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열기 : 여름 바람

 

수업

 

<10.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 책 보는 것일까, 읽는 것일까?

-신문은 '본다'고 표현. 하루 하루의 소식을 보는 것

- 영화도 '본다'고 한다.

 

-'읽다'는 것은 '해석'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독자의 스키마가 글의 의미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1) 다양한 읽기 모형 학습

- 상향식 모형: 낱말의 뜻을 정확히 아는 것에서 시작- 구, 문장, 문단, 글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우리나라도 예전에는 이런식으로 가르쳤다. "완전"학습, "표준"동아 같은 전과를 펼쳐두고 단어뜻을 찾아서 노트에 옮겨적었음)

                     그러나 낱말 뜻에 집중하다보니 전체 글을 읽어내지 못하는 단점이 생기고, 소련이 스푸트니크 개발하자 미국이 쇼크를 먹고 상향식 읽기에서 하향식 읽기모형을 개발하게 된다.

 

 

- 하향식 모형: 독자의 배경경험을 중시한다.

 

-상호작용모델: 읽기란 문자해독과 독자의 스키마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

                     예를들어 '연'을 날려보지 못한 사람은 '연 날리기'에 관한 글을 읽어도 이해하지 못함

 

- 경험과 읽기, 무엇이 먼저 이뤄져야 할까? 순서는 없다. 싀마를 직접 경험으로 한정할 필요도 없다. 노는 힘도 스키마

 

 

(2) 읽기의 단계

1. 사실적 읽기

2. 추리 상상하며 읽기 - 예) 영대가 따돌림당할 때 느낌 어땠을까?

3. 비판적 읽기- 예)선생님의 행동은 옳은 것일까?

4. 창의적으로 읽기- 예)또다른 결말을 생각해보기 (영대가 씩씩한 아이였다면? / 영대가 수학여행을 가지 않았다면 어찌됐을까?)

 

(5) 글을 읽는 목적의 설정

같은 글이라도 목적이 다르면 집중하는 정보가 다르다.

-도둑의 입장에서 중요한 정보와

-집을 구매하려는 자의 중요한 정보는 다르다.

 

(6) 과정 중심 독서 지도

-읽기 전: 학생의 특성(지역, 경제적 형편, 가족 관계 등등)을 파악해야 한다. 발달 단계도 살펴보고, 읽기 목적도 정한다.

 

- 아이들의 기질도 알면 좋다.

(담즙질:불결(태양)- 지도자형 - 위인전 읽혀야

다혈질: 바람결(소양)- 피가 빨리 데워지는(경혈질이라고도 함)- 모험이야기 좋음

점액질: 물결(태음)- 키울때 힘듦. 움직이지 않음. 형태에 담기지 않는 한 자기 모습이 없음.늘 남보다 늦음. 그렇다고 구박하면 안됨, 좋은게 좋은게 아닐 경우가 많으니 늘 눈여겨 봐야한다. 규칙을 잘 지킨다. -테두리를 정해주는것이 좋다. 예) 하루에 한 권씩 읽자

우울질: 흙결(소음) - 우울. 세상의 모든 고통을 자기만 겪는다고 생각, 부정적 사고, 준비가 완벽해야 함. 예술가 타입, 혼자있어도 괜찮아 - 성장소설이 좋다)

 

<발문하는 법>

질문은 모르는것을 물어보는 것

발문은 교사는 답을 알지만 아이들의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문하는 것

 

*발문의 목적 : 교사마다 중시하는 이유가 다름

 

* 발문의 종류

1. 명시적 질문 on the line

2. 암시적 질문 between the line (행간읽기)

3 함축적 질문 beyond the line (예)너라면 어떻게 할래?) -독자가 가진 지식 활용하여 텍스트에 없는 정보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유형

 

* 프린트 18쪽 이솝우화 읽고 발문해보기

1) 낮은 수준의 발문(단순 기억/ 설명)

예) 이 글의 종류는? 우화

     주인공은 누구? 개미와 매미

     계절은 언제? 겨울

     매미는 여름에 무엇을 했을까? (매느는 여름에 곡식을 모으지 못한 이유가 뭘까?)

      개미는 무슨 부탁을 했나요?

 

 

2) 보통 수준의 발문(분석/비교/분류-표면적)

(주의: '왜'라고 묻기 보단 "어떻게"라고 묻는게 좋다)

예) 개미와 매미의 성격은 어떻게 다른가?

     개미가 매미에게 춤이나 추라고 왜 말했을까?

 

3) 높은 수준의 발문 (예측/ 추론/ 평가- 내면적) 

  예) 개미랑 매미 중에 누가 잘못했을까?

       너가 개미라면? 너가 매미라면?

       매미는 어떻게 겨울을 나야할까?

       일만하는 개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이솝은 이런 얘기를 왜 썼을까?

       현대사회라면 이야기가 어떻게 달라질까?

       주제는 무엇일까?

 

 

* 이후 교사용 도해표를 작성하는 법을 설명해주셨습니다.

 

 

* 시간이 좀 지난 후에 올리는 강의록이라 빠진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언제나 좋은 강의, 집중하게 만드는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선희 선생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