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
1. 조작
유전자조작식품(GMO)
* 유전자조작을 ‘유전자재조합’(혹은 ‘유전자변형’ 이라고 생명공학자들이)이라는 고상한 말    로 치장하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유전자조작 식품은 돌연변이된 유전자조작 농산물    을 재료로 가공한 식품이다.
* 안전성
  I) 건강 : 서구과학적 입장에서 볼 때 소화기계에서 변화가 있어도 생식기에는 변화가 없다고 본다.
            ☞ 그러나 ‘광우병’을 보라!!!
  ii) 환경 : 자연계는 다양한데 조작을 하면 종이 획일화, 그렇게 되면 대처방안이 없다.
            ☞ 19C 중엽 아일랜드 경우 단일경작, 즉 감자만 심어서 수백만명이 굶어죽고, 수십만명의 생존자들은 북미로 이주할 것을 강요.
               복제감자 전염병은 감자를 다 파괴하였고 아일랜드 농부들은 그것을 멈출  아무런 수단도 갖고 있지 않았다.
            ☞ 다원성은 생명의 존재전략이다!!!
* 그 외 문제점
  - 유전자조작식품의 ‘상품화’도 문제가 있다.
    상품화되면 지적재산권(‘특허권’역시)의 문제가 있다.
  - 터미네이터 기술: 농부들이 수확한 씨앗을 다시 심어 성공을 거둘 수 없게 하는 것 이상의 일을 한다. 이 기술은 종자회사들이 자사 소유의 유전적 특성들   ―제초제저항성이나 해충저항성을 나타내는 특허 받은 유전자―을  적재할 수 있는 "기반(platform)"임과 동시에, 농부들이 그들의 종자에 걸려들어 화학적 악순환 고리(chemical treadmill) 속으로 빠져들게끔 하는 수단이다.
     ☞ 씨앗조차 기업의 이익에 예속(1代씨앗이라 매번 씨앗을 사게함)
     ☞ 이 기술의 시장: 제3세계의 농부들
  -고유종의 파괴
  -선진국 경제에 예속 : 종자산업뿐 아니라 문화적 약탈까지
                         <예> 뮬란 (중국설화인데도 불구하고, 디즈니사에서 만화로 만든 후 중국에 어떤 보상도 없이 다른 나라에는 저작료를 받고 팜)
1. 복제
I) 생명복제
II) 인간복제
    - 도덕적 문제: 정자 분열이 정상이라면 체세포를 분열시켜 복제할 수 있다는 것.
    - 그러나 체세포는 정상적으로 분열이 안 돼서 난자에 전기충격을 줘서 분열을 일으키게 한다.
      ☞ 100% 성공 X
      ☞ 유전자 조작을 했을 때: 기형아 탄생가능성
    - 유전자 복제는 안전성을 염두에 두고 허락(구조적 문제)
* 인간복제의 목적
  - '아일랜드 이야기': 오히려 복제인간의 위험성 경고 X
  - 인간복제는 동성애 부부의 입양문제 등을 빼면 별 의미가 없다.
    그래서 ‘줄기세포’로 전환
* 줄기세포
I) 배아 줄기세포: 수정란도 인간이다.(윤리적 문제)
II) 성체줄기세포: 실제 연구가 많이 되고 과거는 불가능했지만, 지금은 많이 발견  

NANO
* 부정적 가능성
I) 환경오염: 나노 수준의 오염물질이 어떻게 치유될 수 있을까
ii) 군사무기화: 미세 무기가 인체에 들어가 대상을 파괴하고 자기 스스로 자폭!
* 노아의 시한폭탄 이론
   나노기술은 가볍게는 지구온난화(저자 멀홀은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가능성이  가장 낮은 인류의 재앙으로 치부했다)에서 해성 충돌까지 우리가 위험에 처해 있는 지구 종말의 치명적인 원인들을 해결할 어쩌면 유일한 방법이 될 것이다. 기후, 지진, 해일, 혜성 충돌, 화산 폭발 등의 대자연의 시한폭탄으로부터 우리가 살아남을 테라포밍(지구종말에 대비한 현대적인 노아의 방주)에 대한 대안은 바로 나노기술에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 기술이나 나노기술이 산업화 됐을 때 나노의 장점만 보도: 과학보도의 문제점>
   ====> 비슷한 경우,
          ‘암치유의 획기적 치료제 개발’ 기사화
           기술연구자가 쓴 보도자료를 보고 기사작성
   왜 언론은 이런 기사에 긍정적일까? 언론의 스폰서는 바로 ‘기업’
   신기술을 부정적으로 보면 ‘이익’이 없다. 신기술에 대한 자본의 공동대처로 인해서
   황우석보도 PD수첩: 광고가 사라짐

ROBOT
* 산업현장에서 많이 쓰임
* 고도로 발달했을 때 인간의 일자리 사라짐
* 문제점
I) 실업자
ii) 발달되면 로봇의 권리· 정체성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인간과 비슷할 경우 인간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도

IT(information technology)
* 유비쿼터스: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
  예: 이영애의 자이 선전
* 장점으로 부각: 세트판매, 홈오토메이션
* 문제점
  - 가전제품 하나하나가 컴퓨터랑 호환돼야
  - 컴퓨터 보급이 다 돼 있어야 (그래서 기업은 게임기 판매에 열광)
  - 컴퓨터 팔아먹기 전에 인터넷 냉장고 판매
    ; 홈오토메이션 판매하려면 늘 인터넷이 켜져 있어야 하는데 늘 켜져있는 것이 냉장고! 그래서 냉장고에 인터넷 부착 그러나 실패. 부가가치가 창출되려면 비용 막대
      그래서 사업성이 약함.
* 더 큰 문제점
  -유비쿼터스=> 전자감시(장소, 행동의 감시대상이 될 수 있다.)
                 예: 교통카드(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휴태폰, 신용카드
   사생활 침해와 다원성 즉 사생활이 획일화되면 무지 위험, 사회적 기준으로 움직이면 사회가 잘못 되었을 때 수정할 힘이 없어진다는 것!!!
예) 전체주의, 나치즘: 개인의 획일화(문제제기조차 못함)

*아이들과 수업할 때는
I) 기사 속 쟁점
II) 관련된 자료 조사해 오기
   조사해 온 것을 질문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