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빛을 내 마음에
- 관악산 들공부를 다녀와서

이연희 | 해오름 어린이 살림학교 교사

나무의 겨울준비

가을이 깊어지면 녹색의 잎은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바뀝니다. 단풍나무나 붉나무·감나무·담쟁이덩굴 잎은 붉은색으로,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미루나무·팽나무·낙엽송은 노란색으로 바뀝니다. 나뭇잎이 곱게 물든 가을의 산은 참 아름답습니다. 녹색의 잎들이 어떻게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바뀌는지, 볼 때마다 신기할 따름입니다.
찬바람이 불고 기온이 뚝 떨어지는 가을이 되면 나무도 겨울준비를 합니다. 가을이 되어 날씨가 추워지면 잎으로의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둔화되기 때문에 엽록소가 여름만큼 왕성하게 생성되지 않습니다. 기온이 뚝 떨어지면 나무에겐 참 힘든 일이 일어나지요. 광합성이 진행되지 않게 되니까요. 여름 한 때 나무가 자라나는데 크나큰 도움을 준 나뭇잎도 가을이 되면 힘겨운 짐이 되지요. 이렇게 되면 광합성을 못하는 엽록소는 파괴되고 나무는 잎자루를 막아 양분이 통하는 길을 차단합니다. 즉 잎의 밑 부분에 코르크처럼 단단한 세포층인 '떨켜'가 만들어지고 이 떨켜가 영양분의 이동을 차단해 엽록소의 생성을 어렵게 합니다. 기존에 남아 있던 엽록소는 햇볕에 파괴되면서 줄어들기 때문에 잎의 색깔이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무마다 단풍색이 다른 것은 각각 지니고 있는 엽록소 외의 색소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랍니다.
이렇게 나무들은 겨울을 준비하며 여름내 풍성했던 잎들을 버립니다. 땅 속 수분과 영양분으로 긴 겨울을 지탱해 갑니다. 한때는 단풍의 아름다움에 빠지기보다는 나무의 겨울준비라는 사실자체에 더 마음이 간 적이 있습니다. 혹독한 겨울을 온 몸을 드러내놓고 살아야 하는 나무들의 처절한 몸부림에 아름답다기보다는 씁쓸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저 그렇고 그런 푸른 잎을 가졌을 때는 거들떠보지도 않다가 노랗고 붉게 물든 산이 아름답다고 산이 내려앉을 듯이 단풍놀이를 가는 사람들이 괜스레 밉기도 했습니다. 나무들의 애타는 속도 모르고 속 좋게 웃어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니 참 우습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는 또 언제부터 나무를 그렇게 생각했었다고.
요즘엔 열매와 씨앗을 맺고 긴 겨울동안 다음 해의 봄을 기다릴 나무들을 보며 1년을 돌아보게 됩니다. 잎들을 버리고 새날을 꿈꾸는 나무에게서 다음을 준비하는 희망을 얻습니다. 몇 해 뒤에는 또 어떤 생각을 갖게 될지 모르지만 겨우내 죽은듯한 가지에서 봄이 되어 새싹이 돋는 모습을 보면 그저 신기할 뿐입니다. 1년 내내 욕심 많게 무조건 채곡채곡 쌓기만 하려는 내 모습과 다르게, 버리고 사는 나무의 현명함에 버림의 철학을 배웁니다. 내게 남은 아집과 독선을 버리고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을 돌아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느낌이 살아있는 들공부

최근에 산남습지를 다녀오면서 있었던 일이 생각납니다.
여름학교 내내 불렀던 '햇볕' 노래를 또 부르게 되었습니다.

햇볕은 고와요. 하얀 햇볕은
나뭇잎에 들어가서 초록이 되고
봉오리에 들어가선 꽃빛이 되고
열매 속에 들어가서 빨강이 되어요.
햇볕은 따스해요. 맑은 햇볕은
온 세상을 골고루 안아줍니다.
우리도 가슴에 해를 안고서
따뜻한 사랑의 마음이 되어요.

그런데 여름학교에 오지 않았던 한 아이가 햇볕 노래에 '안티'를 제기합니다.
"어떻게 햇볕이 열매 속에 들어가서 빨강이 돼요? 말도 안돼요. 또 우리가 어떻게 해를 안아요?"
여름 내내 습식 수채화에 빠져 빛의 신비를 맛보며 아이들과 가슴 가득 해를 안고 눈물이 그렁그렁해서 부르던 노래인데 갑자기 분위기가 찬물을 확 끼얹은 것 같습니다. 친절하게 아이들끼리 설명을 해줍니다. 그래도 질문한 아이는 시원치 않은 듯 못마땅한 얼굴입니다. '아, 그래서 처음 들공부에 온 아이들이 마냥 산을 오르기만 하고 잔디밭을 뛰어다니기만 하는구나.' 그제야 뭔가 좀 알 것 같았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아이들은 잔디밭에서 맘껏 뛰어노는 게 좋고 생각지도 못한 놀이를 하니까 좋고 잘 몰랐던 것을 새롭게 배워서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들공부도 엄마가 가라고 해서 가고, 가서 보니까 마냥 뛰어다녀도 선생님이 뭐라고 안하니까 마냥 좋은 아이들도 있습니다. 교사가 의도한 바대로 전혀 움직여주지 않는 모습이지요. 참 난감합니다. 하지만 아이들 생각도 틀린 게 아니지요. 한 번도 빛의 아름다움에 빠져 보지도 않고 어떻게 그 뜨거운 해를 안을 수 있을까요? 또 고운 단풍을 자세히 들여다보거나 만져보지 않은 아이들이 단풍을 보고 아름다움이니 처절함이니 희망이니 하는 것들을 어떻게 느낄 수 있을까요?
그래서 이번 들공부에선 단풍이 드는 시기, 이유, 종류 등의 배울 거리들은 좀 뒤로 미뤘습니다. 느낌은 느낌으로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느낌으로 온전히 남아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해석이 붙어버리면 아이들에겐 설명이 되고, 그렇게 되는 순간 아이들에겐 죽은 지식이 되고 맙니다. 해석은 되도록 아이들에게 맡겨두려고 합니다. '해를 모두 안아야 한다'고 강요하거나, '해를 안는다는 표현은 무엇이냐면'하고 늘어놓기 시작하면 그 아이는 영영 해를 못 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속에서 좀 답답함이 끓어오르지만 ''그래, 우리 다시 한 번 노래해 볼까?" 하고 노래를 다시 한번 불러보았습니다.
숙제로 남아있던 것들이 조금씩 풀려갑니다. 차분히 생각해보니 이제 막 시작한 달누리 친구들의 모습이 해누리 아이들의 시작모습과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달누리 아이들을 두 번째 대하고 좀 힘에 부치다는 생각을 했는데 내 속에 자연에 대한 살아있는 느낌이 아직 채워지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내 안에 자연을 받아들이고 들공부가 어느 정도 자신의 일부가 된 몇 해를 다닌 해누리 아이들에게서 오는 차분하고 진지한 모습은 하루아침에 오는 결과는 아닌 것 같습니다. 느낌이 온전히 살아 자신에게 오면서 이제 그 모습이 드러날 뿐인 것 같습니다. 이제 갓 깨어난 병아리 같은 아이들은 어디로 갈지 잘 몰라 미끄러지고 넘어지기도 하듯이 달누리 아이들도 스스로 깨쳐 나갈 시간이 많이 필요하겠지요.

10월 24일, 가을빛을 내 마음에

가을학기 두 번째 관악산 들공부 준비를 하는데 처음으로 관광버스 회사에서 부탁전화가 왔습니다.
"서울지역이면 웬만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면 안 될까요? 아주 어렵고 죄송한 말씀이지만 최고의 단풍놀이 시즌 때문에 버스가 부족해서요."
누가 보면 우리도 사치스런 집단이라고 하겠지만 아무튼 몇 년째 들공부를 하면서 그런 소리는 처음 들었습니다. 혹시 내장산이 1cm정도 내려앉지 않았을까요?
아이들을 만난 지 얼마 안 돼 얼굴도 잘 익히지 못하고 차 안에 집중해서 얘기하기도 좋고 해서 그냥 서울인데도 차를 예약하려 했는데, 답사를 다녀와 보니 전철과 마을버스를 이용해도 될 듯해 서울대 안에서 일단 모이기로 했습니다.
약초원처럼 잔디가 넓어 아주 편하게 느껴졌습니다. 약초원에서의 푸른 잔디가 구릉이 있는 누런 잔디로 바뀐 것 같았습니다.

한국 어린이 식물 연구회 김의재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관악산을 올랐습니다.
아이들은 바위산을 가면서 언제까지 가야 되냐고 계속 투덜댑니다. 배도 고프고 다리도 아프고 온갖 엄살을 부리고 한 아이는 진짜 많이 아프기도 했습니다. 워낙 운동을 안 하는지라 조금 올랐는데도 반 정도가 뒤쳐집니다. 산에서도 여지없이 장난을 치는 아이들도 있지만 한 쪽은 낭떠러지, 조금 오르면 바위가 나오는 통에 아이들도 긴장해서 오릅니다.
조금 오르니 산 아래가 훤히 보입니다. 바위에 앉아 아래를 내려다보니 시원합니다. 경치를 즐기기도 잠시, 씩씩한 아이들이 계속 또 오르자고 합니다. 선두에 섰던 선생님이 잠시 아이들에게 나무 얘기를 하는 동안 몇 명의 아이들이 앞질러 가버렸습니다. 어찌나 빠른지. 날쌘돌이 김의재 선생님이 뛰어가 선두를 돌려 내려오셨습니다. 홍길동처럼 산을 잘 타는 선생님 덕에 바위산을 잘 다녀왔습니다. 오후 활동을 위해 마음에 드는 나뭇잎이나 열매를 모아오라고 했는데 비닐 하나 가득 채워 온 아이들이 많았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을 택하지 않아 산책길이나 삼림욕장 길처럼 숲길이 나 있지 않아 아이들이 다니기에는 좀 험한 길이이었습니다. 그래도 무사히 잘 내려왔습니다.

산에서 내려오자마자 지친 아이들이 하나둘 잔디에 눕습니다. 누워서 가을 하늘을 보니 하늘이 참 파랗습니다. 눈이 맑아지는 것 같습니다. 점심을 먹고 아이들이 잔디에 엎드려 만화책을 보고, 잔디에서 구르고, 말타기를 하고 둘러앉아 게임을 합니다. 말 그대로 휴식입니다.  하루 종일 그냥 잔디를 구르다 가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왕 가을 산에 왔는데 좋은 추억을 만들고 가야지. 아이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숲에는 과연 몇 가지 색깔이 있을까?
초록색, 연두색, 노란색, 갈색, 빨강색 등등. 숲 속에 숨어있는 가을의 색은 우리가 색으로 표현 할 수 없는 오묘하고 신비한 색이 많습니다. 다른 계절과 비교가 되지 않게 멀리서 봐도 화려하고 아름답습니다.
아이들이 주어 온 잎을 색연필로 기름종이에 탁본을 했습니다. 단풍이 들다가 떨어진 잎, 붉게 불든 잎, 노랗게 된 은행잎, 신갈나무의 갈색 잎…. 저마다 자기 공책에 정성껏 색을 옮겨 놓습니다.

또 아이들과 미리 광목천 위에 색상 띠를 만들어 놓고 그 주위에 잎들을 늘어 놓아보았습니다.
"아! 산에 울긋불긋 보이는 색들이 이 화려한 하나하나의 잎들의 모습이었구나."
처음엔 나뭇잎을 휙휙 던지던 아이들이 뭔가 모양이 갖춰지는 것 같아 보이자 진진해 집니다. 집에 가져가야 한다고 비닐 안의 잎들을 꺼내지 않던 아이도 하나씩 광목천에 올려놓습니다.
붉은색의 붉나무와 팥배나무 열매, 노란 은행잎, 1년 내내 푸르름을 과시하는 솔잎, 갈색의  신갈나무잎, 보라색의 좀작살나무 열매, 하얀 억새…. 산을 축소해서 옮겨놓은 듯합니다. 단풍든 잎을 보며 이렇게 다양한 색깔이 숨어있었다니 모두가 감탄입니다. 믿기지 않습니다.
마치 아이들이 때에 따라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며 뽐내고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가을 색을 내 공책에 담아보고 그 아름다운 잎들을 모아 '코사지'를 만들었습니다. 화려한 색의 잎들을 모아 가는 철사로 묶으면 예쁜 장식물이 됩니다. 한 아이가 은행잎 하나를 돌돌 말아 내 가슴에 꽂아줍니다. 넉넉한 가을을 선물 받는 것 같아 기쁩니다.
일정을 마치고 집으로 가려고 하는데 한사코 잔디썰매를 탄다고 합니다. 이미 점심 먹고 신나게 놀았던 아이들은 시큰둥한데 뒤늦게 안 친구들이 졸라댑니다. 한꺼번에 10분만 딱 엉덩이 얼얼해보자고 하고 갔습니다. 아직 몸이 성숙해야 할 시기의 아이들인지라 여전히 구르고 뛰는 걸 좋아합니다. 이제 하루가 다르게 나이가 들어가는 내가 아이들과 노는 게 힘에 부칩니다. 어디서 젊은 선생님들이 빨리 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나무들은 스스로 살아가는 모습에서 사람들에게 한 여름엔 푸르름을 안겨주더니 가을에는 화려함을 선물합니다. 나무는 그저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이었는데 사람에게 많은 기쁨과 생각을 하게 합니다. 우리들도 그런 모습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을색의 아름다움에 온전히 빠져 본 하루였습니다.