 선장에게는 배당금이 유리했다. 포경선 선장은 일반 상선의 선장보다 많은 돈을 벌곤 했다. 배당금은 숙련공인 작살잡이에게도 이익이었다. 

<문학에서 경영을 만나다 by 피터 드러커 전도사이자 대구대 전총장 이재규>  


12. 스웨덴서는 은행에 강도 들어도 훔칠 돈 없어 (Cashless Society)

Going cashless.JPG

 ‘현금이 사라진 경제’는 많은 사람들이 그려온 미래사회의 모습 가운데 하나다. 현재 여기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나라는 어디일까? <뉴욕 타임스>는 지난 26일(현지시각) 북유럽의 스웨덴을 꼽았다. 이 나라에서는 교회 신자들이 모바일 앱이나 카드로 십일조 헌금을 내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행상인이 결제에 이를 이용하기도 한다. 스웨덴이 디지털 거래의 매력에 빠진 것은 여러 수치로 드러난다. 우선 지폐에다 동전을 더한 현금의 유통량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2%로 미국(7.7%)과, 유로를 화폐로 쓰는 유로존(10%)보다 상당히 작다. 우리나라는 4.7%로 잠정 집계됐다. 또한 올해 스웨덴 소비자들의 현금 결제 비중은 20%에 그치고 있다. 세계 다른 나라들의 평균치(75%)에 견줘 55% 포인트나 떨어진다. 현금이 사라진 자리는 신용•직불카드와 앱이 메우고 있으며 앱의 비중이 갈수록 상승세다. 게다가 대형 시중은행 지점들 가운데 상당수가 현금(시재금)을 보유하지도 않고 예금으로 받지도 않고 있다.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폐쇄된 현금입출금기만도 수백개에 이른다고 한다. 

헌금도 전자화폐로.JPG

[우린 헌금 및 십일조도 전자화폐로 받아요]


 스웨덴에서 현금이 찬밥 신세가 된 것은 카드와 앱이 주는 편리함과 안전함 때문이다. 현금을 지니고 다니거나 집에 보관할 경우 절도 등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어서다. 정부는 이런 현금 탈피 추세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전자거래는 기록이 남아서 현금 거래보다 세수를 확보하는 데 더 유리할 수 있다. 한편에서는 지하경제의 축소 가능성도 내다본다. 은행들도 비용 절감과 함께 수수료 수입을 늘릴 수 있어 현금 없는 거래 확대에 적극적이다. 그럼에도 현금 종말의 시간이 곧 올 것 같지는 않다고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현금이 20년 정도는 더 유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 디자인한 동전과 지폐를 선보였다. 디지털 화폐의 확산에 따른 문제가 없을 리 없다. 디지털에 익숙지 못한 노인세대로서는 불편할 수 있고 젊은이들의 과소비를 조장할 수 있는 게 그것이다. 특히 ‘빅 브라더’가 거래 기록을 악용할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한편, 영국중앙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앤디 홀데인은 통화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현금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경기가 나빠져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마이너스로 내릴 경우 사람들이 예금을 인출해 현금으로 보유할 가능성(유동성 함정)이 작지 않다. 이리 되면 통화정책이 무력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 현금을 없애고 화폐를 모두 전자화하면 사람들이 마이너스 금리를 피해가지 못해 예금을 소비 등에 쓸 수밖에 없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한겨레 20151229 by 이경>

13. 이 나란 진짜 이민이 답일까

북유럽가서 살겠다는 30대.JPG

 ‘공부하다’의 영어 표현이 아닌 특별한 목적을 위해 함께 공부하는 뜻의 고유명사가 되어버린 ‘스터디’. 이젠 이민이란 수식어까지 붙어 이민을 함께 준비하는 모임인 이민스터디가 유행이다. 이삼십대 젊은 층들이 이민을 가기 위해 스터디를 만들고 적금을 붓고 있는 것이다. 이민자에 대한 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호주를 비롯하여 복지국가로 명성 높은 북유럽국가들이 주 대상이다. 이민을 향한 갈망은 학벌, 직업 등을 뛰어넘는다. 특히 한국에서 석박사까지한 고학력자들이 북유럽 이민을 위해 자동차 정비 자격증따고 용접기술을 배우러 다닌다는 뉴스가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한국에서 살고싶니..JPG
 
 직접적인 설문조사 결과 역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전국 남녀 99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고 싶다‘고 응답을 한 비율이 30.4%밖에 되지 않는다. 왜 대한민국은 ‘두 번 다시 살고 싶지 않은 나라’가 된 것일까. 20대에서 50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위 설문조사에서 사회구성요소 미래전망평가도 함께 진행됐다. 그 중에서도 20대는 정치제도, 교육수준, 고용제도를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뽑았다. 정치제도는 전 연령불문 낮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교육수준이나 고용제도의 경우 다른 세대에 비해 20대에서 미래전망을 가장 낮게 평가했다.
<20150924 SUNNY by 최혜원, SK 대학생 자원봉사단>

 이민을 가서 환대 받으면서 살 수 있다면, 가면 좋지요. 하지만, 언어 장벽을 해결한 후에 환대 받을 수 있는 자리에 들어가기까지 힘든 과정과 한국에서 생존하기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는 과정은 동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뭐라해도, 한국에서는 생각만 약간 바꾸면 동고동락할 수 있는 공동체가 있을 수 있으니, 어렵고 힘든 과정을 한국에서 이겨내면, 상대방을 환대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4. 세계화와 전통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명제에 대한 현재 한국인들의 의견을 느낄 있답니다.

http://blog.donga.com/nambukstory/archives/130774

 

거대한 뿌리.JPG


(1)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 나는 광화문 네거리에서 시구문의 진창을 연상하고 인환네 처갓집 옆의 지금은 매립한 개울에서 악낙네들이 양잿물 솥에 불을 지피며 빨래하던 시절을 생각한다. 버드 비숍여사를 뒤부터는 썩어빠진 대한민국이 괴롭지 않다. 오히려 황송하다 역사는 아무리 더러운 역사라도 좋다. 진창은 아무리 더러운 진창이라도 좋다. 나에게 놋주발보다도 쨍쨍 울리는 추억이 있는 인간은 영원하고 사랑도 그렇다

<거대한 뿌리> by 김수영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JPG


(2)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자는 논리가 절대로 다른 문화와 전통을 무시하고 배격하자는 주장과 결탁해서는 된다. 우리의 것을 가꾸고 소중하게 여기자는 논리가 발짝 나아가서 오로지 우리 것만이 최고이자 최선이라는 논리로 확장되어서는 된다. 어쩌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구호는 이제 역사적 시효를 마쳐야 때가 왔는지도 모른다. 이유야 어쨌든 세계는 이미 다양화의 길을 걷고 있으며 최소한 우리가 세계 무대에서 책임 있게 활동하기 위해서는 자기 민족만이 최고라는 배타적 사고에서는 벗어나야 한다. 역설적인 것은 프랜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밝힌 있는 것처럼 한국의 급속한 자본주의적 발달에 민족주의라는 한국민의 독특한 정서와 단결력이 크게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말은 민족이라는 개념이 서구적 근대화라는 국가적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이데올로기적 동원 수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 문화편>


 미국 중심의 세계화.JPG


(3)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자 많은 정치 해설가들은 모든 이데올로기적인 장벽이 사라지고 맥몽드[McMonde: 매킨토시와 맥도널드의 머리 부분을 따서 만들어진 프랑스어와 영어의 합성어로서, 기 소르망은 미국 중심의 세계화를 가리 키는 말로 사용함]로의 전세계적인 통합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예측과는 달리 하나의 세계로의 통합보다는 민족 국가 중심의 세계 질서가 형성되고 있다. 뉴욕은 세계의 다양한 인종들을 거의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곳으로서 세계화의 단면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미국인들과 함께 있다가 이탈리아인들을 만나고, 푸에르토리코 인들과 헤어져 한국 사람들을 만나러 갈 수 있다. 맥몽드의 수도는 우리의 미래 모습일까? 


 서구의 모든 대도시들은 뉴욕에서 미래의 모습을 본다. 맥몽드로 이주해온 이민자들은 자신의 문화를 타 문화와 융합시키는 대신 개별적으로 유지해 나간다. 이렇게 해서 각 국가의 문화, 맥몽드의 코스모폴리탄적인 문화, 그리고 수입된 민족 문화들이 공존한다. 이러한 공존은 평화롭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뉴욕의 경우 유대인과 흑인들 간의 갈등은 평화롭지 못한 공존의 예다. 우리에게는 미국화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한다. 이탈리아인 또는 독일인이 미국적 민주주의를 대신하거나 보완할 모델을 만들 거라고 기대하는 사람은 없다. 러시아나 중국에게 그러한 것을 기대하는 사람도 없다. '아시아적 가치’라고 말해지는 이념은 실속이 없을 뿐 아니라 그것은 단지 중국화된 엘리트에게만 호소력이 있다. 한편 이슬람교주의자들의 이념은 이슬람교주의자 외의 사람들이 포괄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제는 언어와 경제적 힘이라는 커다란 이점을 갖고 세계화를 열망하는 프랑스 인들과 미국인들만이 남게 되었다. 


 드골주의의 탄생 이래. 미국이라는 거대한 골리앗에 대적할 수 있는 프랑스의 전략은 반론의 원칙이다. 미국 혼자만이 옳을 수는 없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미국에 대한 거부를 정당화할 프로젝트다. 그러나 그것은 종래의 프랑스식 모델이 아니다. 그러기에는 프랑스 모델도 너무 진부하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새로운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안에서 각자의 개성을 포기하지 않고 세계에 뒤떨어지지 않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다. 오늘날 세계는 서구에서 비롯된 시장경제,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수호 원리 등을 기본 원리로 반아 들이고 있다. 그리고 미국은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다른 민족들에게 끊임 없이 정당화하고자 했으며, 다른 민족의 다양성을 무시함으로써 다른 민족 및 국가의 신뢰를 잃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타 문화들의 다양성을 중요시함으로써 문화적 차이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는 듯이 보인다.                   

                                       <열린 세계와 문명 창조> by 기 소르망


15. 삼성은 반도체 업계에서 1위가 아니다

 

반도체.JPG


 ‘반도체 최강국’, 우리나라 반도체 사업을 일컫는 말입니다. 실제로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임원들은 스스로 ‘세계 넘버 !’이라고 말하는 거침이 없습니다. 말이 허언이 아니라는 실적이 입증합니다. 삼성전자 반도체부문(DS)연간 15원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영업이익을 올리며, 세계 반도체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여기에 ‘신흥 강자’로 불리는 SK하이닉스까지 더하면, 우리나라는 그대로 ‘세계 최고의 반도체 강국’임이 틀림이 없습니다. 그런데 각론으로 들여가 보면, 이런 대단한 성과는 절반만 옳다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크게 정보 저장을 담당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연산을 맡는 ‘비메모리 반도체’로 나뉘는데, 우리나라 기업들은 ‘메모리 반도체’에서만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반도체’에선 세계 시장 점유율 50%넘기며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선 시장 점유율이 5%에도 미치며 고전하고 있는 겁니다.

 

반도체 사업 대세는 ‘비메모리 반도체’

 

 하지만, 안타깝게도 반도체 시장의 대세는 ‘비메모리 반도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와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반도체 시장규모는 3,473억 달러, 우리 돈으로 390조 8천여억 원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3%인 807억 달러, 90조 원에 불과합니다. 나머지 300조 원가량은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입니다. 결국, 8대 2 비율로 ‘비메모리’ 시장이 ‘메모리 시장’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반도체 업체들은 왜 유독 ‘비메모리 반도체’에서는 힘을 쓰지 못할까요? 빠른 속도로 ‘세계 1위’로 올라선 메모리 반도체와는 무엇이 다를까요? 전문가들은 사업 초기에 투자 적기를 놓친 게 가장 큰 이유라고 분석합니다. 제조공정이 정형화돼 있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비메모리 반도체’는 활용 분야별로 특성도 다 제각각입니다. 이미지, 센서, 마이크로컴포넌트 등 비메모리 반도체는 활용 분야가 다양한데, 그에 따라 생산과 제조공정도 모두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기술정책 연구소의 제언을 따랐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수도 있었습니다.

[참고 논문 :  반도체 산업 방향점.pdf]


 삼성전자를 포함한 우리나라 반도체 업체들은 ‘정형화’된 반도체 공정을 관리하는 데 특별한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사업을 처음 시작할 당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다양한 ‘비메모리 반도체’ 대신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적으로 투자했습니다. 일종의 ‘선택과 집중’ 전략을 쓴 겁니다. 당시로선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실제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선 큰 성과를 거뒀지만, 어쩔 수 없이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투자는 늦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빠르게 앞서 간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들


우리 기업들이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하는 동안, 인텔과 퀄컴 등 선진국 반도체 업체들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견고한 성벽을 쌓았습니다. 하루가 멀다 하고 기술이 발전하는 반도체 사업 특성상, 십여 년 늦게 출발해선 그 격차를 따라잡기가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특히, 비메모리 반도체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포넌트 반도체 시장은 인텔의 아성이 매우 높고 견고합니다. 우리 기업들 ‘D램 반도체’의 압도적 점유율 덕분에 전 세계 시장을 석권하고 있지만, 선진국 업체들에 밀려 ‘비메모리 부문’은 엄청난 시장이라 걸 알면서도 쉽사리 공략하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비메모리 반도체’


앞서 설명해 드린 것처럼, ‘비메모리 반도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됩니다. 컴퓨터의 두뇌역할을 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포넌트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아날로그 반도체, 이미지센서 등 여러 형태의 비메모리가 반도체가 있습니다. 그리고 영역마다 ‘강자’들도 각기 나뉘어 있습니다. 가령, 컴퓨터 CPU는 인텔이 최강자이고, 모바일기기 AP 칩은 퀄컴이 가장 앞서 가는 식입니다. 이처럼 인텔이나 퀄컴 등이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독주할 수 있었던 건 이 회사들이 만든 ‘비메모리 반도체’가 시장에서 ‘표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인텔은 CPU를 만들며 컴퓨터 시스템의 기초를 만들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컴퓨터나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부속물이나 메모리 반도체, 센서 반도체 등을 ‘인텔 CPU’에 연동해 작동하게 생산할 수밖에 없습니다. 만약, 인텔을 대신해 CPU 시장에 진출하려면, 수많은 컴퓨터 부속물들의 표준을 다시 정립해야 합니다. 엄청난 자본과 시간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이동통신 칩 시장에서 ‘절대 강자’로 군림하는 퀄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동통신의 표준과 시스템을 주관하며 ‘표준 역할’ 하고 있기 때문에 퀄컴을 대신해 통신 칩 시장에 뛰어들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진 겁니다.


본격화하는 ‘반도체 전쟁’


 이처럼 삼성전자와 인텔, 퀄컴 등 각 기업은 각각 메모리 혹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한 우물을 깊이 파며 자신들의 확고한 입지를 구축해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엔 이런 ‘한 우물 파기’ 현상이 깨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에, 인텔은 ‘메모리 시장’에 뛰어들며 서로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나선 겁니다. ‘비메모리 반도체 최강자’ 인텔은 ‘3D 크로스포인트’라는 무기를 앞세워 ‘메모리 반도체’ 재진출을 선언했습니다. ‘3D 크로스포인트’는 기존 D램보다 10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낸드플래시에 비해서는 1,000배의 속도와 내구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중국 다롄 공장에 6조 원을 투자해 새로운 메모리 생산설비로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맞서 ‘메모리 반도체 절대 고수’ 삼성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연구개발센터를 2배 확장하고, 비메모리 반도체 관련 전문 인력 채용에 나서며 칼을 갈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갤럭시의 판매 호조 속에 공급 중인 자체 모바일 AP 부문도 사업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삼성전자와 인텔이 서로의 영역을 벗어나 정면 승부를 벌이게 되는 건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섭니다.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등 미래 먹을거리 핵심이 모두 ‘반도체’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반도체가 미래산업의 ‘핵심’이 된 이상, 메모리 혹은 비메모리 반도체 하나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고 판단한 겁니다. 여기에 중국도 정부 차원에서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사업으로 지정하고, 매년 수십조 원을 투자하며 무서운 속도로 따라오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무림의 최고수들이 ‘진검승부’를 펼치게 된 겁니다.

<20160918 SBS News by 한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